1. 거세한우의 비육개시월령별 증체 및 사료이용성
    가. 증체
      발육성적은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3, 6, 9 및 12개월령에 비육을 시작하여 24개월령까지 사양관리 하였으며 비육기간중의 사료급여량은 비육개시월령 6, 9, 12개월령전의 육성기 사양에는 배합사료를 체중의 1.5%를 급여하였고 비육개시월령 3, 6, 9 및 12개월령이후부터 18개월령까지는 배합사료를 체중의 2%씩 급여하고 19개월령부터 24개월령까지는 자유채식토록 하였다.
           
    표 1. 비육개시월령별 발육 상황
   
구 분
비육개시월령
3개월
6개월
9개월
12개월
   개시시 체중(3개월령, kg)
   종료시 체중(24개월령, kg)
   총증체량(㎏/두)
   일당증체량(㎏)
  92.7
608.5
515.8
   0.82
  92.3
589.4
497.1
   0.79
   95.1
597.6
502.5
   0.80
  88.3
601.3
513.0
   0.81
           
      표 1의 총증체량 및 일당증체량은 3 및 12개월령 비육개시구가 6 및 9개월령에 비육을 개시한 것보다 높았다. 농가에서는 비육개시시기를 조기에 시작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나 이는 소의 발육생리에 적합하지 않다고 보아 가급적이면 12개월령에서도 비육을 개시하도록 하는 것이 좋은 것으로 사료된다.
           
   

그림 1. 12개월령에 비육을 개시한
한우 비육우

그림 2. 비육말기의 비육우
           
    나. 사료이용성
      표 2의 출하시까지 사료이용효율을 살펴보면 3개월령 비육개시구의 1㎏증체당 배합사료요구량이 8.62㎏인 반면 12개월령 비육개시구가 7.25㎏으로 약 16%정도 배합사료 이용효율이 높다. 이는 12개월령이전에는 한우의 소화생리상 반추위의 발달과 골격의 발달이 완성되는 시기이므로 조사료위주의 사양관리가 필요하다.
           
    표 2. 비육개시월령별 사료이용성
   
구분
비육개시월령
3개월령
6개월령
9개월령
12개월령
    1kg증체당 사료섭취량
       -배합사료
       -볏 짚
       -옥수수담근먹이

8.62
0.70
4.22

7.76
1.10
5.25

7.63
1.12
5.16

7.25
1.25
5.17
           
   
   
그림 3. 12개월령에서 비육을 개시한 거세한우의 반추위
           
 
2. 비육개시월령별 육질 및 육량 등급
    가. 육질평가
   
   
 그림 4. 과도한 지방침착을 보인 3개월 비육개시 
거세한우 늑골
           
      육질평가기준인 육색, 지방색들은 모두 정상의 범위에 있었으나 근내지방도는 3개월령 비육구가 4.3으로 다른구에 비하여 다소 높았다. 이는 3개월령부터 농후사료위주의 사양관리로 지방함량의 증가가 원인이 아닌가 사료된다.
           
    표 3. 비육개시 월령별 육량평가 결과
   
구       분
비육개시월령
3개월
6개월
9개월
12개월
    근내지방도
    육 색
    지 방 색
    조 직 감
    성 숙 도
    육질등급(1:2:3)
4.3
3.5
4.5
1.0
1.0
5:1:0
3.5
4.0
4.0
1.0
1.0
3:4:0
3.3
3.9
4.3
1.3
1.0
4:1:2
3.4
3.6
4.0
1.0
1.0
3:4:0
           
    나. 육량평가
      표 4의 비육개시 월령별 육량평가결과 육량등급의 결정요인인 도체중, 배최장근 단면적 및 등지방두께로 육량지수를 산출하여 육량등급을 정하는데 도체중은 비육개시월령3, 6, 9 및 12개월령에서 각각 392.1, 379.1, 380.1 및 383.0㎏이며 배최장근 단면적(제13늑골~제1요추)은 각각 81.5, 81.4, 81.0 및 85.6㎝로 나타났다.
           
    표 4. 비육개시월령별 육량평가
   
구       분
비육개시월령
3개월
6개월
9개월
12개월
    도체중(kg)
    배최장근 단면적(㎠)
    등지방두께(㎝)
    육량등급
392.1
  81.5
 2.0
0:0:6
379.1
  81.4
 1.5
0:3:4
380.1
   81.0
  1.2
0:5:2
383.0
  85.6
 1.0
0:5:2
           
      상기요인을 육량지수 산출공식〈육량지수=74.8-(2.001×등지방두께)+(0.075×배최장근 단면적)-(0.014×냉도체중)+1.58>에 적용하여 계산하면 비육개시월령별 평균육량지수는 73.1, 74.1, 74.6 및 75.3으로 비육개시월령이 늦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육질 및 육량으로 평가되는 도체평가 결과를 도체등급별 가격으로 산출시 3개월령 비육구보다 12개월령 비육후 출하하는 것이 소득면에서 유리한 것으로 나타나 거세한우의 적정한우개시 월령은 12개월령에서 시작하는 것이 사료이용성, 증체량 및 소득측면에서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참 고 문 헌

농림수산부, 축협중앙회. 1992. 한우고급육생산.
농촌진흥청. 1994. 축산시험연구보고서.
__________. 1992. 한국표준가축사료급여기준(한우).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