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반추가축은 조사료를 통하여 필요한 영양소를 공급받고 반추위벽에 물리적으로 작용하여 반추작용을 일으킬 뿐만 아니라, 위와 장의 운동을 정상적으로 유지하며, 타액의 분비를 촉진하고, 소화관내 내용물의 이동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한다. 조사료에 의하여 분비가 촉진된 타액은 소화기 내용물과 잘 혼합됨으로서 제 1위내의 pH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완충역활을 하며, 반추위내 미생물 군을 잘 유지시켜 사료의 소화 및 흡수를 돕는 작용을 한다. 한편 쉽게 분해되는 전분이나 당류를 많이 함유하고 있는 곡류사료를 다량으로 급여하면 반추위내에서 발효가 급격히 일어나 반추위내 pH 저하가 빠르게 일어난다. 반추위내의 pH의 급격한 저하는 반추위내에 서식하는 섬유소 분해 미생물에 영향을 주고, 전분분해 미생물이 증가하여 반추위내의 미생물 균총이 변화되고, 결과적으로 반추위 기능저하에 의한 소화불량이나 식욕감퇴를 초래하게 된다. 그리고 조사료 섭취 부족과 과다한 농후사료의 급여가 장기화 될 경우에는 반추위 융모의 이상이 나타나 반추위 부전각화증, 간농양이나 제 4위 전위증과 같은 대사성 질병이 발생될 수도 있다. |
|
배합사료는 가축이 필요로 하는 영양분을 계산하여 배합시킨 것으로, 대개의 경우 고형의 섬유질 물질을 매우 적게 함유하고 있다. 반추동물이 섭취한 사료는 제 1위내에 장시간 체류하는 동안 위의 운동에 의해 충분히 교반이 이루어져 위내의 각종 미생물이나 효소의 작용에 의해 발효되어 영양분으로 흡수된다. 그러나, 반추동물(특히 비육우)이 농후사료를 다량 섭취하는 경우에 전체 사료중에 섬유질이 적어 물리적인 자극부족과 반추위내의 급격한 pH저하로 여러가지 소화생리 장애가 발생되기 때문에 조사료에 의한 물리적인 자극과 반추촉진으로 타액분비 증가에 의하여 pH 안정화를 도모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반추동물에 사료를 급여할 때는 반추위의 물리적 자극효과, 반추유도 및 반추위 발효의 안정화, 영양소의 공급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갖는 조사료와 영양소의 주요 공급원인 농후사료를 적절히 혼합하여 급여할 필요가 있다. 국내에서 반추가축 사육에 이용하는 일반적인 조사료는 볏짚이나 옥수수, 목초 및 기타 농산 부산물도 많이 이용하고 있는데, 이들 원료는 한정된 계절에만 공급이 가능하고, 지역적으로 수급 불균형이 초래되는 문제와 가격이 고가인 문제가 있다. 또한, 잡목과 톱밥 등 임산부산물의 조사료 자원 이용은 반추위내에 체류시간 및 물리적인 효과가 적고, 경제적인 이유로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
|
조사료 대체용구는 반추위내에서 미생물에 의해 분해가 어려운 고분자 합성섬유질을 이용하여 반추동물의 사료 섭취량을 조절하고 반추작용의 촉진을 위하여 제조된 것으로서, 다시 말하면 폴리프로필렌 등의 고분자 합성물질을 이용하여 심봉으로 사용한다. 여기에 고분자 섬유를 심봉에 심어 밤송이 형태로 성형한 것이다. 심봉의 굵기(직경)는 축종 및 성장단계에 따라서 다양하게 성형하고, 반추위내에 투여하여 반추위내에 장기적으로 체류하게 한다. 그외에 조사료 대체용구는 농후사료를 다량 섭취하는 비육우 및 착유우 등에서의 반추위내 pH변화 등을 조절하고 반추를 촉진하여 타액 분비에 의한 반추위 발효의 안정화에 기여한다. 그러므로 조사료 대체용구는 조사료 섭취량을 조절하여 가축의 사료비 절감으로 농가의 생산비를 줄이는 동시에 분 배설량의 감소로 배설물 처리가 용이하고 환경오염 물질배출을 최소화하게 하여 반추가축 사육시 발생되는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는데 그 사용목적이 있다. |
|
조사료 대체용구를 한우에 투여하여 사료섭취량과 분배설량 및 증체량을 조사한 바(표 1) 조사료 대체용구의 투여에 의하여 볏짚의 섭취량이 상당히 감소되었으며, 분 배설량(표 2)은 일일 12.50㎏에서 10.63㎏으로 현저히 줄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조사료 대체용구의 투여시 반추위 pH변화가 최소화되어(표 3), 반추위내 pH의 안정화에 기여하였다. |
|
표 1. 조사료 대체용구 투여시 사료 섭취량
구분 |
일일 사료 섭취량(kg) |
배합사료 |
조사료 |
총섭취량 |
무투여구 투여구 |
4.49 4.65(100) |
3.35 3.00(89.6%) |
7.84 7.75(97.6%) | |
|
표 2. 조사료 대체용구 투여시 분배설량 변화
구 분 |
분 배설량(kg) |
일일 분배설량(kg) |
건물함량(%) |
건물배설량 |
무투여구 투여구 |
12.50 10.63 |
20.51 22.23 |
2.65 2.36 | |
|
표 3. 사료 대체용구 투여시 사료섭취 후 경과시간에 따른 반추위 pH 변화
구 분 |
사료급여후 경과시간(시간) |
0 |
3 |
6 |
무투여구 투여구 |
6.01 6.20 |
5.64 6.00 |
5.59 5.82 | |
|
|
그림 1. 일체형 조사료 대체용구 |
그림 2. 분리형 조사료 대체용구 | |
|
표 4. 처리별 증체량
구분 |
무투여구 |
투여구 |
일당증체량(kg) 1kg증체당 사료요구량 - 농후사료(kg) - 조사료(kg) |
0.81
13.38 1.78 |
0.87
13.75 1.55
| |
|
처 리 구 별 |
무투여구 |
투여구 |
총수입 생산비 총소득 두당소득 지 수(%) |
29,635 22,452 7,183 1,197 100 |
30,477 22,818 7,659 1,276 107 | |
|
일당증체량(표 4)은 인공섬유질 처리구가 무처리구에 비해 7% 정도 개선되었으며, 1㎏ 증체당 조사료 요구량은 처리구가 무처리구에 비해 13% 정도 적게 소요되어, 7% 정도의 소득(표 5) 향상 효과가 있었다. |
|
참 고 문 헌
한인규. 1988. 반추동물영양학. 향문사. Hobson, P. N. 1988. Elsevier applied scienc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