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균, 살충제 농약 잎과 줄기 백화 현상: 잎의 엽록소가 파괴돼 허옇게 되는 증상을 말하는 것으로 잎 전체, 잎맥사이, 잎맥 및 그 주변 등 여러 부위에 나타난다. 백화정도는 농약 또는 작물에 따라 다르며 완전백화, 황백화, 퇴녹화, 황녹화 등이 있다. 괴사: 기관, 조직, 세포 등과 같이 생체의 일부가 죽는 것으로 백화현상과 마찬가지로 잎 전체 잎맥사이, 잎맥 및 주변 등 여러 부위에 나타난다. 괴사 부위는 작물의 종류에 따라 다르나 주로 다갈색 또는 흑갈색을 띤다. 낙엽 및 기형 잎: 살포된 농약에 의해 백화나 괴사가 일어난 후 이층이 형성돼 낙엽지게 된다. 옥신(Auxin)활성을 지닌 약제를 화본과 이외의 작물에 살포하면 식물호르몬 작용과 유사한 증상이 타나나며 부분적 이상 비대 등 기형 잎이 발생된다. 또한 잎의 주변부가 괴사되면 중앙부만 신장해 잎이 컵 모양으로 된다. 뿌리: 약제가 작물 뿌리에 닿거나 작용해 발근 억제, 기형뿌리, 뿌리갈변, 비대억제, 길이 및 무게 감소 등의 현상이 나타난다. 꽃 및 과실: 농약이 직접적으로 작물에 작용해 특히 꽃 주변에 약반이 생기는 경우가 많다. 과실에 생기는 약해로는 낙과, 기형과 형성, 과피약반, 착색저해 등이 있다. 제초제 토양처리제를 살포했을 때 작물 전체에 나타날 수 있는 약해 증상은 발아지연, 발아율 저하, 결주 등이 있다. 그밖에 기형이나 주개장(주개장의 증상은 거의 모든 호르면형 제초제에 의해 나타난다. 발육저하나 생육 불균일 증상은 아마이드계 디니트로아닐린계 제초제 처리에 의해 흔히 나타나는 약해 증상이다. 잎: 통잎은 주로 페녹시계 제초제 처리에 의해 벼의 옥신(호르몬) 작용이 교란됨으로써 나타난다. 황화현상은 주로 광합성 억제형 제초제의 의해 발생하고 , 갈변 증상은 주로 광 요구성 유독작용을 일으키는 디페닐에테르계 제초제를 벼에 처리했을 때 잎에 나타난다. 괴사 증상은 제초제를 고농도로 처리했을 때 또는 비선택성 제초제가 부지불식간 작물에 묻을 때 나타난다. 잎이 퇴색되거나 처지는 증상은 주로 벤타존이나 아마이드계 제초제에 의해 벼에 나타난다. 줄기: 작물의 줄기가 꼬이는 증상은 호르몬형 제초제, 곤봉 모양의 약해 증상은 디니트로아닐린계 제초제 처리에 의해 일어난다. 뿌리: 뿌리의 발생이나 생장 방해는 거의 모든 아마이드계 디니트로아닐린계 제초제 처리에 의해 발생한다. 이삭 기형 이삭은 옥신(호르몬)작용을 어지럽히는 제초제 처리에 의해 나타난다. 출처:디지털 농업 8월호(2005년)
|
|
'농사일반 > 농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달팽이류의 생태 및 방제 (0) | 2008.03.06 |
---|---|
복숭아혹진딧물 (0) | 2008.02.11 |
총채벌레 방제 적용약제 (0) | 2008.02.11 |
약해의 증상 (0) | 2008.02.11 |
주요 증상으로 본 충해 진단요령 (0) | 2008.0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