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버섯의 특징 | |||||
가. 육안적 특징 | |||||
○ 초기에는 백색 계란모양이나 정단부위가 갈라지며 갓과 대가 나타난다. ○ 갓 : 크기는 4~12cm이며 초기에는 원추형과 반구형이고 성장하면서 편평형과 중앙볼록 편평형을 가진다 표면은 평활하며 건성이고 백색을 띄며 KOH 용액에 의해 황색으로 변한다. ○ 주름살 : 떨어진 주름살로 백색이며 빽빽하다. ○ 대 : 크기는 8~20cm×7~20mm이며 원통형이고 기부는 구근상으로 백색섬 유상 또는 손거스러미상 인피이다. ○ 턱받이 : 막질형으로 백색이다. ○ 조직 : 부드러우며 백색이다. ○ 대주머니 : 백색이며 구근상이다. | |||||
그림 1. 독우산 광대버섯 | |||||
나. 현미경적 특징 | |||||
○ 포자문 : 백색이다. ○ 포자 : 크기는 6.5~7×6~7㎛이며 유구형과 구형이며 아밀로이드이다. | |||||
2. 식용 가능성 | |||||
맹독버섯으로 '죽음의 천사'라 불리우며 외부형태가 주름버섯속의 식용버섯과 매우 비슷하므로 주의해야 한다. | |||||
3. 발생시기 및 장소 | |||||
여름과 가을에 잡목림 내 지상에서 발생하며 특히 떡갈나무와 벚나무 부근의 지상에 군생 또는 외생하며 균근 형성균이다. | |||||
4. 분포 | |||||
우리나라와 동아시아, 유럽, 북미 등지에 분포한다. | |||||
5. 독성분 | |||||
아마톡신(Amatoxin)으로 1.9~2.6mg/kg 함유하고 있다. | |||||
6. 중독증상 | |||||
6~8시간 후부터 2 일간 계속하여 구토와 복통과 설사가 나며 변에 피고름이 섞여 나온다. 독버섯을 먹은 3일째에는 일시적 회복기가 온다. 그러나 이 기간에 간이 심각하게 파괴된다. 4일째에는 다시 복통과 함께 피고름이 섞인 변이 나오고 황달과 신장기능저하가 오며 경련과 혼수에 이르고 6~7일째 사망한다. | |||||
7. 치료 | |||||
수분과 전해질 및 대사성 아시토시드를 우선 보충하고 탈수를 대비해 포도당을 투여하며 뇨결핍에 대비하여 20% 만니톨을 투여하고, 차콜을 이용한 체외투석을 함으로서 치료효과가 높다는 보고가 있다. 미국 FDA의 연구결과 지오구토산을 20~150mg/kg을 6시간동안 투여 할시 효과가 있었다. |
'버섯재배 > 버섯'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야생독버섯(7)- 마귀광대버섯 (0) | 2008.02.28 |
---|---|
야생독버섯(6)- 두엄 먹물버섯 (0) | 2008.02.28 |
야생독버섯(4)-담갈색 송이 (0) | 2008.02.28 |
야생독버섯(3)-노란 다발버섯 (0) | 2008.02.28 |
야생독버섯(2)-개나리 광대버섯 (0) | 2008.0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