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 분포 및 이용방법

 (1) 식물명

   ○ 식물명:속썩음풀

   ○ 학  명:Scutellaria baikalensis GEORG

   ○ 생약명:黃芩

   ○ 이  명:條芩, 枯芩, 片芩, 元芩, 經芩, 子芩, 空腸, 腐腸, 黃文, 印頭, 純尾芩


 (2) 생김새 및 분포

   ○ 생김새:다년생 초본으로 줄기는 모난 4각형으로 담녹색 바탕에 갈색줄무늬가 있고 주경은 30~50개의 마디가 있으며 잎은 對生하고 披針形으로 끝이 둔하거나 뾰족하며 총상화서로 7~8월에 紫色의 꽃이 피고 종자는 흑색을 띠고 다각형으로 9~10월에 여물며 뿌리는 겉껍질이나 속살 모두 황갈색임.

   ○ 분포:전국 산야에서 자라기도 하지만 흔히 중남부 지역에서 재배하고 여수, 고흥, 광양, 구례 등의 지역에서 많이 재배됨.


(3) 성분 및 이용

   ○ 성분:Baicalin, Baicalein, Wogonin, β-sitosterol, glucuronic acid 등

   ○ 용도:發熱, 肺熱咳嗽, 心下痞, 煩熱, 胸筋苦滿, 高血壓, 動脈硬化, 膽囊焱, 黃疸, 胃炎, 腸炎, 細菌性痢疾, 目赤膧痛, 擁腫, 胎動不安

   ○ 효능:解熱, 利尿, 消炎, 消腫, 抗菌, 鎭靜, 혈압강하, 혈당상승, 利膽, 寫火


나. 재배환경 및 적지 선택

 (1) 기 후

  전국 어디서나 재배가 가능하며 북부 산간 고랭지에서 다년생은 겨울에 동해가 문제가 되지만 따뜻하고 일사량이 많은 곳인 중남부 지역에서 재배가 유리함.


(2) 토 양

  토심이 깊고 물빠짐이 좋고 수분유지가 잘 되는 곳이나 양토, 사양토가 양호하며 모래땅, 자갈밭 잔뿌리 많아지고 질흙에서는 뿌리 비대가 잘 안되어 수확이 어려우며 돌려짓기 하여야 함.


다. 품 종

  ○ 육성 보급한 품종이 없고 여천에서 수집한 지방 재래종이며 주요 특성은 분지수가 많고 다수성으로 엑스함량 등 성분함량이 높아 중남부 지역이 적응지역임.

  ○ 배수가 불량한 토양에서는 뿌리썩음병 발생이 많아 재배시 유의하여야함.


라. 종묘번식 및 채종

  ○ 번식은 종자, 꺾꽂이(揷木) 및 포기나누기(分株)로 하고 채종방법은 직파재배, 육묘 이식 재배시 생육이 양호한 2~3년생에서 채종함.

  ○ 채종은 9월에 여무는 순서대로 아랫부분부터 손으로 훑어 채종하거나 개화 후 45~60일경에 잎이 누렇게 변하고 종자 검게 익었을 때 줄기를 베어 말린 후 털어서 정선함.


마. 경종기술

 (1) 재배양식

   ○ 직파재배:1모작(11월 상순, 4월 상중순), 2모작(6월 상중순) 10~11월 수확

   ○ 온상육묘 이식재배:1년생(1~2월 파종, 4월 이식, 3월 중순파종, 6월상순 이식), 2년생(8월 파종, 2~3월 이식) 10월~11월 수확


(2) 파종 및 육묘(묘 기르기)

  ○ 묘판적지:양지바르고 통풍이 좋은 동남향의 밭을 선택하며 비옥도가 중정도인 참흙, 모래 참흙으로 물빠짐이 좋고 보수력이 좋은 곳임.

  ○ 묘판면적 (10a당):1년생(15~30㎡), 2년생(30~40㎡)

  ○ 파종시기

    - 직파재배:1모작 (가을파종 11월 상순, 봄 파종 4월 상중순),

                      2모작 (6월 상중순)

    - 육묘이식 재배:추파 10월 하순~11월 상순, 춘파 3월 하순~4월 상순

  ○ 파종량(10a당)

     육묘이식재배는 400~800g이며 직파재배는 점파 1㎏, 조파, 산파 2㎏ 정도 됨.

    ※ 산파시 20g/㎡ 기준(1.65g/1,000립)

  ○ 침종(발아억제 물질제거) 및 소독

    - 흐르는 물에 2~3시간 침종하고 종자소독은 벤레이트티 1,000배액에 3~4시간 소독한 후 맑은 물로 씻거나 분의 처리한 다음 파종 함.

  ○ 파종방법

    - 120㎝ 이랑에 산파하거나 1모작(40㎝), 2모작(30㎝) 간격으로 줄뿌림할 때 종자가 안보일 정도(1㎝) 흙을 덮어주면 파종노력이 절감되고 비닐피복 후 120㎝이랑에 1모작(40×10㎝), 2모작(30×10㎝) 간격으로 종자를 4~5개 정도 점파함.

  ○ 묘판관리

    - 10㎡당 완숙퇴비 10㎏, 복합비료(17-21-17) 350g정도로 전층 시비하며 파종 후 짚, 왕겨 피복하고 충분히 관수하며 입고병, 진딧물, 응애 등의 병충해방제를 실시함.


(3) 아주심기(定植)

  ○ 묘 가리기:묘 크기 5~10㎝ 정도로 굵고 건실한 묘 선별

  ○ 정식시기:4월 상순~하순, 6월 상순, 2월 하순~3월 상순경이고 가을정식은 생존율 낮아 정식 후 짚을 10㎝ 정도 두께로 덮어 겨울을 보내며 봄 정식은 생존율이 높지만 싹이 올라온 후에 정식하면 활착율이 떨어지고 여름정식은 정식 후 활착이 잘되도록 차광망 설치함.

  ○ 재식거리

    - 직파재배는 1모작(조간40㎝, 주간10㎝), 2모작(30×10㎝), 1년재배(30× 10㎝), 2년 재배 (50×10㎝)로 하고 육묘이식재배는 1년생(30×10㎝), 2년생(40×10㎝)로 함.

  ○ 정식방법

    - 묘가 건조하지 않게 관리하고 흐린 날을 택하거나 비가 와서 습기가 충분할 때 정식하고 15~20㎝ 깊이로 골을 파고 45°각도로 세우고 심음.

  ○ 피복재배

    - 흑색비닐 피복재배로 잡초발생 억제되고 노동력이 절감되고 지하부 생장량이 양호하여 상근 중 비율이 높아 수량이 증대됨.


(4) 거름주기(10a당):2년차에도 전년도와 동일하게 시비함.

  ○ 유기질 비료는 퇴비 1,500㎏+계분 150㎏+유박 100㎏ 복합시용할 때 지력이 증진되고 뿌리 비대로 수량 증대 및 품질이 향상됨.

  ○ 화학비료 시용은 1모작재배(기비:퇴비 1,500㎏, 요소 7㎏, 용과린 45㎏, 염화가리 5㎏, 추비:6월상순과 8월상순에 요소와 염화가리 3㎏씩 2회 분시), 2모작재배(기비:퇴비 2,000㎏, 요소 40㎏, 용성인비 75㎏, 염화가리 35㎏, 추비:8월중순에 요소와 염화가리 27㎏씩 1회 분시)로 시용함.


(5) 김매기

  ○ 파종 후 2~3주일이 내외가 되면 출현하고 2~3회 김매기와 함께 주간거리를 10㎝ 정도로 솎아내고 결주된 곳에 옮겨 심은 후 초기생육이 저조하므로 초기에 잡초 방제를 하지 못하면 방제하기가 어려우며

  ○ 직파재배시 잡초에 적용되는 고시된 제초제는 없으나 파종 후 토양처리제로는 리누론 수화제 100~150g/10a, 잡초 2~3매 정도일 때 중기 제초제인 나브, 원싸이드 유제 100~150㎖/10a를 살포함.


(6) 주요 관리

  7월 중순부터 개화가 시작되어 10월까지 계속되므로 채종할 포기 이외에는 8월 중순에 낫, 예취기를 이용하여 꽃대 정단부에서 10㎝ 정도로 잘라 주면 뿌리 생장량이 양호하고 장마철에 배수가 안 되면 뿌리가 부패하기 쉬우므로 배수로 관리에 철저하여야 함.


바. 병해충 및 재해방지

 (1) 병해충 방제

   ○ 병해:잿빛곰팡이병, 점무늬병, 줄기썩음병

   ○ 충해:거세미, 진딧물, 응애, 뿌리혹선충, 파밤나방


 (2) 재해방지

  연작을 싫어하므로 돌려짓기하고 장마기에 배수 불량시 습해가 심하여 배수구 정비함.


사. 수확 및 건조

 (1) 수확시기 및 방법

   ○ 10월 하순~11월 상순 잎이 누렇게 변하면 줄기를 베어낸 다음 뿌리를 수확 후 흙을 떨고 세척 후 대칼과 플라스틱 솔로 문질러 깨끗이 닦거나 박피기로 이용함.

   ○ 굵고 긴 뿌리는 잘 닦아서 건조시켜 약재로 출하하고 잔뿌리는 따로 모아서 저장하였다가 다음해 봄에 다시 심어 1년 더 길러 수확함.


 (2) 건조방법

  수확 후 자연건조하거나 6~9일정도 천일건조(자연건조)후 50℃에서 열풍건조하며 건조기간이 너무 길거나 고온건조시 뿌리가 청색으로 변하여 상품가치가 떨어짐.

'약초재배 > 약초재배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갈피 재배  (0) 2008.03.21
시호재배기술  (0) 2008.03.21
지황 재배방법  (0) 2008.03.21
황기 재배방법  (0) 2008.03.21
당귀재배방법..  (0) 2008.03.2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