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육과정(주요농작업)
10월 11월 12월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가 을 파 종
파종
김매기 솎음작업
웃거름
관수
병해방제
수확
충해방제
꽃대제거
조제
노 두 정 식
김매기
꽃대제거
노 두 정 식
관수
병해방제
수확
기상재해 및 예상되는 문제점
10월 11월 12월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가뭄
장마
*생육부짐
*뿌리 섬유질 발생 품질저하
*뿌리썩음병 발생
병충해 방제
10월 11월 12월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 병해:뿌리썩음병 * 충해:거세미, 굼벵이
주요기술
번식
뇌두번식
종자번식
※종자 번식 유리
육묘 이식재배
묘판 설치 : 10a당 33㎡ 정도
- 이랑나비 120~150㎝ 정도 두둑
종자처리 : 가을 노천매장 봄 파종
파종시기
┌ 봄 : 3하~4상순
└ 가을 : 10하~11상순
파종량(33㎡) : 6ℓ(1.0~1.2kg)
묘판시비량(3.3㎡)
- 퇴비가루 30~40kg 토양살충제 200g
정식
정식서기
- 봄 : 3하~4상순
- 가을 : 10중~하순
정식거리 : 45x8~20㎝- 11,000~12,000주/10a
심는방법 :
- 45㎝ 골에 1년생 종근 1개 심음
- 뿌리 꾸부려 심으면 잔뿌리 발생 품질저하
- 소묘, 중묘 구분심음
종근크기(묘직경)
┌ 대묘 0.9㎝
├ 중묘 0.6~0.8㎝
└ 소묘 0.5㎝이하
※소묘, 중묘 심을때 추대율 낮고 수량많음
거름주기
시비량 (kg/10a)
밑거름 : 퇴비 1,000 인산 8, 칼리 4
└ 웃거름 : 질소4, 2회분시 (8상순이후)
주요 관리작업
솎음 및 잡초방제
- 초기 제초작업 철저
꽃대제거(7~8월)
가뭄시 뿌리 섬유질 발생방지
- 관수시설이용 관수 및 짚피복
수확 및 조제
수확 : 10 하~11상순
조제
- 뿌리 물에 씻어 햇볕건조
- 중간정도 건조 뿌리 손질후 완전 건조저장
※캔뿌리에서 노두 따서 종근이용
수량(kg/10a)
┌생근 : 500~600
└건근 : 160~200
재배특성
* 주성분:Isoimperatorine, Oxypeucedanine, O-cresol
* 분포:중북부 산계곡
* 용도:뿌리-발한(發汗), 해열(解熱), 진통(鎭痛), 진경(鎭痙)
* 형태
- 초장:60~150㎝
- 잎:근생엽(根生葉)은 자
* 주성분:Isoimperatorine, Oxypeucedanine, O-cresol
* 분포:중북부 산계곡
* 용도:뿌리-발한(發汗), 해열(解熱), 진통(鎭痛), 진경(鎭痙)
* 형태
- 초장:60~150㎝
- 잎:근생엽(根生葉)은 자적색(紫赤色), 경생엽(莖生葉)은 호생(互生)
-꽃:8~9월 개화, 백색의 복산형화서(複산形花序)
* 재배적지
- 기후:서늘한 기후를 좋아하며 중북부 산간 지역에서 잘자람
- 토질:표토가 깊고 습기가 적당한 식질양토
* 번식방법:육묘이식법, 종자직파재배법, 뇌두번식법
작형별 출하시기
작형 파종기 정식기 수확기 출하기 성출하기 저장출하기
육묘 이식 3하~4상 10하~11상 3하~4상 10중~하 10하~11상 12상~3하 1상~2하 4상~11하
기상재해 및 병충해방제 대책
항목 내용
가뭄피해 * 정식후 짚, 건초 덮기로 수분증발
생육촉진
* 가뭄시 뿌리 섬유질 발생방지 및
물주기 실시
장마(습해) * 배수구 정비로 습해 사전예방
* 습해로 인한 병발생 포기 조기제거
병해 * 뿌리 썩음병 방제
- 종근 베노람수화제 소독
- 6~6식 석회 보르도액 살포
- 배수작업 철저 습해방지
충해 * 굼뱅이, 거세미 방제
- 후라단, 카포입제 정식전 살포

 

 

 

 

'약초재배 > 약초재배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년초란...  (0) 2008.04.14
나물과 한약재로 이용하는 음나무  (0) 2008.04.12
먹는 선인장  (0) 2008.04.03
[스크랩] 천년초 재배 방법  (0) 2008.04.03
천년초 재배방법  (0) 2008.04.0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