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다리병 방제
○ 최근 벼 키다리병 발생이 전국적으로 확대되고 있고, 병 발생필지에서 50m 떨어져도 75%의 종자가 감염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 일반 종자는 물론 정부 보급종도 소독을 해야 하며, 종자의 특성에 따라 소독방법을 달리해야 한다.
- 키다리병에 감염되지 않은 곳에서 생산된 채종 종자(보급종) : 염수선 처리 → 약제 침지
- 키다리병 5% 이하 발생지 채종 종자 : 약제 혼용침지 또는 약제침지+파종직전 습분의 처리
※ 프로클로라즈(유제) : 균사억제, 플루디올소닐(종액수) : 포자 발아억제
- 종자생산지 및 키다리병 5% 이상 발생지 채종종자 : 온탕침법+약제침지+파종직전 습분의 처리
* 염수선 처리 : 무처리 대비 30% 감소
* 약제 침지 : 프로클로라즈유제 2,000배액으로 30℃에서 24~48시간
* 약제 혼용침지 : 프로클로라즈유제+플루디옥소닐 종자액상수화제 2,000배액으로 30℃에서 24~48시간 침지
* 파종직전 습분의 처리 : 종자 1kg 당 플루디올소닐 종자액상수화제 2.5㎖ 또는 자바라수화제 10g 혼합
* 온탕침법 : 물 60℃에 10분 이상 침지 직후 냉수 10분 이상 담금
'수도작-벼농사 > 수도작-벼농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병해충] 혹명나방의 생태 및 방제 (0) | 2008.08.13 |
---|---|
[병해충] 벼줄무늬잎마름병 (0) | 2008.08.13 |
땅힘을 키웁시다. (0) | 2008.07.31 |
벼농사-수확 후 관리요령 (0) | 2008.07.30 |
벼농사-병충해 발생시기 및 농약사용요령 (0) | 2008.07.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