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특성 |
|
|
| |
|
|
|
![]() | ||||
|
| |||
|
동아시아 원산으로 한국, 일본, 중국, 우수리지방에 분포하며 우리 나라에서는 전국의 산에서 볼 수 있다. 우리 나라 전국 어디서나 재배가 가능하므로 농가마다 소규모로 재배하고 있다. 일정한 주산지가 없으며 산간 구릉지가 많은 경북 북부, 강원도 등지에서 많이 재배되고 있다. | |||
|
| |||
![]() | ||||
|
꽃 중에는 겹꽃으로 피는 것이 있는데 수술이 꽃잎으로 발달해서 겹꽃으로 피는 것과 화관(花冠)이 2중으로 되어 겹꽃으로 피는 것이 있는데 전자는 수술이 없거나 비정상인 것에 비해 후자는 정상인 수술이 있다.
과실은 구형 혹은 장구형의 삭과이며 성숙하면 끝이 5개로 갈라진다. 종자는 흑갈색으로 한 꼬투리당 100∼200개의 종자를 갖는데 종자는 길고 납작한 구형으로 천립중이 0.8∼1g 정도 된다. 뿌리는 곧은뿌리로 비대하며 생체로 식용하고 한방에서는 말려서 약으로 쓴다. |
![]() | |||||||||||||
|
| ||||||||||||
|
도라지 뿌리에는 플라티코디제닌, 폴리갈라식 산(폴리갈릭 산)등의 사포닌과 글루코스가 함유되어 있으며 폴리코제닉산 A 등의 테르펜계 물질, 이외에도 이눌린, 파이토스테롤 등을 함유하고 있으며, 꽃에는 플라티코닌이 들어있다. | ||||||||||||
|
| ||||||||||||
![]() | |||||||||||||
|
| ||||||||||||
|
약용, 식용, 관상용으로 이용되고 있다. 일본, 중국, 한국에서는 말린 뿌리를 약용으로 쓰고 있으며, 중국에서는 어린순을, 한국에서는 생뿌리를 식용으로 쓰고 있다. 18세기경 유럽으로 전해져 원예용으로 개량되어 일본과 유럽 등지에는 다수의 품종이 보급되어 관상용으로 재배되고 있다.
길경(도라지 뿌리)은 사포닌이 함유되어 있으며 거담, 진해, 항균, 혈압강하 및 혈당강하 작용이 있다. 또한, 기침, 가래 둥을 없애는 효능이 있어 한방에서는 감기에 의한 기침, 목구멍이 붓고 아픈 증상에 처방하며, 가슴이 그득하고 옆구리가 아픈 증세, 이질에 의한 복통의 치료에 이용된다.
식용으로 쓸 때는 반드시 물에 우려내어 독성을 제거하여 주어야 한다. 도라지의 뿌리에는 다량의 식이섬유와 미네랄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아주 좋은 근채의 하나이며 구황작물로 다루어지기도 한다. | ||||||||||||
|
| ||||||||||||
![]() | |||||||||||||
|
길경은 초롱꽃과(Campanulaceae)과의 도라지(Platycodon grandiflorum A. De Candolle) 뿌리로, 뿌리와 주피를 제거한 것이다.
이 약은 불규칙하게 가늘고 긴 방추형∼원추형이며, 때때로 분지되어 있고 바깥면은 회백색, 엷은 갈색 또는 백색이다. 주근은 길이 10∼15cm, 지름 1∼3cm이고, 윗끝에는 줄기를 제거한 자국이 오목하게 남아 있으며, 그 부근에는 가는 가로 주름과 세로로 홈이 나 있으며, 다소 구부러진 것도 있다. 근두부를 제외한 뿌리의 대부분에는 거친 세로주름과 가로로 홈이 있고, 또 피목모양의 가로줄이 있다.
질은 단단하나 꺾어지기 쉽다. 꺾은 면은 섬유성이 아니며 때때로 큰 빈틈이 있다. 횡단면을 확대경으로 보면 피부는 목부보다 약간 얇고 거의 백색이며, 군데군데 빈틈이 있고 형성층 부근은 때때로 갈색을 띤다. 목부는 백색∼엷은 갈색을 띠고 그 조직은 피부보다 약간 치밀하다. 이 약은 냄새가 약간 있고 맛은 처음에는 없으나 나중에는 아리고 쓰다.
|
경종기술 |
![]() | |||||||||||||
|
추위에 견디는 힘이 강하여 우리 나라 대부분 지역에서 재배가 가능하지만 따뜻하고 습윤한 기후를 좋아하므로 햇볕이 잘 드는 양지쪽이 좋다.
| ||||||||||||
|
|
![]() | ||
|
| |
|
도라지는 초롱꽃과 도라지속(Platycodon)에 속하는 1속 1종의 식물로서 염색체는 2n=18개이며 꽃의 색이나 모양에 따라 다수의 변종이 보고되어 있다.
도라지는 꽃의 색에 따라 청도라지, 백도라지가 있으며 주로 산에 자생하는 도라지는 청도라지가 대부분이므로 이를 원종으로 다루고 있다. 백도라지는 주로 농가에서 재배하는 도라지 중에서 볼 수 있다. 약용이나 식용으로는 육성된 품종이 없고 지방 재래종이 재배되고 있으며 외국에서는 다수의 관상용 품종이 육성되어 재배되고 있다.
|
|
![]() | |||||||||||||||||||||||||||||
|
| ||||||||||||||||||||||||||||
|
도라지의 번식은 주로 종자를 통해 이루어진다. 뿌리의 뇌두 부분을 나누어 번식을 시킬 수도 있으나 번식 효율이 떨어지며 썩는 경우가 많아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는다. 종자는 가을에 완전히 성숙하여 꼬투리가 터지기 직전에 베어 말린 후 털어서 정선한다. 정선된 종자는 종이봉투나 마대에 넣어 통풍이 잘되는 곳에 보관했다가 종자로 이용한다.
종자의 발아수명을 보면 상온저장의 종자인 경우 채종 후 9개월경에는 발아율이 85%로 나타났고 12개월에는 42%, 15개월에는 3%로 점차 떨어 졌다. 12개월 이전의 종자는 치상 후 3일째에 10%정도 발아되나 12개월 이후부터는 발아가 되지 않았다. 대개 채종후 7∼8개월 이후에는 종자의 발아율이 급격히 저하되므로 채종 후 가능한한 빨리 파종하는 것이 유리하다. | ||||||||||||||||||||||||||||
|
| ||||||||||||||||||||||||||||
![]() | |||||||||||||||||||||||||||||
|
| ||||||||||||||||||||||||||||
|
도라지는 육묘 이식재배도 가능하지만 노력이 많이 들고 이식 중 뿌리가 상처를 받으면 잔뿌리가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주로 직파재배를 하고 있다. 발아 최적온도는 20∼25℃이나 봄파종은 3∼4월중에 실시하는데 발아에 소요되는 기간이 10일∼2주 정도이므로 그 지역의 만상일을 고려하여 발아 후 서리의 피해를 받지 않도록 한다.
| ||||||||||||||||||||||||||||
![]() | |||||||||||||||||||||||||||||
|
| ||||||||||||||||||||||||||||
|
| ||||||||||||||||||||||||||||
|
| ||||||||||||||||||||||||||||
![]() | |||||||||||||||||||||||||||||
|
| ||||||||||||||||||||||||||||
|
대부분의 뿌리작물과 마찬가지로 도라지도 습해에 유의하여야 한다. 여름 장마기에 배수가 잘 될 수 있도록 포장을 관리하며 토양 전염성 병이 많으므로 강우 후에 특별한 주의가 요망된다. 도라지는 개화기에 이르면 지표면 근처의 줄기가 좌절하는 생리적 도복이 일어나며 도복되면 병에 의한 피해를 받기 쉽다.
| ||||||||||||||||||||||||||||
![]() | |||||||||||||||||||||||||||||
|
김매기는 도라지 재배시 가장 노력이 많이 드는 작업이다. 도라지는 발아 후 2∼3 본엽이 전개되고 줄기가 신장하기까지 많은 시일이 소요되므로 생육 초기에 잡초의 성장 속도를 따르지 못하며 흔히 잡초 속에 묻혀버리기 쉽다.
따라서 초기 입모가 상당히 중요한데 파종 후 입모 하기까지 피복을 하여 두는 것은 토양 수분조절과 함께 잡초 발생을 최대한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첫 번째 김매기는 6월 상순까지, 두 번째는 7월 상순까지 마치는 것이 뿌리의 생육을 촉진시킬 수 있으나 잡초가 크게 자라기 전에 실시하여야 어린 모의 피해가 적다.
| ||||||||||||||||||||||||||||
![]() | |||||||||||||||||||||||||||||
|
도라지(桔梗)는 인공재배 하면 파종 1∼2년 후부터 수확할 수 있으나, 산지재배는 4∼5년 후에 수확이 가능하다. 산지재배는 벌목지 또는 나무가 울창하지 않은 야산으로, 햇빛 쪼임이 50% 정도인 지역으로 경사가 너무 심하지 않고 토심이 깊으며, 물 빠짐이 좋은 지역으로 잡목의 키가 1m이상되지 않는 곳이 좋다. 산지재배의 경우에도 파종시기는 봄과 가을에 할 수 있으나, 봄에는 땅을 일굴 수 있는 한 일찍 하고, 가을에는 그해에 종자에서 싹이 트지 않도록 늦게 파종한다.
파종 당년 7월 하순부터 15∼20일 간격으로 약 10cm, 다음에는 5cm정도로 한번은 높게 한번은 얕게 반복하여 도라지의 줄기를 예취해주면 도라지의 뿌리가 굵고, 길어져 잡초보다 생장이 왕성하게 된다. 다음해부터는 제초에 큰 어려움이 없이 도라지의 자생력으로 잡초와 경합할 수 있으며 앞에서 말한바와 같이 자생종과 재배종의 중간 상품으로써 높은 소득을 올릴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 ||||||||||||||||||||||||||||
![]() | |||||||||||||||||||||||||||||
|
도라지는 반찬이나 약용으로 오랜 세월 동안 재배되면서 민요로 불려질 만큼 친숙한 식물로서 꽃은 순박하고 청초한 인상을 풍기고 있다. 도라지꽃은 화단용 뿐 아니라 절화로도 이용이 가능하므로 주년생산을 위해 개화기를 조절하면 상품성을 높일 수 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도라지는 파종 후 알맞은 관리만 하면 2년 차 가을에 생 뿌리 무게(生根重) 25g, 굵기 2cm, 길이 20∼30cm의 뿌리를 수확할 수 있다. 식용으로 할 때는 년 중 시장시세에 따라 수확하되 1년 중 값이 가장 비쌀 때는 1∼3월초로써 이때는 땅이 얼어있어 도라지를 수확 할 수 없는 시기이므로 값이 높다. 그러므로 전년도 늦은 가을에 땅이 얼기 전에 수확하여 간이 움 저장을 해두고 적절한 시기에 출하한다.
약용으로 쓸 때는 3∼4년 이상 재배한 것을 수확하여야 우수한 품질의 건재 약재로 쓸 수 있으며 가을에 지상부가 완전히 말라죽은 후나 봄 해동한 뒤에 수확한다. 도라지를 물에 깨끗이 씻어 겉껍질을 대칼로 벗겨 말린 것을 백길경이라 하고, 캐낸 뿌리를 껍질 채 말린 것을 피길경이라 하는데 수출은 백길경을 주로 한다.
전에는 햇볕 또는 그늘에서 말리었으나 최근에는 건조기가 많이 개발되어 벌크 건조기(담배건조기)를 이용하여 50∼60℃의 온도에 건조하면 3∼4일만에 깨끗하게 건조되어 상품가치를 높일 수 있다. 10a당 수량성은 생도라지의 경우 2∼3년근에서 2,000∼3,000kg을 생산할 수 있고, 이것을 건조시키면 생도라지의 20% 정도인 400∼600kg의 마른도라지를 생산할 수 있다 |
생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055-759-4466∼7, 경남 진주시 금곡면 정자리 1218-9, 23년생 도라지 재배생산 및 가공제품 생산판매 ☎ 055-944-4674, 942-4674, 경남 거창군 거창읍 상림리 27-7번지, 도라지 및 각종 묘목 판매 |
'산채류재배 > 도라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도라지의 효능 (0) | 2007.03.24 |
---|---|
도라지의 재배관리 (0) | 2007.03.23 |
[스크랩] 도라지 복용에 관하여 (0) | 2007.03.19 |
도라지특성과 재배법 (0) | 2007.03.17 |
도라지 재배 (0) | 2007.03.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