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 동충하초 버섯(자실체)의 생산 (1) 버섯생산 준비 및 생산 (가) 누에고치 보호 ⊙ 누에를 올린 후 7~8일이 되면 고치를 따고 고치솜을 채취한다. ⊙ 버섯생산용 고치는 번데기만 충실하면 되므로 하등고치를 제외한 오염고치, 섶자리고치, 기형고치 등은 모두 정상으로 취급한다. ⊙ 고치를 딴 후 고치는 자르기가 끝날 때까지 18~20℃에 보호한다.
(나) 고치의 절견(자르기) 및 감염번데기의 분류 ⊙ 고치를 자르는 시기는 고치를 딴 후 5일이 경과된 후에 하는 것이 적당하지만 자를 고치가 많아서 2~3일 내에 자르기 힘들면 고치는 딴 후 2~3일경부터 시작하고 고치에서 꺼낸 번데기는 계속해서 18~20℃에 보호한다. ⊙ 고치를 자를 때는 고치 속의 번데기에 상처를 주지 않도록 고치의 상단부를 칼로 조심스럽게 자르고 번데기를 고치에서 꺼낸다. ⊙ 꺼낸 번데기는 다시 동충하초균에 감염된 것과 감염되지 않은 것으로 분류하는데 감염된 번데기는 만지면 딱딱한 느낌을 준다.(감염되지 않은 번데기는 물렁물렁함)
(다) 재배실 ⊙ 버섯재배에 필요한 면적은 누에 1상자당 6.6㎡이다. ⊙ 재배실은 종균접종실을 사용하는 것이 경제적이나 별도의 재배실을 시설할 때에는 역시 온도와 습도의 관리가 편하도록 설계한다. ⊙ 재배실은 버섯생산 착수 3일전까지는 소독을 완료하고 개봉하여 소독 냄새를 제거한다. 소독을 할 때에는 버섯재배에 사용되는 모든 기구들을 재배실에 넣고 함께 소독하며 3% 포르말린으로 24시간 밀폐 소독하거나, 포르말린+과망간산칼리로 24시간 연기 소독한다.
(라) 재배상 ⊙ 재배상은 감염번데기에서 버섯이 잘 자랄 수 있도록 만든 일종의 기구로서 그 종류는 농가실정에 맞게 많이 개발이 되고 있다. 예를 들면 플라스틱 상자, 다단식상자, 3 P누에채반, 이동식 철재 가지뽕치기대 등이 있으나 추천할 만한 재배상은 3P채반과 플라스틱상자이다. - 빵상자나 스티로폴 상자처럼 밑바닥이 막혀있는 것을 이용할 경우는 물빠짐이 좋도록 반드시 여러 개의 구멍을 밑바닥에 뚫어두도록 한다.
⊙ 재배상에는 감염번데기를 올려놓기 전에 미리 바닥에 광목천을 깔아 둔다. 광목천은 버섯수확 때까지 계속 감염번데기에 수분을 공금하고 재배상내에서 번데기가 굴러다니지 않고 그 자리에 붙어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마) 버섯생산 방법(순서) ⊙ 감염번데기 중에서 아주 딱딱하게 굳은 것부터 골라 재배상에 펼친다. ⊙ 재배상에 번데기의 나열이 끝나면 깨끗한 지하수(수돗물은 좋지 못함)을 분무하여 재배상의 광목천과 번데기가 충분히 젖게 한다. ⊙ 재배상내 습도를 맞추기 위하여 물을 줄 때는 물주는 양을 첫 번 물주고 다음번 물을 줄 때에 재배상의 광목이 약간 젖어있는 상태가 되도록 주는 것이 가장 적당하다. ⊙ 재배상의 습도는 항상 90%이상 되게 하여 번데기가 마르지 않도록 한다. 습도 유지를 위해서 버섯재배 중에는 매일 지하수를 분무해 주어야 한다. ⊙ 재배상의 온도는 20~24℃가 되게 한다. 온풍기로 온도를 조절할 경우 바람이 직접 번데기에 가지 않도록 한다. ⊙ 재배상에 번데기를 올려놓은 후 1~2일이 지나면 번데기의 표면은 점차 흰색으로 변하고 2~3일 후부터는 버섯이 조금씩 올라오기 시작한다. 며칠이 지나도 버섯이 나오지 않는 번데기는 골라내어 따로 관리하도록 하고 썩은 것은 버리도록 한다.
(2) 버섯의 수확 (가) 수확의 시기 및 대상 ⊙ 종균에 감염된 번데기를 재배상에 나열한 후 15~20여일이 경과한 때부터 수확하도록 한다.
⊙ 버섯의 자람이 고르지 못하여 일시에 수확이 어려울 때는 경과가 약간 늦은 것이 수확이 될 때까지 기다렸다가 함께 수확하도록 한다. - 수매하는 날짜가 정해지면 그 날짜에 버섯을 수매하고 미쳐 다 자라지 못한 버섯을 수확하는 농가가 있는데 이런 경우 좋은 등급을 받을 수 없으니 양이 많은 경우에는 기다렸다가 개별적으로 수매하는 것이 더 경제적일 수 있다.
⊙ 수확해도 좋은 버섯은 - 번데기와 자실체(버섯)에 물기가 없이 뽀송뽀송하고 버섯의 자루는 노랗고 머리부분은 하얀 포자가 많아 덮인 것을 수확한다. - 번데기에 자실체가 많이 달리고 자실체의 크기가 2cm이상(수매등급:1등)인 경우가 가장 좋고 부득이한 경우 1cm 이상 2cm미만(수매등급:2등)의 것도 수확이 가능하다.
⊙ 나쁜 버섯(수매 불합격 버섯) - 썩고 곰팡이가 난 것이거나 버섯 고유의 향이 없이 이상한 냄새가 나는 버섯 - 버섯의 색깔이 변색된 버섯 - 물기가 많은 버섯 - 자실체 크기가 1cm 미만의 것(1cm 이상이라도 자실체 수가 아주 적은 것)
(나) 수확방법 ⊙ 동충하초는 버섯과 기주와의 결합체이므로 반드시 번데기와 자실체(버섯)을 함께 수확한다. ⊙ 수확할 때는 광목천에 붙어있는 번데기를 떼어내면 된다. 이 때 주의할 것은 번데기에서 자실체가 가급적 떨어지지 않도록 한다.
(다) 수확시기의 재배상 관리 ⊙ 버섯 수확날짜(수매날짜)가 정해지면 수확 3일전부터 습도조절을 위해서 물을 절대 주지 않는다. - 버섯수확 당일 재배상의 광목을 만질 대 손에 물기가 묻어나지 않은 정도가 가장 바람직하다. ⊙ 수확당일 또는 수확 2~3일 전에 재배상을 하나하나 점검하여 불량한 버섯(곰팡이가 난 버섯, 썩은 버섯, 버섯이 자라지 못한 번데기, 냄새가 나는 버섯, 버섯의 색깔이 변색된 버섯 등)을 모두 골라낸다.
(라) 버섯의 수매(판매) ⊙ 동충하초의 수매는 농가의 버섯생산의 안정과유통상의 혼란을 막기 위하 계약재배에 의한 전량 산물(생버섯) 수매를 하고 있으므로 양잠농가는 수확한 버섯을 곧 바로 수매장소로 가져가 수매원에게 생버섯 상태로 저울로 달아서 수매를 하도록 한다.
(마) 부산물 처리 ⊙ 절각견(자른 고치) 자른 고치는 이불솜을 만드는 회사나 실크파우다를 생산하는 회사 등에서 매입을 하고 있으므로 깨끗하게 잘 보관을 하였다가 조합이나 회사원의 안내에 따라 판매하도록 한다. ⊙ 수나방 동충하초가 되지 못한 번데기는 거의 대부분 나방이가 되는데 이중 절반은 수나방이가 된다. 수나방은 동의보감에 의하면 정력에 좋은 것으로 기록되어 있으므로 잘 골라서 술에 담아 숙성시켜 이용하는 것도 또 하나의 소득원이 될 수 있다.
* 출처 : 농진청 표준영농교본 - 95
|
'버섯재배 > 버섯' 카테고리의 다른 글
표고버섯재배(1) (0) | 2007.04.05 |
---|---|
[스크랩] 동충하초 (0) | 2007.03.30 |
누애동충하초의 생산 (0) | 2007.03.29 |
누애동충하초 종균의 구입방법 (0) | 2007.03.29 |
느타리버섯의 재배환경 (0) | 2007.03.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