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사화류

학 명 :Lycoris Herb.    

영 명 :Autumn Amaryllis, Hardy Amaryllis, Golden Spider Lily, Magic Lily.


□ 원산지와 내력

상사화류는 수선화과에 속하는 야생 구근식물로 우리나라. 중국, 일본, 대만등의 동아시아에 주로 분포하고 있다. Lycoris는 그리스의 신화 바다의 여신 Lycoris의 이름에서 유래되었으며, 상사화는 잎이 지고나서 꽃이 개화하므로 잎과 꽃이 서로 만나지 못하는 것에서 유래하였다

□ 국내외 생산현황

○국내 생산

석산(L. radiata)이 약 10,000평정도 재배되고 있으며, 1990년과 1992년에 화란과 일본으로 수출된 바 있다.

○ 국외 생산

일본은 오래전부터 상사화를 상품화하여 국내에는 물론 국외로 수출하고 있는 실정이고, 대만에서는 새로운 경제작물로 대두되면서 그 재배면적이 40ha에 달하고 있다. 또한 화란과 미국에서도 일부 생산하고 있다.
□ 주요 품종 특성

○ L. albiflrora(흰상사화)

석산과 형태가 유사한 백색의 꽃이 핀다. 9월 중하순에 개화하고, 개화후에 출엽한다. 2배체의 L. rabiata var. pumila(석산) 와 L. aurea(개상사화)의 교잡종이다.

○ L. incarnata

중국 중부의 초지에서 자생한다. 개화시기는 일반적으로는 8월 상중순이지만 여름이 너무 고온인 해에는 9월에 개화하기도 한다. 화경은 40 ∼ 50cm이며 1개의 꽃대에 6 ∼ 7개의 소화가 핀다. 인경은 직경이 5∼6cm정도이며 윗부분이 길다. 결실이 되지 않은다.

○ L. aurea(개상사화)

일본남부에서부터 우리나라를 거쳐 중국까지가 자생지이다. 인경은 석산보다 크고, 개화는 10월 중하순이다. 화경은 길이가 50 ∼ 60cm이며, 소화 갯수는 5 ∼ 10개이다. 엽은 3 ∼ 4cm로 폭이 넓고, 개화후에 출엽한다.

○ L. sanguinea

일본 등에서 자생한다. 개화시기가 빨라 7월중하순에 개화한다. 인경은 직경이 2cm전후로 적고 출엽은 2월 상순경이다. 화경의 길이는 30 ∼ 40cm전후이고 소화수는 4 ∼ 6개이다. 변종에는 전체가 대형인 var. kiushiana와 수술이 꽃잎보다 긴 var. koreana 그리고 백색의 꽃이 피는 var. alba가 있다.

○ L. sprengeri

중국 운남지대에 자생하며 상사화보다 소형이고 紫桃色꽃에 꽃잎의 선단은 청색으로 매우 아름답다. 개화는 9월 상순으로 봄에 출엽한다.

○ L. squamigera(상사화)

주로 일본과 한국 등에서 자생한다. 인경은 대형으로 직경이 7 ∼ 8cm이고, 화경의 길이는 50 ∼ 60cm로 소화수는 6 ∼ 7개이다. 개화시기는 8월 중하순이고 염색체는 2n = 27로 결실하지 않은다.

○ L. rabiata(석산)

중국과 일본 및 한국에서 자생한다. 9월 중하순에 40cm 전후의 화경이 신장하고, 적색의 소화 5 ∼ 7개가 개화한다.

□ 형태적 특성

구근은 인경이며 잎은 길고, 띠 모양으로 잎이 10월상순에 나오는 추계출엽형과 2월중하순에 출엽하는 춘계출엽형이 있다. 꽃잎은 6개이고 꽃은 4개에서 12개가 모여 산형화서를 이루고 있으며 화색은 적색, 황색, 오랜지색, 분홍색, 백색 등이 있다. 자방은 3실이고, 종자는 흑갈색이다

□ 생리 생태적 특성

○ 출엽시기

종에 따라 출엽시기가 달라 춘계출엽형과, 추계출엽형이 있다. 봄에 출엽을 시작하는 춘계출엽형은 L. incarnata, L. squamigera(상사화), L. sanguinea등이고, 가을에 시작하여 다음해 초여름까지 생육하는 추계출엽형은 L. aurea(개상사화), L. albiflrora(흰상사화), L. rabiata(석산) 등이 있다. 상사화류는 두 가지 출엽형태 모두 초여름이 되면 잎이 고사하고, 잎이 없는 기간에도 일반적으로 새로운 뿌리가 발생과 신장을 계속한다.


○ 자연환경조건에서 화아 형성과 발육

춘계출엽형은 L.incarnata, L. squamigera, L. sanguinea등이고 추계출엽형은 L. aurea, L. albiflrora, L. rabiata의 6종에서 조사한 결과는 모두 4월하순에서 6월상중순에 암술형성기에 달했다. 그러나 그 이후에는 두 출엽형태에 따라 달라 춘계출엽형은 7월 상순에 화분형성기에 도달하고, 8월상중순에 개화하고 추계출엽형은 8월하순에 화분형성기에 도달해 9월중하순에 개화한다.


○ 화아형성에 관한 저온처리 효과

자연환경 조건하에서의 화아형성은 겨울저온을 받은 후 4월 하순에 시작되며 이러한 것은 화아형성에 저온처리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상사화와 석산 두 종을 노지에서 가온하우스로 옮기는 시기를 달리한 실험에서 석산은 1월 20일, 상사화는 3월 20일 까지 저온을 받도록 노지에 놓아둔 후 가온하우스로 옮겨야만 화아가 형성되었다. 저온요구도는 종에 따라 차이가 많았다.

□ 이용분야

절화, 분화, 도로변 조경 및 골프장 등의 조경지피식물로 이용


'화훼재배 > 화훼재배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네모네  (0) 2007.04.15
수선화  (0) 2007.04.15
무스카리  (0) 2007.04.15
글라디올라스  (0) 2007.04.15
아이리스  (0) 2007.04.1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