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나무건축에 있어서 엔진톱의 중요성

 

통나무건축에서의 엔진톱은 모든 작업에 있어서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대표적인

장비이다. 따라서 사용방법과 정비에 있어서도 기계분야에서도 많은 지식을

필요로 한다.

 

허스크바나의 역사

1965년 모델 65가 생산되었습니다. 이 모델은 가지치기 작업과 횡작업 그리고 벌목에 적합한 첫 번째 엔진톱입니다.

1969: 모델 180이 생산되었습니다. 세계에서 최초로 방진장치가 장착되었다. 또한 몸체와 핸들이 분리되는 기본적 개념이 이때부터 적용되었는데 지금까지도 이 개념이 사용되며 타 경쟁회사들이 이 개념을 도용해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1975: 역동적인 체인브레이크 장치가 적용되기 시작하였다.

1981: 모델 133생산시작되었습니다. 소음수준이 100dB이하의 수준을 갖춘 세계최초의 톱을 생산하기 시작하였습니다.

1984: 허스크바나 모델 40이 생산되기 시작하였는데 이 모델은 무게를 줄이는 재질의 크랑크케이스를 생산하기 시작한 세계최초의 엔진톱입니다.

 

1989: 새로운 혁신적인 에어크리너시스템이 262XP에 적용되었습니다. 그것은 원심력을 갖춘 에어인잭션 장치입니다. 현재 허스크바나의 모든 엔진톱은 이장치를 장착해 나가고 있습니다.

 

1990: 환경친화적인(매연을 줄여주는) 모델242 엔진톱이 생산에 들어 갔습니다

 

1998: 몇 개의 여러 가지 크기의 새로운 엔진톱이 생산중입니다. 이들은 체인톱 시장에서 가장 낮은 진동수준을 가지고 있으며 40CC~50CC급의 전혀 새로운 세대의 엔진톱입니다.

 

 

엔진톱 허스크바나의 명칭


시동걸기 방법

조립이 제대로 되었는지 확인하고 체인 브레이크를 풀고 주위에 사람이 없는 상태에서 실시하십시오

 

1) 엔진이 차가울때

   

1.스위치(10)을 바깥 쪽으로 밀고 쵸크레바(8)를 당기십시오.
2.감압밸브(22)가 달린 엔진톱은 이 밸브를 눌러주면 시동이   원할합니다.
3.왼 손으로 앞 핸들(2)을 잡아 누르고 발로 발판(19)을 밟고 시동 손잡이(6)를 10회 정도 힘껏 당기면 시동이 걸렸다가 꺼집니다.
4.쵸크레바(8)를 밀어넣고 악세레바 상, 하(21,20)를 동시에 잡았다가 놓으면 딱소리가 납니다.

5.다시 왼 손으로 앞 핸들(2)을 잡아 누르고 발로 발판(19)을 밟고 시동 손잡이(6)를 3회 정도 힘껏 당기면 시동이 걸립니다

 

2) 시동이 안걸리면

쵸크레바(8)를 당겼다가 밀어 넣고 3회 정도 당기면 시동이 걸리고 체인이 돌아갑니다. 10초 정도 후에 악세레바 상, 하(21, 20)를 동시에 잡았다가 놓으면 저속 상태가 됩니다.

 

3) 노킹현상과 조치

초보자가 많이 실수하는 경우로서 시동 방법 3번까지 실시하였으나, 1차 시동을
인식하지 못하고 계속 반복하면. 실린더 안에 연료가 차게되고 점화플러그가 젖게
되어서 시동이 걸리지 않는 현상을 말합니다.
8이 현상을 조치하려면 쵸크레바(8)를 밀어 넣고 플러그렌찌로 점화플러그를 뺀 후
에 엔진톱을 뒤집어놓고, 고여 있는 연료가 모두 나올 때 까지 시동 손잡이를 반복
하여 당기십시오. 실린더 위와 점화플러그에 물은 연료를 헝겊으로 닦고 다시 원상
복귀 한 후 시동방법 4번부터 작동 하여주십시요.

4) 체인브레이크 풀기

브레이크 핸들(3)을 앞 핸들(2)방향으로 힘껏 당기면 체인 브레이크가 풀립니다.
- 만일 체인 브레이크가 잠긴 상태에서 엔진을 작동시키면 클러치와 카바 부위에

치명적인 손상이 일어납니다

 

5) 허스크바나 엔진톱의 안전장치

① 브레이크가 장착된 체인 브레이크
  체인브레이크는 톱에 가장 주요한 안전장치중에 하나입니다. 이장치가 작동되면 톱이 뒤쪽으로 튕기는 반동을 받는 순간에 체인을 멈추는 장치입니다. 허스크바나의 모든 체인톱은 이 장치가 장착되어 있습니다. 체인톱의 사용시 가장 위험한 것은 톱이 뒤로 튕기는 것입니다. 뒤로 튀는 반동작동은 체인이 감겨 돌아가는 톱판의 끝에서 톱판의 길이의 1/4부분 이내에 어떤 물체가 와 닿거나 이 부분을 이용해 절단을 시도할 경우에 발생합니다.이런 경우 톱판 끝이 위로 튀어오르려 하게되고 회전하는 체인의 힘에 의해 톱이 위로 떠밀리게 됩니다. 체인톱을 사용시 끝부분이 닿지 않게 유의하여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② 톱날 받침 장치
  체인의 관리 소홀로 사용 중 끊어질 수가 있습니다. 이때에 체인 톱날 받침은 체인이 뒤로 날아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③ 오른손 보호장치
  체인이 끊어졌을시 사용자의 손가락을 보호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④ 안전장치가 가미된 악세레바(상)
  속도를 증폭시키려면 반드시 악세레바(상)의 안전장치를 풀어야 하므로 무의식중의 위험으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⑤ 정지장치
  체인톱의 엔진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정지시킬 수 있도록 편리함 위치에 고정되어 있습니다.

 

6) 작동방법 및 안전수칙

① 연료와 체인 오일 주입방법

  • 혼합유-휘발유와 2싸이클 엔진오일을 혼합하여 사용하십시요.
  • 혼합비-휘발유 :엔진톱 전용 엔진오일 =
                     50 : 1(수입오일 사용시)
               휘발유 :일반 2싸이클 엔진오일 =
                     20 : 1
  • 체인오일- 자동차용 기아오일
    (여름철 EP120방, 겨울철 EP90방)

 

② 시동방법

  • 스위치를 켜고, 쵸크레바를 당기십시요.
    (단, 모델 340, 345, 346, 351은 쵸크레바를 당기면 동시에 작동됨)
  • 감압밸브를 눌러주십시요.(감압밸브가 있는 모델에 한함)
  • 스타트를 빠른 속도로 5~6회 정도 당겨서 1차 시동이 걸리면 쵸크레바를 원위치로 밀어주고 다시 3~4회 당기면 시동이 걸립니다.
    (단, 모델 40,42,246,51,371은 악세레바를 당겨서 원위치 시킴.)
  • 잠시 사용을 중지했을 경우 쵸크레바를 사용하지 마십시요.

 

③ 안전수칙

  • 주위에 위험요소를 완전히 제거하십시요.
  • 안전모, 안전화, 안전장갑 등 안전장비를 꼭 착용하십시요.
  • 작업시 자신의 위치와 자세에 신경을 쓰십시요.
  • 날 끝부분으로 작업시 톱이 튕기기 때문에 손잡이를 견고하게 잡고 가능한한 톱판의 중간 부분을 이용하십시요.

 

7) 엔진톱의 선택법

모 델 명

규 격

사용용도  

340
345CB
350CB
51CB
353CB

16"
16"
18"
16"
16"

소형(가정용)

346XP

16"

간벌용  

357XP

16"

262XP

18"

통나무집 작업전용

61CB
359CB

  18"
 18"

벌목용
간벌용

365CB
372XP

18"
18"

직업인용(벌목)

288XP
3120XP

24"
34"

제재소용

8) 엔진톱의 부속품

4.8mm 원형줄 / 래커 게이지 / 평면줄 / 렌찌 / 구리스건 / 구리스

 

래커게이지를 이용하여 4.8mm 원형 줄로 체인 톱날을 갈고 있는 모습

 

 

 

 

 

 

                   엔진톱 사용방법

부품명칭(허스크바나)


 

1. 실린더 카바 10. 스위치 19. 오른손 보호 카바
2. 앞 핸들 11. 연료 탱크(연료캡) 20. 악세레바 하
3. 브레이크 핸들 12. 마후라 21. 악세레바 상
4. 스타트 카바 13. 가이드바 로라 22. 감압 밸브
5. 오일 탱크(오일캡) 14. 체인 23. 플러그 렌찌
6. 시동 손잡이 15. 가이드바 24. 가이드바 조절볼트
7. 캬뷰레타 조정구 16. 스파이크 25. 메뉴얼
8. 쵸크레바 17. 톱날 받침 26. 바카바
9. 뒷 핸들 18. 클러치 카바 27. 오일량 조절볼트

*조립이 제대로 되었는지 확인하고 체인 브레이크를 풀고 주위에 사람이 없는 상태에서 실시하십시오.

엔진이 차가울때

1.스위치(10)을 바깥 쪽으로 밀고 쵸크레바(8)를 당기십시오.
2.감압밸브(22)가 달린 엔진톱은 이 밸브를 눌러주면 시동이 원할합니다.
3.왼 손으로 앞 핸들(2)을 잡아 누르고 발로 발판(19)을 밟고 시동 손잡이(6)를 10회 정도 힘껏 당기면 시동이 걸렸다가 꺼집니다.
4.쵸크레바(8)를 밀어넣고 악세레바 상, 하(21,20)를 동시에 잡았다가 놓으면 딱소리가 납니다.
5.다시 왼 손으로 앞 핸들(2)을 잡아 누르고 발로 발판(19)을 밟고 시동 손잡이(6)를 3회 정도 힘껏 당기면 시동이 걸립니다.
* 시동이 안걸리면 *

쵸크레바(8)를 당겼다가 밀어 넣고 3회 정도 당기면 시동이 걸리고 체인이 돌아갑니다. 10초 정도 후에 악세레바 상, 하(21, 20)를 동시에 잡았다가 놓으면 저속 상태가 됩니다.

6.시동을 끄려면 스위치(10)를 안 쪽으로 밀어 주십시오.
엔진이 따뜻할 때
1.스위치(10)를 왼쪽으로 밀고 바로 시동을 겁니다.
브레이크 핸들(3)을 앞 핸들(2)방향으로 힘껏 당기면 체인 브레이크가 풀립니다.
- 만일 체인 브레이크가 잠긴 상태에서 엔진을 작동시키면 클러치와 카바 부위에
치명적인 손상이 일어납니다.
초보자가 많이 실수하는 경우로서 시동 방법 3번까지 실시하였으나, 1차 시동을
인식하지 못하고 계속 반복하면. 실린더 안에 연료가 차게되고 점화플러그가 젖게
되어서 시동이 걸리지 않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 현상을 조치하려면 쵸크레바(8)를 밀어 넣고 플러그렌찌로 점화플러그를 뺀 후
에 엔진톱을 뒤집어놓고, 고여 있는 연료가 모두 나올 때 까지 시동 손잡이를 반복
하여 당기십시오. 실린더 위와 점화플러그에 물은 연료를 헝겊으로 닦고 다시 원상
복귀 한 후 시동방법 4번부터 작동 하여주십시요.

............................................................................................................................

* 나무를 자를 때는 가능한 손잡이가 달린 몸체의 가장 가까운 톱바 부분으로 절단하여야

  한다.

* 새 체인 사용후 20분정도 지나면 체인은 재조정해 주어야 한다. 

엔진톱 사용 시 주의할 점

처음 시동을 거는 경우에는 쵸크를 사용한다. 이 경우 시동줄을 한번만 당기는 것을 명심해야한다. 만약 여러 번 당기는 경우에는 엔진 실린더 안에 기름이 가득 차는 현상이 일어난다. 일명 노킹(knocking)현상이라고 하는데, 가벼운 경우에는 작동 레버를 정지에 놓고 시동줄을 여러 번 당겨 실린더 안에 기름이 유입되지 않는 상태에서 내부를 말릴 수가 있다. 심한 경우에는 엔진의 쵸크를 분해하여 닦고, 또한 톱을 거꾸로 하고 시동줄을 당겨 기름을 쏟아내야 한다.

 

 

 

 

 

 

'농사일반 > 농기자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귀와 까귀  (0) 2007.04.17
  (0) 2007.04.17
손대패  (0) 2007.04.17
루터-보쉬  (0) 2007.04.17
직소기-보쉬  (0) 2007.04.1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