멸강나방
1. 발생원
  국내에서는 겨울을 지내지 못하므로 해외로부터 비래하는 것으로 추정됨
 
2. 비래 및 발생시기
  - 1년에 1∼2회 발생
- 1차 비래 : 5월하순 ∼ 6월상순
- 2차 비래 : 7월중순 ∼ 7월하순
※ 비래시기는 당년도의 기상상태 및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대체로 봄철 기온이 높은해 일수록 발생시기가
앞당겨짐.
 
3. 형태
  - 어른벌레 : 엷은 갈색으로 암컷의 몸길이가 20mm 정도이며, 앞날개 가운데 흰색의 무늬가 1개 있고 수컷은
암컷에 비해 약간 작음.
- 애벌레 : 몸의 길이는 45mm 정도이고 전면의 색깔은 녹색에 암색의 띠를 갖고 있으며 배부분은 담황자홍색임.
- 번데기 : 황갈색 - 적갈색의 방추형으로 길이는 22mm 내외임.
- 알 : 길이는 1mm 정도이고 처음에는 황백색이지만 나중에는 암갈색이 됨.
 

4. 기주식물 및 분포

  기주는 화본과 작물(벼, 맥류, 옥수수, 수수, 귀리 등), 화본과 잡초(바랭이, 잔디. 피 등) 및 목초 등 화본과 식물의 대부분으로 기주범위가 넓음.
화본과 작물 및 목초 등이 없으면 두과식물도 가해하며, 특히 질소질 시용량이 많은 초지에 주로 발생함.
우리나라, 중국, 일본, 인도, 오스트레일리아, 아프리카, 미국 등지에 광범위하게 분포함.
 
5. 생활사
  어른벌레의 수명은 10∼15일간으로 작물의 당분을 빨아먹으며 마른 잎에 20∼30개의 무더기로 700개 정도 산란함.
알은 4∼5일 후 부화하며 애벌레 기간은 25∼26일, 번데기 기간은 7∼10일임.
※ 유충의 발육적온은 25℃ 정도이며 2∼3일을 주기로 6∼7회 탈피한 후 번데기가 됨.
 
6. 가해양상
  애벌레는 1∼5일 동안 밤낮없이 잎살만 갉아먹다가 차차 흩어지는데, 수일내에 잎집만 남기고 먹어 치운 후 다른 논이나 초지로 이동하여 피해를 입힘.
4령후부터는 낮에는 땅표면에 숨어있다가 밤에만 나와서 피해를 줌.
4령이후에 피해증상이 발견될 때는 이미 노숙유충이거나 번데기 상태로 되어 방제 약제에 대한 저항력이 커짐.
 
7. 방제대책
  사료작물 또는 초지에 멸강나방이 일단 발생하면 수일내에 넓은 지역으로 확산되므로 예찰 및 초기방제에 만전을 기해야 함.
 
약제에 의한 방제
- 적용약제
벼, 옥수수 : 파프유제(엘산, 씨디알),
목 초 지 : 델타린유제(데시스), 에스펜발러레이트(적시타),비티수화제(그물망, 바이오비트, 슈리사이드, 비티사이드)
- 살포방법
유충발생 초기에 1,000배액을 10a당 100∼140ℓ 살포
- 목초가 길 게 자란 초지는 목초를 예취한 다음 살포하는 것이 효과적임.
- 약제 살포 후 1주일 이상 경과 후 가축에 이용
 
물리적인 방법 (대량 집단 발생시)
주위에 구덩이를 파서 이동을 저지시키거나, 논두렁이나 밭두렁에 비닐을 쳐놓아 미끄러워 넘어가지 못하여
모여있을 때 약제를 살포.
 
초지·사료포의 병해충 발생조건 및 방제대책

구  분

병해충명

발생시기
(월)

발 생 조 건

방 제 대 책

초  지

멸강나방

5∼7월
(연2회정도발생)

국내 월동 불가능하여 해외에서 비래하는 것으로 추정

화본과 작물을 위주로 가해

봄철 기온이 높은해에 발생시기가 앞당겨짐.

유충 발육적온 : 25℃ 정도

약제살포 : 파프유제, 디프수화제
목초가 길 게 자랐을 때는 예취후 살포
약제 살포후 1주일이상 경과한 다음 사료로 이용
대량 집단 발생시 논(밭)두렁에 비닐을 쳐놓아 한곳으로 몰리게 한 다음 약제살포

담  근

먹이용

옥수수

멸강나방

5∼7월
(연2회정도발생)

국내 월동 불가능하여 해외에서 비래하는 것으로 추정

화본과 작물을 위주로 가해

봄철 기온이 높은해에 발생시기가 앞당겨짐.
유충 발육적온 : 25℃ 정도

약제살포 : 파프유제, 디프수화제
약제 살포후 1주일이상 경과한 다음 사료로 이용
대량 집단 발생시 논(밭)두렁에 비닐을 쳐놓아 한곳으로 몰리게 한 다음 약제살포

풋베기용

수수류

멸강나방

5∼7월
(연2회정도발생)

국내 월동 불가능하여 해외에서 비래하는 것으로 추정

화본과 작물을 위주로 가해

봄철 기온이 높은해에 발생시기가 앞당겨짐.
유충 발육적온 : 25℃ 정도

약제살포 : 파프유제, 디프수화제
약제 살포후 1주일이상 경과한 다음 사료로 이용
대량 집단 발생시 논(밭)두렁에 비닐을 쳐놓아 한곳으로 몰리게 한 다음 약제살포

멸강나방

6∼9월

고온다습시 줄기 하단부로부터 그을음 병반 발생

내병성품종 선택 재배 : SX-17, P855F, 점보 등
발생 즉시 수확하여 사료로 이용
수확직후 질소질비료 시용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