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발생원 |
|
국내에서는 겨울을 지내지 못하므로 해외로부터 비래하는 것으로 추정됨 | |
|
2. 비래 및 발생시기 |
|
- 1년에 1∼2회 발생 - 1차 비래 : 5월하순 ∼ 6월상순 - 2차 비래 : 7월중순 ∼ 7월하순 ※ 비래시기는 당년도의 기상상태 및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대체로 봄철 기온이 높은해 일수록 발생시기가 앞당겨짐. | |
|
3. 형태 |
|
- 어른벌레 : 엷은 갈색으로 암컷의 몸길이가 20mm 정도이며, 앞날개 가운데 흰색의 무늬가 1개 있고 수컷은 암컷에 비해 약간 작음. - 애벌레 : 몸의 길이는 45mm 정도이고 전면의 색깔은 녹색에 암색의 띠를 갖고 있으며 배부분은 담황자홍색임. - 번데기 : 황갈색 - 적갈색의 방추형으로 길이는 22mm 내외임. - 알 : 길이는 1mm 정도이고 처음에는 황백색이지만 나중에는 암갈색이 됨. | |
|
4. 기주식물 및 분포 |
|
기주는 화본과 작물(벼, 맥류, 옥수수, 수수, 귀리 등), 화본과 잡초(바랭이, 잔디. 피 등) 및 목초 등 화본과 식물의 대부분으로 기주범위가 넓음. 화본과 작물 및 목초 등이 없으면 두과식물도 가해하며, 특히 질소질 시용량이 많은 초지에 주로 발생함. 우리나라, 중국, 일본, 인도, 오스트레일리아, 아프리카, 미국 등지에 광범위하게 분포함. | |
|
5. 생활사 |
|
어른벌레의 수명은 10∼15일간으로 작물의 당분을 빨아먹으며 마른 잎에 20∼30개의 무더기로 700개 정도 산란함. 알은 4∼5일 후 부화하며 애벌레 기간은 25∼26일, 번데기 기간은 7∼10일임. ※ 유충의 발육적온은 25℃ 정도이며 2∼3일을 주기로 6∼7회 탈피한 후 번데기가 됨. | |
|
|
6. 가해양상 |
|
애벌레는 1∼5일 동안 밤낮없이 잎살만 갉아먹다가 차차 흩어지는데, 수일내에 잎집만 남기고 먹어 치운 후 다른 논이나 초지로 이동하여 피해를 입힘. 4령후부터는 낮에는 땅표면에 숨어있다가 밤에만 나와서 피해를 줌. 4령이후에 피해증상이 발견될 때는 이미 노숙유충이거나 번데기 상태로 되어 방제 약제에 대한 저항력이 커짐. | |
|
7. 방제대책 |
|
사료작물 또는 초지에 멸강나방이 일단 발생하면 수일내에 넓은 지역으로 확산되므로 예찰 및 초기방제에 만전을 기해야 함. |
|
약제에 의한 방제 |
- 적용약제 벼, 옥수수 : 파프유제(엘산, 씨디알), 목 초 지 : 델타린유제(데시스), 에스펜발러레이트(적시타),비티수화제(그물망, 바이오비트, 슈리사이드, 비티사이드) - 살포방법 유충발생 초기에 1,000배액을 10a당 100∼140ℓ 살포 - 목초가 길 게 자란 초지는 목초를 예취한 다음 살포하는 것이 효과적임. - 약제 살포 후 1주일 이상 경과 후 가축에 이용 |
|
물리적인 방법 (대량 집단 발생시) |
주위에 구덩이를 파서 이동을 저지시키거나, 논두렁이나 밭두렁에 비닐을 쳐놓아 미끄러워 넘어가지 못하여 모여있을 때 약제를 살포. |
|
초지·사료포의 병해충 발생조건 및 방제대책 |
구 분 |
병해충명 |
발생시기 (월) |
발 생 조 건 |
방 제 대 책 |
초 지 |
멸강나방 |
5∼7월 (연2회정도발생) |
국내 월동 불가능하여 해외에서 비래하는 것으로 추정
화본과 작물을 위주로 가해
봄철 기온이 높은해에 발생시기가 앞당겨짐.
유충 발육적온 : 25℃ 정도 |
약제살포 : 파프유제, 디프수화제 목초가 길 게 자랐을 때는 예취후 살포 약제 살포후 1주일이상 경과한 다음 사료로 이용 대량 집단 발생시 논(밭)두렁에 비닐을 쳐놓아 한곳으로 몰리게 한 다음 약제살포 |
담 근
먹이용
옥수수 |
멸강나방 |
5∼7월 (연2회정도발생) |
국내 월동 불가능하여 해외에서 비래하는 것으로 추정
화본과 작물을 위주로 가해
봄철 기온이 높은해에 발생시기가 앞당겨짐. 유충 발육적온 : 25℃ 정도 |
약제살포 : 파프유제, 디프수화제 약제 살포후 1주일이상 경과한 다음 사료로 이용 대량 집단 발생시 논(밭)두렁에 비닐을 쳐놓아 한곳으로 몰리게 한 다음 약제살포 |
풋베기용
수수류 |
멸강나방 |
5∼7월 (연2회정도발생) |
국내 월동 불가능하여 해외에서 비래하는 것으로 추정
화본과 작물을 위주로 가해
봄철 기온이 높은해에 발생시기가 앞당겨짐. 유충 발육적온 : 25℃ 정도 |
약제살포 : 파프유제, 디프수화제 약제 살포후 1주일이상 경과한 다음 사료로 이용 대량 집단 발생시 논(밭)두렁에 비닐을 쳐놓아 한곳으로 몰리게 한 다음 약제살포 |
멸강나방 |
6∼9월 |
고온다습시 줄기 하단부로부터 그을음 병반 발생 |
내병성품종 선택 재배 : SX-17, P855F, 점보 등 발생 즉시 수확하여 사료로 이용 수확직후 질소질비료 시용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