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 월달 관리

작  업  명

주               요               내               용

적     과

ㅇ마지막 열매솎기

  -결과모지에서 발생된 새가지수가

   * 3개이하일 때 : 1개

   * 4개이상일 때 : 2개 남김

  -엽과비를 기준 할 때

   * 어린나무 : 15장

   * 성과수 : 20장

   * 늙은나무: 25장에 1과 기준으로 적과

하 계 전 정

ㅇ불필요한 가지 수시 제거

ㅇ늘어진 가지는 매달아 주던지 지주로 받혀준다

병 충 방 제

ㅇ대상병충: 낙엽병,탄저병,깍지벌레류

<7월의 병해충 방제>

가. 병해
7월 상순경에 둥근무늬낙엽병균의 포자비산이 종료되므로 이 시기에 탄저병 또는 흰가루병과 함께 낙엽병을 방제한다. 6월에 방제를 충분히 하였고, 강우가 없거나 병 발생이 심한 과원이 아니라면 약제살포를 생략할 수도 있다.

지난해 탄저병 발생이 많았던 과원은 비 오기 전 보호살균제를 살포하거나 비가 그친 직후 침투성 약제를 살포할 필요가 있다.

탄저병의 경우 병든 가지나 과실은 수시로 제거하여 소각하거나 땅속에 묻어야 전염을 막을 수 있다. 탄저병은 이 때에 방제가 제대로 되지 않으면 가을 성숙기에 과실에 훨씬 큰 피해를 주므로 철저한 방제를 해야 한다. 흰가루병은 심각한 피해를 주지는 않으나 발병이 증가할 경우 적용약제를 살포하여야한다.
* 약제종류는 첨부파일 내용을 참고하십시오.

나. 충해
7월이 되면 노린재 발생이 많아지고 감꼭지 나방도 2화기 성충이 나타나기 시작한다. 노린재는 방제가 매우 까다로운데, 재배적 방법과 아울러 약제방제를 하여야 방제효과를 높일 수 있다. 노린재 방제를 위한 재배적 방법으로는 과원 내 기주식물을 제거하고, 기피효과를 위하여 야간에 황색나트륨등(150W)을 설치 등을 들 수 있다.
노린재 방제약제를 살포할 때는 합성피레스로이드 계통 약제를 연용하는 것보다 다른 약제와 교호로 살포하는 것이 과원 내 천적 곤충의 소멸을 막고 응애류의 발생을 줄이는 방법이다. 합성피레스로이드계 약제로는 델타린 유제, 싸이스린 수화제, 에토펜프록스 수화제·유제 등이 있고 치아니코티닐계로 치아메톡삼 입상수화제가 있다.
감꼭지나방은 유충기에는 과실 속에 서식하기 때문에 약제를 살포해도 효과가 거의 없다. 따라서 나방이 된 성충기에 살포해야 하는 데 6월 상·중순기에 이어 2번째로 성충이 되는 시기가 7월 하순~8월 중순경이다.
감꼭지나방에 등록된 적용약제들은 종류가 많이 있으므로 노린재 또는 깍지벌레가 피해가 많은 과원에서는 이들 해충과 겸해서 방제할 수 있는 약제를 선택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과일나무재배 >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월별관리포인트-9월.  (0) 2007.07.28
월별관리포인트-8월.  (0) 2007.07.28
월별관리포인트-6월.  (0) 2007.07.28
월별관리포인트-5월.  (0) 2007.07.28
월별관리포인트-4월.  (0) 2007.07.2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