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둥근무늬낙엽병(圓星落葉病)

     ▷ 병원균 : Mycosphaerella nawae (자낭균류)


  감 재배지에서 흔하게 나타나며 피해를 입은 나무는 조기 낙엽 하고 과실이 낙과되거나 연화되며, 낙과되지 않더라도 과실 비대가 불량하고 당도가 떨어진다. 해에 따라서는 발병 후 잎이 붉게 변하기 전에 일시에 낙엽이 지는 급성 피해도 나타난다.


  1) 피해증상

  ∙잎에만 발생되며 9월 이후 병반이 나타난다.

  ∙병반은 처음 아주 적은 검은 점으로 나타나나 점차 커지면서 3~5mm

  정도가 되며, 간혹 7mm 정도의 큰 병반도 있다.

  ∙병반부 안쪽은 적갈색, 주위는 처음은 검은색 띠가 나타나며 오래되면 녹

   색의 띠로 변하며 병반 주위는 붉게 변한다.

  ∙병반이 나타나면 급격히 낙엽이 지고 과실은 홍시로 변한다.

  ∙자람세가 나쁜 나무에서 발병이 심하고 병반도 빨리 나타나며, 자람세

  가 왕성할수록 늦게 나타난다.


  2) 발생 경로

  ∙전염원 : 병반이 형성된 낙엽

  ∙낙엽의 병반 속에서 균사형태로 겨울을 지낸다.

  ∙4월과 5월에 자낭각을 형성하고, 5월과 7월 사이에 자낭포자를 만들

   어져 비산하여 잎의 기공을 통하여 침입한다.

  ∙잠복기가 길어 감염 후 90~120일이 지난 후에 병반이 나타나며 최근

   에는 생육기간 중에도 2차 감염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포자 비산 최성기는 5월 하순~7월 상순으로 이때가 감염 최성기이기

   도 하다.

 

  3) 발생되기 쉬운 조건

  ∙5월~6월에 비가 많은 해에 특히 발병이 심하다.

  ∙여름철 기온이 낮은 해에 발병이 심하다.

  ∙척박한 포장, 비료 부족에 의하여 수세가 약하면 발병이 심하다.

  ∙작토 층이 얕은 포장에서 발병이 심하다.


  4) 방제대책

  ∙나무가 건강하면 발병이 적다.

  ∙토양은 깊이갈이를 해주고 시비 등 수세 관리에 신경을 쓴다.

  ∙과수원의 표토 유실을 방지한다.

  ∙척박한 과수원, 세력이 약한 나무에는 밑거름을 충분히 시용한다.

  ∙제 1차 전염원인 피해 낙엽을 철저히 제거한다.

  ∙비가 온 후에 포자 비산이 많으므로 포자 비산 최성기인 5월 하순~7

  월 상순 사이 주기적으로 약제 방제를 실시한다.

'과일나무재배 >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지.전정 결실관련 연구..  (0) 2007.10.21
선사환감 대봉감 동철감 묘목특성비교 ..  (0) 2007.10.21
둥시 감나무 식재법  (0) 2007.10.21
뿌리혹병..  (0) 2007.10.21
감 떫은 맛을 없애는 방법 ...  (0) 2007.10.2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