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재배적지 |
|
기후상으로 보면 우리나라 전역에 재배가 가능하나 이상적인 곳은 반음지로서 서북향의 서늘한 완경사지가 적당하고 강한 바람에 영향을 받지 않는 계곡이나 방풍림이 있는 곳이 좋으며 7~8월에 강한 햇볕을 받지 않는 곳이 좋다. 토질은 수분이 적당히 있고 부식질이 많은 모래참흙이 좋으며, 잔뿌리성 식물이므로 가뭄지대나 양지는 생육이 좋지 않다. |
|
|
|
|
|
|
|
2. 재배기술 |
|
|
가. 번식 |
|
|
번식은 실생, 포기나누기, 꺾꽂이 및 접목법 등으로 할 수 있으나 주로 실생 및 포기나누기법으로 하고 있다. 실생번식은 종실수확까지 오랜시일이 걸리는 단점이 있으나 대량증식이 가능하고 포기나누기번식은 좋은 방법이나 대량증식이 되지 않는 것이 단점이다. |
|
|
|
(1) 실생번식법 |
|
|
|
가을에 수확한 종자를 모래와 섞어 노천매장하여 두었다가 이듬해 3월 중·하순경 파종하는데 모판은 물관리가 잘되는 곳을 택하여 10a당 잘 썩은 퇴비 3,000㎏과 닭똥 200㎏을 넣고 흙과 잘 혼합하여 1.2m의 두둑을 만들어 땅을 고른 다음 흩어뿌림하거나 줄뿌림한 후 흙을 덮고, 그 위에 볏짚을 피복하여 물을 충분히 주어야 한다. 아주심는 포기수는 1,000포기 정도이며, 이때 모판면적은 25㎡가 필요하다. 모판관리는 발아 후 볏짚을 걷어내고 건조하지 않도록 1주에 1회 정도 물주기를 해주도록 하며, 웃거름은 생육상태를 보아가면서 하되 8월 중순이후는 되도록 삼가해야 한다. |
|
|
|
|
|
|
|
|
|
|
|
|
|
그림 1. 오미자 자화 및 웅화 |
|
|
|
|
|
|
|
|
|
(2) 포기나누기 번식 |
|
|
|
봄, 가을에 원가지에서 생긴 새끼친 포기는 뿌리를 붙여서 포기를 나누되 지상부는 30~50㎝만 남기고 잘라서 곧바로 심는다. 많은 분주묘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원가지를 잘라 성토하여 새끼치기를 조장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
|
|
|
|
|
|
|
|
나. 아주심기 |
|
|
|
(1) 묘목준비 |
|
|
|
실생묘는 가지가 여러 개 나오므로 굵은가지 1~2본만 남기고 잘라버린후 캐낸다. 캐낸 묘목은 뿌리가 마르지 않도록 곧바로 한때심기하고, 아주심을 때도 젖은 거적같은 것으로 덮어놓고 심어간다. |
|
|
|
|
|
|
|
|
|
(2) 아주심는 시기 및 방법 |
|
|
|
아주심는 시기는 10월 중순~11월 상순과 이듬해 3월 중·하순경이다. 심는 거리는 토질과 지형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울타리, 밭둑에는 30~40㎝ 간격으로 심고, 산지에는 60~90㎝ 간격으로 심으며 밭에서는 두둑을 2m 간격으로 만들고 50~60㎝ 거리로 심는다. 심는 방법은 구덩이를 30~40㎝ 정도로 파고 잘 썩은 퇴비 3~5㎏, 닭똥 1㎏정도를 흙과 혼합한 후 뿌리를 잘 펴서 심는다. |
|
|
|
|
|
|
|
|
|
(3) 거름주는 양 및 방법 |
|
|
|
아주심은 후 2년째부터는 봄에 일반 과수원과 같이 윤상시비한다. 웃거름은 6월 중순경 포기당 잘 썩은 퇴비 4㎏과 복합비료(17-17-17) 25㎏을 주고, 8월 상순경에 복합비료 25㎏을 한번 더 준다. 아주심은 후 3년째부터 열매를 맺으므로 이때는 인산 및 칼리질비료를 더 주어 열매맺힘을 촉진시킨다. |
|
|
|
|
|
|
|
3. 관리 |
|
|
가. 지주세우기 |
|
|
오미자밭의 지주는 울타리형과 입체형을 만들지만 울타리형은 초기생육을 촉진시켜 조기수확을 위하여 배게 재배할 경우에 적합하고 입체형은 표준거리로 심어 장기적으로 수확할 때 실시하는 방법이다. |
|
|
|
|
|
|
|
|
나. 가지다듬기 |
|
|
오미자는 아주심은 후 3년째부터 묵은가지에서 열매를 맺기 시작한다. 열매맺는 습성은 햇가지에서는 열매를 맺지 않고 2년된 줄기에서 열매가 맺으므로 전지법을 잘 알고 실시해야 한다. 가지다듬기는 눈의 상태, 줄기의 발달, 줄기비대정도를 고려하여 연약한 가지는 제거하고, 충실한 가지만 남기되 햇빛 및 통풍 등을 고려하여 다듬어 주도록한다. 또한 가을이나 봄에 2년생 덩굴을 4~5㎝ 남기고 다듬으면 많은 가지가 생겨 4년생부터는 단위면적당 수량을 높일 수 있다. 오미자는 수년이 지나면 노화가 일어나 열매가 적게 열리므로 햇줄기로 대체하여 언제나 수량이 떨어지지 않도록 유의하여야 한다. |
|
|
|
|
|
|
|
|
다. 열매떨어짐 방지 |
|
|
열매가 떨어지는 원인은 지나치게 습하여 물빠짐이 나쁘거나 가뭄이 심할 때, 산성토양 및 양분결핍에서 일어나므로 관리에 철저를 기해야 한다. 마그네슘결핍으로 잎에 황갈색의 반점이 생기면서 열매가 떨어질 때는 10a당 고토석회 20㎏을 주거나 황산마그네슘 5~6㎏을 뿌려주도록 하며, 붕소결핍이 되면 잎에 위축현상이 일어나므로 2~3년 주기로 붕사를 10a당 3~4㎏을 뿌려주도록한다. |
|
|
|
|
|
|
|
|
표 1. 오미자 열매맺는 습성 (중국 약용식물 재배학 : 1979) |
|
|
조사포기수 |
줄기연령 |
열매달린 줄기수 |
열 매 달 린 수 |
줄기수 |
% |
열매수 |
% |
5 |
2년생 3년생 1년생 |
40 3 1 |
90.9 6.8 2.3 |
507 9 1 |
98.1 1.8 0.1 | |
|
|
|
|
|
|
|
4. 수확 및 조제 |
|
|
가. 수확 |
|
|
아주심은 후 3년째부터 수확할 수 있으나 수량이 적고 4~5년째부터 많은 수량을 기대할수 있다. 수확시기는 9월 상순부터 10월까지로 과실이 붉은색을 띠면 수확할 수 있지만 과피가 주름살이 질 정도에서 수확하는 것이 좋다. 미숙과를 수확하게 되면 건조하여도 상품가치는 물론 무게도 떨어진다. 수확은 가급적 맑은날을 택하여 아침 이슬이 마른 다음 열매에서 습기가 제거되었을 때 수확해야 품질이 좋다. |
|
|
|
|
|
|
|
|
나. 건조 및 조제 |
|
|
|
(1) 화력건조 |
|
|
|
건조하는 도중 비를 맞게되면 썩거나 곰팡이가 생기어 색깔도 좋지 않고 품질이 떨어지므로 화력건조를 실시하는 것이 좋은데 이때 온도는 40℃ 정도가 알맞다. 화력건조시 온도를 너무 높이면 색깔이 검게 되므로 주의해야 한다. |
|
|
|
|
|
|
|
|
|
(2) 햇볕건조 |
|
|
|
햇볕에 말리면 약 1주일 정도 소요되는데 이때는 건조중 비에 맞지 않도록 유의해야 한다. 이렇게 건조된 오미자는 종이봉지나 마대에 넣어 바람이 잘 통하는 곳에 보관하고 습기가 있으면 곰팡이가 발생하므로 오래 보관시에는 수시로 관찰하여 다시 건조시켜서 보관하도록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