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부위별 판단
(가) 잎 ○ 잎맥 사이가 황화되며 심하면 갈변되어 낙엽된다. → 마그네슘결핍(비료요소), 생리적 역할(마그네슘) ○ 새가지 선단부의 잎에 노란 반점들이 생겨 잎이 누렇게 되고, 2차 생장지의 잎은 심한 황화로 황백화 현상 → 철 결핍(비료요소), 생리적 역할(철) ○ 봄에 1년생 가지의 잎눈의 발아가 늦고 잠자는 상태로 남아 있다. → 붕소 결핍(비료요소), 생리적 역할(붕소) ○ 손으로 건드리거나 바람이 불면 잎자루가 부러지면서 낙엽이 되어 6월하순∼7월초순에 신초만 앙상하게 남게 된다. → 붕소 과다(비료요소), 생리적 역할(붕소)
(나) 줄기·가지 ○ 신초와 2∼3년생 가지에 울퉁불퉁한 융기증상, 그 하부조직이 검게 죽고, 가지 선단으로부터 말라 죽는다 → 적진병(망간과다) ○ 수확기까지도 신초의 2차 생장이 많다. → 질소 과다, 마그네슘 결핍(비료요소), 생리적 역할(질소) ○ 새가지의 곁순이 총생현상, 1년생 가지가 울퉁불퉁하게 거칠고 그 부위의 표피를 칼로 벗겨 보면 검게 죽은 조직이 섞여 있다. → 붕소 결핍(비료요소), 생리적 역할(붕소) ○ 6월중순부터 신초 끝이 검게 고사 → 붕소 과다(비료요소), 생리적 역할(붕소)
(다) 과실 ○ 체와부의 과피에 주로 반점이 생기며, 과피 밑의 과육세포는 저장중에 코르크화 - 적색품종은 암적색, 황색품종은 녹색∼회록색의 2∼5mm 크기의 반점이 생긴다. → 반점성 장해, 고두병(비료요소), 생리적 역할(칼슘) ○ 8월하순부터 수확기까지 과피에 직경 5mm 이상의 반점이 생기며, 과면이 약간 오목하게 들어가고 그 아래의 과육은 코르크화 되어 딱딱하고 흑색, 적색 또는 녹색을 나타낸다. → 반점성 장해, 코르크스팟트(비료요소), 생리적 역할(칼슘) ○ 과실이 작아지고 착색이 나쁘고, 과육에 푸른색이 남는다. → 마그네슘 결핍(비료요소), 생리적 역할(마그네슘) ○ 과실 표면이 움푹 들어가고 그 부위 색깔이 짙은 초록색 - 그 아래 과육이 코르크화되어 과실 모양이 부정형이 된다 → 붕소 결핍(비료요소), 생리적 역할(붕소) ○ 과피가 매끈하지 않고 쇠에 녹이 낀 것처럼 거칠어지는 증상 → 동녹 ○ 과육 또는 과심의 일부가 수침상으로 되며, 황색 또는 황록색을 나타낸다. → 밀증상 ○ 과피가 터지는 현상 → 열과
2. 엽면살포 방지
<표 1> 주요성분별 약제 및 살포농도

※출처 : 표준영농교본-농촌진흥청
1. 부위별 판단
(가) 잎 ○ 잎맥 사이가 황화되며 심하면 갈변되어 낙엽된다. → 마그네슘결핍(비료요소), 생리적 역할(마그네슘) ○ 새가지 선단부의 잎에 노란 반점들이 생겨 잎이 누렇게 되고, 2차 생장지의 잎은 심한 황화로 황백화 현상 → 철 결핍(비료요소), 생리적 역할(철) ○ 봄에 1년생 가지의 잎눈의 발아가 늦고 잠자는 상태로 남아 있다. → 붕소 결핍(비료요소), 생리적 역할(붕소) ○ 손으로 건드리거나 바람이 불면 잎자루가 부러지면서 낙엽이 되어 6월하순∼7월초순에 신초만 앙상하게 남게 된다. → 붕소 과다(비료요소), 생리적 역할(붕소)
(나) 줄기·가지 ○ 신초와 2∼3년생 가지에 울퉁불퉁한 융기증상, 그 하부조직이 검게 죽고, 가지 선단으로부터 말라 죽는다 → 적진병(망간과다) ○ 수확기까지도 신초의 2차 생장이 많다. → 질소 과다, 마그네슘 결핍(비료요소), 생리적 역할(질소) ○ 새가지의 곁순이 총생현상, 1년생 가지가 울퉁불퉁하게 거칠고 그 부위의 표피를 칼로 벗겨 보면 검게 죽은 조직이 섞여 있다. → 붕소 결핍(비료요소), 생리적 역할(붕소) ○ 6월중순부터 신초 끝이 검게 고사 → 붕소 과다(비료요소), 생리적 역할(붕소)
(다) 과실 ○ 체와부의 과피에 주로 반점이 생기며, 과피 밑의 과육세포는 저장중에 코르크화 - 적색품종은 암적색, 황색품종은 녹색∼회록색의 2∼5mm 크기의 반점이 생긴다. → 반점성 장해, 고두병(비료요소), 생리적 역할(칼슘) ○ 8월하순부터 수확기까지 과피에 직경 5mm 이상의 반점이 생기며, 과면이 약간 오목하게 들어가고 그 아래의 과육은 코르크화 되어 딱딱하고 흑색, 적색 또는 녹색을 나타낸다. → 반점성 장해, 코르크스팟트(비료요소), 생리적 역할(칼슘) ○ 과실이 작아지고 착색이 나쁘고, 과육에 푸른색이 남는다. → 마그네슘 결핍(비료요소), 생리적 역할(마그네슘) ○ 과실 표면이 움푹 들어가고 그 부위 색깔이 짙은 초록색 - 그 아래 과육이 코르크화되어 과실 모양이 부정형이 된다 → 붕소 결핍(비료요소), 생리적 역할(붕소) ○ 과피가 매끈하지 않고 쇠에 녹이 낀 것처럼 거칠어지는 증상 → 동녹 ○ 과육 또는 과심의 일부가 수침상으로 되며, 황색 또는 황록색을 나타낸다. → 밀증상 ○ 과피가 터지는 현상 → 열과
2. 엽면살포 방지
<표 1> 주요성분별 약제 및 살포농도

※출처 : 표준영농교본-농촌진흥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