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세미나방
 
기관 : 농업과학기술원 작물보호부
 
성명 : 김홍선
 

전화 : 031-290-0642

           
  1. 피해 및 기주
  거세미나방류에는 거세미나방(Agrotis segetum), 숯검은밤나방(Agrotis tokionis), 검거세미나방(Agrotis ipsilon) 등 여러종류가 피해를 주며, 그 기주로는 참깨, 고추, 담배, 토마토, 오이, 콩, 감자, 가지 등 봄에 유묘로 노지에 심는 작물들이 가해대상으로 이른 봄 땅속에서 서식하다가 이른 아침 기주를 이빨로 잘라 놓고 땅속으로 들어가서 갉아 먹는다.
  어린 유충은 작물 또는 잡초 잎 등을 가해하지만 피해는 크지 않아 문제가 되지는 않는다. 그러나 3령이 되면서부터 유충이 땅속으로 들어가 생활하면서 작물의 땅 표면 가까운 부분을 자르고 그 일부를 땅속으로 끌어들여 가해한다. 특히 작물의 생육초기에 줄기나 순을 잘라 결주가 생기는 등 치명적인 피해를 준다. 더욱이 이 해충들은 모두 유충태로 월동하여 봄이 되면 잡초 등을 먹고 자라다가 작물을 심기 위해 밭을 갈아 잡초가 없어진 뒤 작물을 심으면 작물의 생육초기에 집중적으로 작물체의 지제부를 잘라 가해한다. 또한 거세미나방류 유충은 땅속에서 작물의 뿌리나 지하경을 가해하여 식물체를 말라 죽게하며, 작물이 성숙하여 조직이 경화되면 조직이 약한 상단부나 잎을 잘라 피해를 주기도 한다.
   
  2. 생활사
    거세미나방이나 검거세미나방은 연 2~3회 숯검은밤나방은 년 1회 발생으로 유충으로 월동한다. 거세미나방과 검거세미나방 발생최성기는 6월 중순, 8월 중순, 9월 하순경이 되며 숯검은밤나방은 9월 하순이다. 알기간 4일, 유충기간 30일, 번데기기간 18일 정도이다. 성충은 대체로 유아등에 유인이 잘 된다.
  거세미나방류는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일본, 만주, 중국 등 세계 각 지역에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채소를 비롯한 밭작물 및 각종 농작물의 주요 토양해충이다, 토양의 표토 부위에서 살면서 지표면 가까운 작물과 묘목의 줄기나 순을 자르고 땅속으로 끌어들여 가해한다. 특히 밤에 고추, 토마토, 가지, 감자, 배추 등의 채소류와 참깨, 담배 등 밭작물 재배초기에 어린묘의 줄기나 순을 자르고 땅속으로 끌여들여 가해하여 치명적인 피해를 주기 때문에 밤도둑벌레라는 뜻으로 야도충(夜盜蟲)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우리나라에서 발생이 많고 피해가 심한 것은 숯검은밤나방, 검거세미나방, 거세미나방 3종인데 형태 및 가해습성이 비슷하여 구별이 쉽지 않다. 그러나 발생시기 및 정도가 작물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해충의 종류 및 발생생태 등을 정확히 알고 효율적인 방제대책을 강구하는 것이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길이라 생각된다.
   
  표 1. 거세미나방의 종류 및 점유비율
 
종        명 숯검은밤나방 거세미나방 검거세미나방
점유율(%) 80.9 12.2 6.9
   
  3. 형태
    숯검은밤나방은 1924년 국내에서 처음으로 발생이 확인되었으며, 거세미나방류 중 발생량이 가장 많은 우점해충으로 알려져 있다. 성충의 날개편 길이는 50㎜ 정도로서 몸은 암회갈색을 띤다. 앞날개에 콩팥무늬, 고리무늬가 있고 콩팥무늬 옆에 두 갈래로 된 칼무늬가 있다. 유충은 회흑색을 띠며, 점차 흑색이 짙어져서 거세미나방류 중 몸의 색깔이 가장 검다.
  검거세미나방 성충의 날개편 길이는 47~48㎜이고 몸은 진한 회갈색이다. 앞날개에 콩팥무늬, 칼무늬, 그리고 고리무늬가 뚜렷하다. 유충은 다자라면 40㎜정도 된다. 어릴때는 녹색이나 자라면서 갈색을 띤다.
  거세미나방 성충의 날개편 길이는 38~45㎜로 회갈색을 띤다. 중앙부에 콩팥무늬, 고리무늬가 있다. 노숙유충은 40㎜ 정도이다.
   
    가. 거세미나방 성충의 특징
     
    표 2. 거세미나방 성충의 특징
   
해충명 숯검은밤나방
검거세미나방
거세미나방
특징부위
 
1. 앞날개의 무늬
신상문 옆에 검은 반점이갈라져 있음
신상문·검상문·환상문이뚜렷하다 신상문·환상문이 있으나 검상문이 없다
2. 뒷날개의 색깔
회색이다 회색으로 약간 투명하다 유백색이다
3.날개의 크기     앞날개의 길이가
22㎜내외이다
20~23㎜
16~20㎜
     
    나. 유충의 식별방법
      어린유충으로 곤충의 종을 구별한다는 것은 쉽지 않다. 그러나 유충의 자모나 무늬모양, 활동성 등으로 종의 구별이 가능하다.
     
    표 3. 거세미나방 유충의 특징
   
해충명
숯검은밤나방
검거세미나방
거세미나방

특징부위

1. 제1배마디 D1
부근의 피부면
반점이 없다
흰색 망상반점이 크다
흰색 망상반점이 작다
    2. 양가슴 다리의
    기절간의 거리
기절간의 거리보다 앞자모의 거리가 넓다

기절간의 거리보다 앞자모의 거리가 넓다
기절간의 거리보다 앞자모의 거리가 좁다
3. 제1배마디
측면의 반점
숨구멍 부근에 2개의
자모와 1개의 반점이 있다
숨구멍 부근에 2개의
자모가 있다
숨구멍 부근에 2개의
자모가 있다
4. 이빨모양
이빨 내측에 3개의 등선이 있고 이빨이 날카롭지 않다
내측에 3개의 등선이
있고 매우 날카롭다

3개의 등선이 있고
날카롭다
5. 유충의
        활동 상태
동작이 느리다 매우 빠르며 자극을 가할
경우 공격태세를 갖는다
동작이 빠르다
     
  4. 생태
    숯검은밤나방은 1년에 1회 발생한다. 성충은 9월 중순부터 10월 하순에 걸쳐 발생하는데 9월 하순이 발생최성기이다. 성충은 배추잎 등에 평균 700개 내외의 많은 알을 낳는다. 난기간은 6~10일 정도이며, 부화율이 97% 이상으로 매우 높다. 부화유충은 배추잎 등을 갉아먹고 자라다가 3령이 되면서 땅속으로 들어가 3~4령 유충태로 월동한다. 월동유충은 이듬해 봄 3~4월경 기온이 올라가면 활동을 시작한다. 잡초 등 어린식물을 먹고 자라다가 작물을 심으면 작물의 생육 초기에 지제부를 잘라 가해한다. 이른봄인 4월부터 6월상순까지 유충밀도가 높아 이 시기에 거세미나방류 유충중 80% 정도가 숯검은밤나방 유충이다. 월동한 유충은 6월 상순까지 각종 농작물을 가해하다가 하면(여름잠)으로 들어간다. 6월 중순부터 밀도가 차츰 줄어들다가 6월 하순에는 극히 낮아진다. 하면을 하던 유충은 8월 하순에서 9월 상순에 흙으로 고치를 만들고 번데기가 된다. 이때까지의 유충기간이 330일 정도로서 유충기간이 매우 긴 해충이다.
     
  표 4. 거세미나방류의 산란수, 부화율, 용화율 및 우화율
 
거세미나방종류
산란수(개) 부화율(%)
용화율(%)
우화율(%)
    숯검은밤나방
    검거세미나방
    거세미나방
192~1,094(688)
44~687(348)
76~673(319)
97.1
95.6
93.4
80.9
30.6
34.6
92.2
90.2
88.8
  주) ( )내는 평균
       
  표 5. 거세미나방류의 각태별 기간
 
거세미나방종류
난기간 유충기간
용기간
성충기간
      숯검은밤나방
      검거세미나방
      거세미나방
6~10(6.3)
3~5(4.2)
5~7(5.6)
315~334(327.1)
21~38(29.6)
33~47(38.2
21~31(25.1
14~24(17.5)
19~42(27.3)
4~9(6.5)
2~10(5.2)
2~11(5.7)
  주) ( )내는 평균
       
    검거세미나방은 1년에 3회 발생하며, 유충으로 땅속에서 월동한다. 월동한 유충은 봄에 작물을 가해하다가 성충이 된다. 제 1화기 성충의 발생최성기는 6월 중순, 2화기 8월 중순, 3화기는 9월 하순이다. 검거세미나방의 성충기간은 5일 내외로서 이 기간에 약 350개 정도의 알을 낳는다. 알기간은 약 4일 정도이며, 부화한 어린 유충은 작물의 잎을 가해하다가 3령이 되면서부터 땅속으로 들어가 표토부위에서 생활한다. 5령이 되면 거의 100%가 모두 땅속으로 들어간다. 작물의 줄기나 순을 자르는 피해는 3령 이후의 유충에 의한 것이다. 유충기간은 약 30일 정도이며, 번데기 기간은 18일 정도이다.
  거세미나방은 연 2~3회 발생하며, 땅속에서 유충으로 월동한다. 월동한 유충은 작물을 가해하다가 번데기가 되며, 번데기 기간은 27일 내외이다. 성충 발생최성기는 1화기가 6월 중순, 2화기와 3화기는 8월 중순, 10월 상순이다. 성충의 수명은 약 6일 정도로 이 기간에 320개 정도의 알을 낳는다. 알기간은 6일 내외이며, 부화한 어린유충은 작물체의 잎을 가해하다가 3령이 되면서부터 땅속으로 들어간다.
     
  5. 방제법
    거세미나방류는 유충으로 월동하여 작물을 정식하면서부터 피해를 주기 때문에 효과적으로 방제를 하기 위해서는 정식 전에 토양에 약제를 살포해야 한다. 또한 최근에는 대부분의 채소작물이 비닐피복 재배를 하므로 피해가 나타나는 생육기에는 입제형태의 토양해충약을 처리하기가 곤란하다. 따라서 지난해에 거세미나방의 발생이 많았던 포장과 앞서 재배한 작물에 거세미나방류의 피해가 많았던 포장은 적정약제를 선택하여 사용법에 알맞게 처리한다.
 처리방법은 밭전체에 약제를 처리하는 ’토양전면처리’, 약제를 뿌리고 토양을 약제와 골구루 섞이도록 로타리를 쳐주거나 밭표면의 흙을 긁어 주는 ’토양전면혼화처리’, 작물을 이식할 밭두둑이나 표면에 고랑을 만들고 약제처리를 하는 ’골처리’, 작물주위나 정식할 자리에 구덩이를 파고 약제를 처리한 다음 흙을 덮어주는 ’파구처리’ 둥이 있다. 처리방법에 따라 약량을 조절해야 한다.
     
  참 고 문 헌
   
 

강광윤. 1965. 거세미類 生態調査 및 防除試驗 高嶺地試驗場硏究報告書 283-296.농업기술연구소. 1990. 채소해충의 생태와 방제.224.
백수봉 외 공저. 1987. 작물보호학(선진문화사). 438.
우건석 외. 1985. 농업해충학(한국방송통신대학). 363.
Harris, C.R., J.A. Begg et al. 1958. A laboratory method of nass rearing the black cutworm, Agrotis ypsilon (Rott) for insecticide test. Canad. Ent. 90 : 328-331

'밭작물재배 > 참깨.들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들음병  (0) 2007.03.22
역병  (0) 2007.03.22
흰가루병  (0) 2007.03.22
바이러스병  (0) 2007.03.22
종자 소독방법  (0) 2007.03.2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