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러스병
 
기관 : 농업과학기술원 작물보호부
 
성명 : 최홍수
 

전화 : 031-290-0456

           
  1. 병증상
  순무 모자이크바이러스(TuMV)에 의해 초기에 감염되면 심한 모자이크와 잎과 줄기가 기형으로 되는 경우가 많고, 심한 경우 위축되고 생육이 중지된다. 생육 중기에 감염된 주는 초기에 잎맥 투명의 병징이 나타나며 차차 황색의 모자이크로 변하는데, 때로는 잎이나 줄기에 괴저반점이 나타나기도 한다. 수박모자이크 바이러스(WMV)의 초기 병징은 잎에 엷은 황색 반점이 나타나기 시작하여 다음에 나오는 잎은 많은 황색반점이 잎 전면에 나타난다. 병징이 진전되면 잎맥 투명과 모자이크 병징이 나타나게 되고, 때로는 고사리 잎 모양으로 되고 잎 주위에 주름이 생기기도 한다.
   
 
 

그림 1. 순무 모자이크바이러스 병징

   
  2. 병원체
    순무 모자이크바이러스(Turnip Mosaic Virus, TuMV)와 수박모자이크바이러스(Watermelon Mosaic Virus, WMV) 모두 동일한 포티비리대(potyviridae) 그룹에 속하는 사상형 바이러스로 크기는 750㎚이다.
   
  3. 발병조건 및 전염경로
    순무 모자이크바이러스(TuMV)는 인공접종에 의하여 즙액전염이 잘되며, 복숭아혹진딧물이 TuMV를 전염시키는데 5분 동안 병든 식물을 흡즙해도 바이러스 획득율이 80%이며, 바이러스 획득 후 시간이 경과할수록 매개충의 바이러스전염원은 떨어지므로 계속 접종을 할 경우 1시간후 33%, 5시간후면 전염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는다. 전염에 있어 무시충보다 유시충이 중요하고, 보독 진딧물에서 태어난 새끼 진딧물은 보독이 되지 않는다. 그러나 복숭아혹진딧물은 태어나서 3일이 되면 병을 옮길 수 있게 된다. 토양전염이나 종자전염은 하지 않는다. 십자화과에 속하는 채소가 병징이 심하여 장기간 계속 재배할 경우 주위에 전염원이 많아진다. 그 외에도 시금치, 쑥갓, 화초류, 잡초 등이 전염원이 된다. 수박 모자이크바이러스(WMV)는 목화진딧물, 복숭아혹진딧물 등 19종이 옮기는데 비영속형전염을 한다. 그 외 즙액전염을 하므로 상처부위가 접촉될 때는 전염이 된다. 획득 흡즙시간은 30초이며 진딧물의 보독기간은 5시간이나, 1시간 정도 지나면 50% 이하로 전염률이 떨어진다. WMV의 1차전염원은 이병식물의 월동에 의한 것으로 최근에는 연중 작물이 비닐하우스 내에서 재배되고 있으므로 전염원은 항상 있다. 호박, 참외, 오이, 박, 수박, 메론 등 과채류와 수종의 콩과작물은 자연환경 하에서 자연감염이 잘된다.
   
 
 
그림 2. 수박 모자이크바이러스 병징
   
  4. 방제
    가. 순무 모자이크바이러스
      유채, 무, 배추, 시금치, 쑥갓, 참깨 등에서 자연발병이 되므로 계속하여 재배하지 말아야 한다. 어린묘 단계에서 2차 바이러스 전염원이 되는 이병주를 제거한다. 진딧물에 의해 주로 전염되므로 살충제를 살포하여 진딧물을 방제한다. 전염원이 되는 십자화과 잡초를 제거한다.
     
    나. 수박 모자이크바이러스
      기주식물인 호박, 참외, 오이, 박, 수박, 메론 등 과채류와 수종의 콩과작물은 자연감염이 잘 되므로 연속재배하지 말아야 한다. 매개충인 진딧물을 방제한다. WMV의 1차전염원은 이병식물의 월동에 의한 것으로 최근에는 연중 작물이 비닐하우스 내에서 재배되어 전염원은 항상 있으므로 즙액에 의한 접촉전염 방지를 위해서는 병든 전염원이 되는 식물을 즉시 제거해야 한다.
     
  참 고 문 헌
 
 

이순형. 1981. 한국의 주요작물 바이러스병에 관한 연구. 농사시험연구 23집 (작보) : 62-74.
福士貞吉 외. 1986. 植物のウイルス病. 養賢堂.
岸國平. 1982. 新版 野菜の病害蟲- 診斷と防除. 全國農村敎育協會. 651.

'밭작물재배 > 참깨.들깨'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거세미나방  (0) 2007.03.22
흰가루병  (0) 2007.03.22
종자 소독방법  (0) 2007.03.22
참깨재배-윤작의 효과  (0) 2007.03.22
들깨 재배법  (0) 2007.03.2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