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

 

 

 

생육적온은 25-30℃, 지온은 30℃정도, 연평균기온 13-14℃, 평균강수량 1,300mm정도, 최저 한계온도 10℃.

8, 9월의 주야간 기온교차가 큰 지역
생육기간이 길수록, 장일보다는 단일에서 괴경비대가 좋음.

 토양

 

 

 

땅심이 깊고 물빠짐이 좋은 곳.
유기물 함량이 많은 참흙이나 모래참흙.
자갈이 많은 땅에서는 괴경의 생육과 모양이 좋지 않음.






 품종명  : 마1호 (1996년 안동북부시험장 육성)
 

 주요특성

 

 

엽색은 진녹색이며 엽형은 심장형이다.
영여자 착생량은 주당 평균 100개 이상이다.

분기가 적고 개화기는 7월 중순이다.

 

 재배상 유의점

 

 

토질은 기고 부드러우며 유기질이 많고 물빠짐이 잘 되는 토양에 재배해야 안정






 

 

 

 마 (산약의 재배력)

3

4

5

6

7

8

9

10

11

12

1

2






←―→←―→        ←―→ ←―→                     ■




 






 

 

2



 

 

 

 




←―→←―→        ←―→ ←―→     ←     →          ■




 













 

 

 

번식 : 영여자 또는 괴경

 

채종방법

 

종자의 발육이 부진하고 잡종이 되기 때문에 종자를 사용안함.지상부 액아에 형성된 영여자를 9월경 채종

 

 경종 기술

 

 

 

모종기르기

괴경에

의한 번식

절편마의 크기를 60-70g정도 되게 절단, 절단 후 베노람수화제로 분의소독후 바람이 잘 통하고 그늘진 곳에서 1-2일 말린후 상처가 치유된후 종근으로 사용

영여자번식

파종기

4월 상순-중순

시비량

질소 15, 인산 13, 칼리 15kg

재식거리

이랑나비 10cm, 포기사이 10cm간격으로 1알씩 파종

 

아주심기

정식시기

중,북부지방은 4월 중·하순경, 남부지방은 이보다 10일정도 일찍 심는다.

퇴비시용

거름주기는 10a당 질소 43, 인산 28, 칼리 32, 석회 200, 퇴비 3,600kg시용
퇴비와 석회는 심기 2주전에 전량을 시용하고 경운
재식거리는 종근은 60×20, 노두 30×15, 영여자는 10×10cm로 식재 

 

제초 : 10a당 씨마네수화제 350g을 물 100-120ℓ에 타서 정식후 골고루 살포






병해충방제

 

 

 

병해 : 탄저병, 흰무늬병, 갈색무늬병, 시들음병

충해 : 토양선충, 응애

 

재해방지

 

 

 

연작장애 : 연작을 하면 토양선충의 피해가 크므로 돌려짓기

습    해 : 장마철 습해로 뿌리썩는 것을 막기위해 배수 철저

건 조 해 : 괴경 형성 및 비대기에 건조시 괴경생육 억제 .





 

 수확시기

 

 

 

가을에 잎이 떨어진 후에 하는데 수확시에는 괴경이 상하지 않도록 주의

 

저장

 

 

 

생식용은 바람이 잘 통하고 그늘진 곳에 예비저장 후 상처가 아물면 건조하지 않은 곳으로 움저장이 좋고 또한 저온저장고를 이용 5℃, 습도 80% 내외로 저장하면 이듬해 7월까지 저장이 가능

 

가공

 

 

한약재로 사용시는 물에 잘 씻어 잔뿌리를 없애고 대칼로 껍질을 벗겨 햇빛이나 건조기에서 말린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