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파종기지연에 따른 수량감소율 |
|
|
기관 : 작물과학원 |
|
성명 : 이성우 |
|
전화 : 031-290-6733
|
|
|
|
|
|
|
|
|
1. 파종적기 및 적정 생육기간 |
|
참깨 파종적기는 투명비닐 피복재배시 5월 상순경이며, 흑색비닐 피복재배시 5월 중순경인데, 우리나라의 기상특성상 파종기인 봄철에 가뭄이 들 때가 많아 파종이 지연되거나 또는 적기에 파종하여도 토양수분이 부족하여 발아가 지연되고 생육기간이 단축되어 수량이 감소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한발로 인해 파종적기를 놓치거나 채소, 맥후작 등 이모작재배로 파종기가 지연되는 경우 파종기 및 개화기 지연에 따른 수량감소율을 예측하여 영농설계나 작목선정의 참고자료로 이용할 필요가 있다. 발아가 되는 최저온도인 15℃와 등숙에 필요한 최저온도인 20℃을 기준으로 했을 때 우리나라 기상여건에서 참깨의 생육기간은 5월 상순~9월 상순으로 약 120일정도인데, 투명비닐 피복재배시 개화적기는 보통 6월 25~30일경이고 등숙기간은 75일(6월 25일~9월 10일)이며, 흑색비닐 피복재배시 개화적기는 7월 5~10일경이고 등숙기간은 65일(7월 5일~9월 10일)이다. 또한 참깨는 높은 온도를 좋아하는 작물로 국내 환경조건에서 9월 하순 이후에는 기온이 20℃ 이하로 저하되어 늦게 개화한 꼬투리는 등숙률이 급격히 떨어지는 특징을 보인다. |
| |
|
2. 파종기지연에 따른 수량감소율 |
|
흑색비닐 피복재배시 파종적기는 중부지방의 경우 5월 15일경인데, 파종기의 지연에 따른 수량감소율을 보면 1999년도에는 파종이 10일 지연(5월 25일 파종)되었을 때 13% 감소되었고, 20일 지연(6월 5일 파종)되었을 때는 28% 감소되었고, 30일 지연(6월 15일 파종)되었을 때는 43% 감소되었고, 40일 지연(6월 25일 파종)되었을 때는 58% 감소를 보였다. 2000년도에는 파종이 10일 지연되었을 때 17% 감소되었고, 20일 지연되었을 때는 36% 감소되었고, 30일 지연되었을 때는 55% 감소되었고, 40일 지연되었을 때는 74%의 수량감소율을 보였다. 그리고 파종기 지연에 따른 수량감소율은 재배연도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데, 그 원인은 등숙기인 8월과 9월 상·중순의 기상이 해에 따라 다르기 때문이다. 즉, 등숙기에 기온이 높고 강우량이 적어 일조시간이 많고 태풍피해가 적으면 파종기가 어느 정도 지연되어도 등숙율이 향상되어 수량감소율이 적어진다. |
|
|
|
표 1. 파종기지연에 따른 수량감소율 |
|
파종기(월.일) |
5.15 |
5.20 |
5.25 |
5.30 |
6.5 |
6.10 |
6.15 |
6.20 |
6.25 |
6.30 |
파종 지연일수 |
0 |
5 |
10 |
15 |
20 |
25 |
30 |
35 |
40 |
45 |
1999년감소율(%) 2000년감소율(%) |
0 0 |
6 8 |
13 17 |
21 26 |
28 36 |
36 45 |
43 55 |
51 64 |
58 74 |
66 83 |
평균감소율(%) |
0 |
7 |
15 |
24 |
32 |
41 |
49 |
58 |
66 |
75 | |
|
주) 재배법: 흑색비닐피복(중부지방 파종적기: 5월 15일), 공시품종: 양백깨 직선회귀식: 1999년: y=-1.2068x + 82.156(R2=0.914) 2000년: y=-1.6961x + 91.398(R2=0.885) |
|
|
|
지역에 따라 수량 감소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보통 맥후작 파종기를 6월 10일경으로 보았을 때 중부지방에서는 맥후작 파종시 수량이 35~45% 정도의 감소가 예상되며, 만파한계기인 6월 20일 이후에 파종할 때는 50~64% 정도 감소될 것으로 예상된다. 파종기의 지연에 따라 주당삭수, 착삭부위장의 감소폭이 가장 크고 경장, 경태의 감소폭은 가장 적은 특징을 보이는데, 파종기 지연에 따라 수량이 감소되는 원인은 개화기 지연으로 주당 꼬투리수가 급격히 감소되고 등숙기의 저온으로 종자가 충실히 결실하지 못해 등숙률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
|
|
|
3. 개화기지연에 따른 수량감소율 |
|
개화기의 지연에 따른 수량감소율을 보면 흑색비닐 피복재배에서의 표준 개화기인 7월 4일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개화기 1일 지연시 수량은 8% 감소되고, 2일 지연시 15%, 3일 지연시 23%, 4일 지연시 31%, 5일 지연시 39% 감소되는데, 일반적으로 개화기가 늦어질수록 수량의 감소폭은 더 크다. |
|
|
|
표 2. 개화기지연에 따른 수량감소 정도 |
|
개화기(월,일) |
7.4 |
7.5 |
7.6 |
7.7 |
7.8 |
7.9 |
7.10 |
7.11 |
7.12 |
7.13 |
개화일수(일)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주당종실중(g) 감소율(%) 누적감소율(%) |
8.56 0 0 |
7.85 8.3 8.3 |
7.14 9.1 16.6 |
6.43 10.0 24.6 |
5.72 11.1 33.2 |
5.01 12.4 41.5 |
4.29 14.2 49.8 |
3.58 16.6 58.2 |
2.87 19.9 66.5 |
2.16 24.8 74.8 | |
|
주) 파종기 : 5월 20일, 개화기 범위 : 7월 5일~7월 15일, 공시품종 : 안산깨 등 22품종 직선회귀식: y=-0.7113x + 41.28(R2=0.753) |
|
|
|
참깨는 무한화서로 개화기가 늦을수록 착삭수가 적어지고 착삭된 꼬투리도 등숙기의 저온으로 인해 등숙이 불량하여 수량감소의 요인이 되는데, 품종에 따라서는 등숙적온(20℃)만 주어지면 개화후 50일까지도 종실중이 계속 증가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는 것도 있으나 일반적으로 우리나라 기상여건에서 9월 10일 이후에는 온도가 20℃ 이하로 내려가므로 늦게 개화된 것은 저온으로 인해 등숙률이 떨어져 수량이 감소하게 된다. 개화기의 지연에 따른 생육의 감소정도는 주당삭수>착삭부위장>전중>수확지수>경장>경태 순으로 개화가 늦어질수록 착삭수, 착삭부위장, 전 건물중은 크게 감소한 반면 경장과 경태는 개화기 지연에 따라 큰 영향을 받지 않는다. |
|
|
|
참 고 문 헌 |
|
|
|
강철환 외. 1985. 참깨 등숙시기별 종실중과 발아력의 변화. 작물학회지 30(4). 구자옥 외. 1980. 참깨 등숙과정에 관한 연구. 작물학회지 25(2). 이성우 외. 2000. 참깨 파종기 지연에 따른 수량 감소율. 작물학회지 46(2). 이정일 외. 1982. 파종기 이동이 생육에 미치는 영향. 작물학회지 27(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