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촌애(김영수)
2007. 4. 12. 22:28
2007. 4. 12. 22:28
수목명 |
때죽나무 |
분 류 |
때죽나무과 |
학 명 |
Styrax japonica S. et Z. |
원산지 |
한국 |
향 명 |
족낭(제주),때죽나무(영남),노각나무(경상남도),족나? | |
 |
 |
|
수형 |
꽃 |
|
|
|
 |
 |
 |
잎 |
열매 |
가지 |
|
|
|
 |
생육/분포지역 |
▶일본과 중국에 분포한다. ▶전국의 표고 100~1,600m 사이의 산복 이?양지에서 자생한다. |
성상/수형 |
낙엽활엽소교목, 수형: 반구형. |
개화/결실기 |
개화기는 5~6월이며 결실기는 9월이다. |
번식 |
▶번식은 실생 및 무성번식으로 한다. ①실생 : 가을에 채취하여 2년간 노천매장 후 파종한다. 순량율 82%, ℓ당 입수 2,595립, 발아율 68% 이다. ②무성번식 : 고농도의 호르몬처리를 하면 삽목으로도 증식이 가능하며 발근율은 높은 편이다. 취목, 접목, 조직배양으로도 가능하다. |
생육환경 |
토심이 깊은 사질양토로서 습기가 다소 있는 곳에서 잘 자라며, 양수이나 내음성도 약간 있어 나무 밑에서도 잘 견딘다. 내한성과 내조성, 각종 공해, 병충해에 강한편이나 건조에는 다소 약하다. |
재배특성 |
| |
|
 |
크기 |
수고 10m까지 자란다. |
잎의 특징 |
잎은 호생하며 난형 또는 긴 타원형이고 점첨두 또는 첨두이며 예저이고 길이 2~8cm, 폭 2-4cm로서 표면에 털이 없으며 뒷면은 털이 있으나 나중에는 맥액에만 모속(毛束)이 남고 맥 위에 털이 있는 것도 있으며 가장자리에 치아상의 톱니가 약간 있거나 없고 엽병은 길이 5-10mm이다. |
꽃의 특징 |
꽃은 양성화로 지름 1.5-3.5㎝이며 5~6월에 백색으로 피고 총상화서는 액생하며 2-5개 간혹 1개의 꽃이 달리고 길이 2-4cm로서 처지며 소화경은 길이 1-3cm이다. 꽃받침 열편은 끝이 둥글고 화관은 긴 난형 또는 타원형이며 길이 1-2cm로서 양면에 잔털이 있다. 수술은 10개이고 길이 14mm로서 밑부분에 백색 털이 있으며 약격(葯隔)이 길다. |
열매의 특징 |
핵과는 난상 원형 또는 구형이며 껍질이 불규칙하게 갈라진다. 꽃이 지면 7월경부터 파란색 열매가 달리는데, 열매는 길이 1.2-1.4㎝로서 종모양으로 늘어지며 9월에 회백색으로 익는다. |
가지/목피 |
높이가 10m에 달하고 가지는 성모가 있으나 없어지며 표피가 벗겨지면서 다갈색으로 되고 소지의 재부가 연녹색이다. 줄기는 흑갈색으로 세로로 줄이 지며 어린 줄기에서도 수피가 세로로 일어난다. 뿌리는 주근과 측근이 있다. |
기타특징 |
밑에서 많은 줄기를 내어 관목상을 이루고 가지가 많아 넓게 퍼진다. 흰꽃과 종모양의 은색 열매가 아름답다. | |
|
 |
이용가치 및 용도 |
▶주요 조림수종 : 조경수종, 내공해수종 ▶조경수, 가로수, 공원수, 정원수, 가로공원, 생태공원, 지방의 가로수로 적합하다. ▶목재는 단판, 양산자루, 세공물 등에 쓰이고 덜 익은 푸른 열매는 농촌에서 물고기 잡는데 이용하고, Oil 함유랑이 많아 기름을 뽑아 내기도 한다. ▶염료 식물로 이용할 수 있다. - 아직 염료 식물로 이용된 적이 없는 식물이나, 잎을 갈아 20분간 끓여 염액을 만들수 있었다. 의외로 잘 물들고 매염제에 의한 색상의 변화도 다양한 좋은 염료로 반복 염색하여 짙은 색을 얻었다. |
유사종 |
▶쪽동백나무(S. obassia): 잎은 거의 둥근 모양, 뒷면에는 별 모양의 털이 밀포하고 흰색이다. ▶수마트라안식향나무(S. benzoin) | |
|
 |
발생 병충해 |
▶병해: 녹병, 점무늬병, 흰가루병. ▶충해: 선충. |
방제방법 |
▶녹병:병에 걸린 낙엽을 긁어 모아 태우고 4월 중.하순경의 발아 직전에 석회유황합제 5%액을 수관에 철저히 살포해 준다. 매년마다 이 병이 심한 과원은 장마가 끝난 후에 다이센 M-45 600배액 또는 디포라탄 800배액을 10-15일 간격으로 3회 이상 살포하여 예방에 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