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명 |
마가목 |
분 류 |
장미과 |
학 명 |
Sorbus commixta Hedl. |
원산지 |
한국 |
향 명 |
마께낭(제주), 마가목(영남) | |
 |
 |
|
수형 |
꽃 |
|
|
|
 |
 |
 |
잎 |
열매 |
목피 |
|
|
|
 |
생육/분포지역 |
▶중국과 일본 등지에도 분포한다. ▶우리나라 전지역에 분포한다. |
성상/수형 |
낙엽활엽소교목 |
개화/결실기 |
개화기는 5~6월이며 결실기는 10월이다. |
번식 |
▶번식은 실생 및 무성번식으로 한다. ①실생 : ⓐ가을에 채취한 종자를 1:3의 비율로 섞어 2년간 노천매장한 후 파종한다. ⓑ종자는 후숙성이 있으며 건조를 싫어한다. 과육을 제거한 후 0-3℃의 저온습층적저장 처리가 효과적이다. ②무성번식 : 삽목은 5월 상순~6월 상순에 숙지삽, 7월 중순 녹지삽을 한다. 취목, 접목(아접(芽接))으로도 번식된다. |
생육환경 |
▶울릉도에서는 바닷가에서 해발 900m이상의 정상까지 자라며 한라산에서도 거의 정상까지 자라고 있다. ▶여름이 시원한 고랭지 및 산지, 평지는 반음지가 적당하다. ▶음수로서 자갈이 섞여 있는 배수가 잘되는 사질양토와 습기있는 땅을 좋아하며 내음성, 내한성이 강하고 내염성, 내공해성은 중간이며 내서성은 약하다. 묘목생산은 해가 잘 들고 배수가 잘 되면서도 보수력이 있는 비옥한 사질양토가 좋다. |
재배특성 |
▶실생은 10월-이듬해 3월에 파종하고 과육제거 후 층적저장이 좋으며, 발아율은 40%, 13만립/ℓ이다. 삽목은 5월 상순-6월 상순 숙지삽, 7월 중순 녹지삽, 발근처리로는 IBA 50-100ppm에 5-6시간 침지하고 뿌리가 약하므로 실용성은 없다. ▶이식은 3-4월, 10-11월에 하나 큰나무는 곤란하며 전년에 단근 후 이식한다. ▶전정은 필요 없고 배식은 독립수, 열식으로 한다. 생장속도는 보통이다. | |
|
 |
크기 |
수고 6-10m에 달한다. |
잎의 특징 |
잎은 호생하고 기수우상복엽이며 소엽은 9-13개이고 피침형, 넓은 피침형 또는 타원상 피침형이며 긴 점첨두이고 예저이며 길이 2.5-8cm로서 양면에 털이 없고 표면은 녹색이며 윤채가 없고 뒷면은 연녹색이며 가장자리에 길고 뾰족한 복거치 또는 단거치가 있고 탁엽이 일찍 떨어진다. 가을에 황적색으로 단풍이 든다. |
꽃의 특징 |
복산방화서는 지름 8-12cm로서 털이 없으며 가지끝에 달린다. 꽃은 5-6월에 피고 백색이며 지름 8-10mm이고, 암술대는 3개이다. 꽃받침, 꽃잎이 각 5개이며 수술은 20개이다. |
열매의 특징 |
9-10월에 홍색으로 성숙하는 둥근 이과로서 지름은 5-8mm이다. |
가지/목피 |
수간은 통직하고, 수피는 황갈색이며, 소지와 동아에 털이 없고, 동아에 점성이 있다. 뿌리는 직근과 측근이 있다. |
기타특징 |
맹아력이 강하다. 봄에 돋아나는 새순은 힘찬 용기와 생동감을 일으켜 주며 마아목(馬牙木)이라는 한명(漢名)에도 힘차게 돋는 새순이 말의 이빨과 같이 힘차게 돋아난다 하여 붙여졌듯이 마가목은 동적인 감정을 느끼게 하는 관상수이다. | |
|
 |
이용가치 및 용도 |
▶주요 조림수종 : 조경수종 ▶관상용으로 도로변이나 공원, 정원, 가로수, 절지, 분재 등으로 이용된다. ▶열매는 차나 술을 만드는데 이용하거나 생식할 수 있다. ▶지팡이, 망치자루, 집조수, 염료, 연료 등으로 이용된다. ▶당마가목, 마가목, 산마가목의 莖皮(경피)는 丁公皮(정공피), 종자는 馬家子(마가자)라 하며 약용한다. ⑴丁公皮(정공피) ①粗皮(조피)를 제거하고 그대로 썰어서 사용한다. ②약효 : 强壯(강장), 祛風(거풍), 鎭咳(진해)의 효능이 있다. 신체허약, 腰膝酸痛(요슬산통), 風濕痺痛(풍습비통), 咳嗽(해수), 白髮(백발)을 치료한다. 12-24g을 달여서 복용한다. ⑵馬家子(마가자) ①10월경 종자가 성숙했을 때 따서 햇볕에 말린다. ②약효 : 鎭咳(진해), 祛痰(거담), 利水(이수), 止渴(지갈), 强壯(강장)의 효능이 있다. 咳嗽(해수), 기관지염, 폐결핵, 水腫(수종), 胃炎(위염), 신체허약 등을 치료한다. 12-24g을 달여 복용하거나 술에 담가 복용한다. |
유사종 |
▶잔털마가목(var. pilosa NAK.): 소엽이 길이 9cm, 폭 1.8cm이고 뒷면 중륵(中肋)에 백색털이 있다. ▶왕털마가목(for. rufo-hirtella NAK.): 잎 뒷면에 성긴 털이 있다. ▶녹마가목(var. rufo-ferruginea SCHNEID.): 화서, 꽃받침통 및 잎 뒷면, 특히 중륵에 길고 | |
|
 |
발생 병충해 |
▶충해: 깍지벌레, 자벌레, 텐트나방. ▶병해: 적성병, 둥근무늬병. |
방제방법 |
▶적성병: 다이젠이나 보르도액을 뿌려준다. ▶깍지벌레류: 겨울에는 가지고르기, 가지치기 후인 12-4월 사이에 기계유 유제(95%)25배액을 가지와 줄기 전체에 살포하고 우화약충기에 메치온, 디메토유제 1,000배액을 2-3회 살포한다. ▶텐트나방 : 유충가해기인 4월 중순부터 5월 중순에 메프 50%유제, 다이아톤 34%유제 1,000배액을 살포하고, 솜방망이불로 직접 태워 죽인다. ▶둥근무늬병 : 눈이 트기전에 4-4식보르도액을 2주 간격으로 3-4회 살포한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