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딧물의 진단 및 주요 종의 생태
 
기관 : 농업과학기술원 작물보호부
 
성명 : 이승환
 
전화 : 031-290-0460
           
  1. 십자화과 채소에 발생하는 진딧물의 종류
     진딧물은 종류가 5,000여종이 넘는 큰 분류군이지만 종별로 기주 특이성이 있어 작물별로 발생하는 종류는 그렇게 많지 않다. 무, 배추, 양배추 등과 같은 십자화과 채소류 간에 발생하는 진딧물의 종류는 작물간 약간의 차이가 있긴 하지만 주로 발생하는 진딧물의 종류는 공통적인 것이 많다. 무에 발생하는 진딧물은 목화진딧물, 감자수염진딧물, 양배추가루진딧물, 복숭아혹진딧물 및 무테두리진딧물이 발생하며 이중 목화진딧물과 감자수염진딧물의 발생빈도는 적고, 복숭아혹진딧물, 무테두리진딧물, 양배추가루진딧물 순으로 발생을 많이 한다. 이밖에 여름기주로 뿌리를 가해하는 면충류들이 있으나 국내에서는 아직 문제시되고 있지 않다. 배추와 양배추의 경우에도 비슷한 경향이나, 양배추의 경우 양배추가루진딧물의 발생이 좀 더 많다. 시설내에서 재배되는 십자화과 엽채류의 경우 이들 주요3종 이외에 감자수염진딧물이 다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상과 같이 농작물에 발생하는 진딧물중 대표적인 목화진딧물의 경우 십자화과 채소에서의 발생은 매우 적다. 이들 십자화과 채소에 발생하는 종들을 피해양상과 외부형태로 아래와 같이 동정할 수 있다.

  <십자화과 채소에 발생하는 진딧물 검색표 designtimesp=30110>
    1. 개체 또는 집단이 흰색의 짙은 왁스층으로 덮여 있고 노출된 잎의 앞면에 많이
       발생한다. 끝편이 삼각형 모양이고, 더듬이 3번째 마디가 뿔관보다 2.5~3.7배
       정도 길다 ………………………………………………………… 양배추가루진딧물
      - 몸이 왁스층으로 덮여 있지 않거나, 몸표면에 흰색의 가루를 묻힌 정도 있다.
        끝편이 끝이 둥은 혀 모양이고, 더듬이 3번째 마디는 뿔관보다 2배이상 길지
        않다 ………………………………………………………………………………… 2
  2. 몸은 길쭉하며 더듬이, 뿔관, 다리 등이 길어, 더듬이는 몸길이보다 같거나 길
       다. 머리의 더듬이 이마혹이 잘 발달 되어 머리의 중앙부위보다 훨씬 튀어나
       와 있다.  …………………………………………………………………………… 3
      - 몸은 둥근 알모양이며 더듬이, 뿔관, 다리 등이 짧아, 더듬이가 몸길이보다 현
         저히 짧다. 머리의 더듬이 이마혹이 발달되지 않아 머리 중앙부위와 같다.
         ……………………………………………………………………………………… 4
  3. 머리표면은 매끄러우며, 더듬이 이마혹 끝으로 갈수로 넓어지는 U형 또는 V
      형이다. 뿔관은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고 끝이 그믈맥상으로 되어 있다. 몸은
      녹색으로 1.7~3.6㎜의 비교적 큰 진딧물이다 ………………… 감자수염진딧물
      - 머리표면이 거칠거칠한 작은 돌기들이 나 있고, 더듬이 이마혹이 잘 발달하여
       끝으로 갈수록 서로 만난다. 뿔관은 끝 1/2~1/3이 약간 팽대되어 있고, 그믈
        맥이 없다. 몸은 녹색~연한 적색으로 변이가 있고 1.2~2.1㎜ 정도의 중형
        진딧물이다 ………………………………………………………… 복숭아혹진딧물
  4. 뿔관이 검정색 또는 짙은 갈색이며,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진다. 1~7배마디에
     측판 돌기가 있다. 살아있을 때 색은 어두운 갈색 또는 검정색의 단색인 경우
     가 일반적이다 …………………………………………………………… 목화진딧물
      - 뿔관이 연한 갈색이며, 끝 1/2부분이 약간 팽대 되어 있다. 1~7배마디에 측
        판돌기가 없다. 살아있을 때 연한 노랑, 또는 연한 녹색을 띠며 가슴, 배의 각
        마디에 검은 반점들이 규칙적으로 나타난다 ………………… 무테두리진딧물

  2. 주요 진딧물류 피해양상 및 생태
     양배추가루진딧물, 복숭아혹진딧물, 무테두리진딧물 등 진딧물 3종의 피해, 형태 및 생태에 대하여 알아본다.

    가. 복숭아혹진딧물
      (1) 피해
         주로 신초나 새로 나온 잎을 흡즙하여 잎이 세로로 말리고 위축되며 신초의 신장을 억제한다. 5월 중순 이후는 여름기주인 딸기, 담배, 감자, 오이, 고추 등을 가해하여 각종 바이러스병을 매개한다.

      (2) 생태
         1년에 빠른 것은 23세대, 늦은 것은 9세대를 경과하며 복숭아나무 겨울눈 기부에서 알로 월동한다. 3월 하순~4월 상순에 부화한 간모는 단위생식으로 증식하고 5월 상·중순에 유시충이 생겨 6~18세대를 경과하고 10월 중·하순이 되면 다시 겨울기주인 복숭아나무로 이동하여 산란성 암컷이 되어 교미 후 11월에 월동난을 낳는다. 약충에는 녹색계통과 적색계통이 있는데, 복숭아나무에는 녹색계통이 대부분이나 여름기주에는 적색계통이 같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3) 바이러스 매개
         복숭아혹진딧물은 다른 진딧물과 마찬가지로 직접적인 피해 이외에 TuMV(순무모자이크바이러스), CMV(오이모자이크바이러스) 등의 182종의 식물바이러스병을 옮기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간접적인 바이러스매개 피해가 더 크다(Chan, A. R. et al., 1991). 이들 바이러스병은 작물체가 어린시기부터 진딧물흡즙에 의해 매개되어 괴사반점이 생기거나 지상부 또는 지하부의 생육이 저해되어 농약을 사용해도 치료가 되지 않아 수량이 크게 감수될 뿐 아니라 농산물의 상품가치를 떨어뜨려 이중의 피해를 유발한다.

     
그림 1. 복숭아혹진딧물 적색계통의
무시성충 및 약충
그림 2. 복숭아혹진딧물 녹색계통

    나. 양배추가루진딧물(매미목, 진딧물과)
      (1) 피해
         양배추, 배추, 유채, 샐러리 등에 발생하여 기주식물의 잎 뒷면이나 어린 싹에서 즙액을 빨아먹으며, 각종 바이러스병을 매개시킨다.

      (2) 형태
         날개 있는 벌레는 몸길이가 2.2㎜로서 몸 색깔은 암록색이며, 몸표면에 흰가루를 뒤집어쓰고 있어 하얗게 보인다. 등쪽에 6개의 흑색띠가 있으며, 옆 피부 판은 검다. 뿔관은 중앙부가 볼록하며, 테두리가 있다. 날개 없는 벌레는 몸길이가 2.2㎜로서 몸 색깔은 회록색이며, 몸표면에 흰가루를 뒤집어쓰고 있다. 검은 무늬가 앞가슴 등에서 배 끝까지 2줄씩 뒤쪽 3개의 마디에서는 좌우의 것이 한데 모여서 한 덩이를 이루고 있다. 뿔관은 짧고, 중앙부가 약간 볼록하며, 끝 부분에 몇 개의 가로줄과 테두리가 있다.

      (3) 생태
         배추과작물 특히 양배추, 배추 등 잎이 넓은 식물과 유채, 무 등에서 연중 생활하는데 봄철에 발생이 많으며, 기생 당한 식물은 밀가루를 뒤집어 쓴 것 같이 하얗게 보인다.

      (4) 바이러스 매개
         무테두리진딧물은 Cauliflower Mosaic Virus, Radish Mosaic Virus, TuMV(순무모자이크바이러스), CMV (오이모자이크바이러스) 등의 16종의 식물바이러스병을 옮기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 무테두리진딧물
      (1) 피해
         주로 십자화과 작물인 무, 배추 등에 발생하며, 기주식물의 하위엽 잎 뒷면에서 떼를 지어 즙액을 빨아먹으며, 10여종의 바이러스병을 옮긴다.

      (2) 형태
         날개 있는 벌레는 몸길이가 2.2㎜로서 몸 색깔은 녹색 또 흑록색이며, 엷은 흰색가루를 뒤집어쓰고 있고, 광택은 없다. 옆 무늬의 등 쪽에 조그만 검은 무늬가 줄지어 있다. 뿔관은 거무스름하거나 거의 검고 끝 쪽이 약간 볼록한 원기둥 모양으로서 비닐무늬가 있으며, 끝에 테두리와 테두리 띠가 있다. 날개 없는 벌레는 몸길이가 2.6㎜로서 몸 색깔은 허여스름한 녹색 또는 짙은 녹색으로 등에 흰가루를 뒤집어쓰고 있다. 제7배마디 등판 위에 거무스름한 띠무늬와 가슴의 각 마디 양쪽에 점무늬가 있다. 배의 등판 양쪽에 가슴의 옆 무늬와 나란히 무늬가 있으며, 제3~5배마디 등판 위에 띠무늬가 있다. 뿔관은 황갈색이나 끝이 검거나 거무스름한 원기둥모양으로 뒤쪽이 약간 볼록하고, 끝에 테두리가 발달하여, 나팔모양이며, 테두리가 있다.

      (3) 생태
         쇠냉이와 황새냉이 등에서 알로 겨울을 지낸다. 4월 하순~5월 상순경에 알깨기를 하고, 알에서 깨어난 간모는 단위생식(單爲生殖)을 하며, 겨울기주에서 생활을 하다가 날개 있는 벌레가 되어 여름기주로 이동한다. 여름기주에서 10수대를 경과하는데 날개 있는 벌레로 6월 중순, 8월 하순, 10월 상순에 발생 최성기를 보인다. 10월말이 되면 다시 겨울기주로 이동하여 월동 알을 낳고 이것이 그대로 월동한다. 이 종(種)은 무와 배추에 많은 양이 발생하는데 봄, 가을 모든 작물이 포장에 보이기 시작하면 날개 있는 벌레가 날아와 알을 낳으며, 장마와 같은 발생억제요인이 없는 한 계속 밀도를 증가시킨다.

      (4) 바이러스 매개
         양배추가루진딧물은 Cauliflower Mosaic Virus, TuMV (순무모자이크바이러스), 등 20여종의 식물바이러스를 옮기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Blackman & Eastop, 2000).

     
그림 3. 무테두리진딧물 무시성충 그림 4. 무테두리진딧물 집단

  3. 진딧물의 방제
     월동난 밀도가 높을 때는 겨울에 기계유 유제를 살포하거나, 발생초기에 진딧물 전용약제를 1회 살포한다. 6월 이후는 여름기주로 이동하여 피해가 없으며 각종 천적이 발생하므로 약제를 살포하지 않는 것이 좋다. 노지재배의 경우 유시충이 여름기주로 날아와 단위생식을 시작할 때 약제를 살포하여 방제한다. 시설내의 경우는 됫박벌레류, 꽃등애, 진디벌 등의 천적류를 방사하기도 하지만 우리 나라의 경우 시험단계에 있다.
  진딧물 방제법도 다른 해충의 방제법과 마찬가지로 ① 약제를 이용한 화학적 방제법을 비롯해 무, 배추가 싹트는 시기에 망사나 비닐 등을 이용하여 진딧물의 기생을 차단하는 방법, ② 채소밭 주위에 키가 큰 작물을 심어 진딧물이 채소밭으로 날아드는 것을 줄이는 방법, ③ 진딧물이 싫어하는 색깔인 백색이나 청색테이프를 밭 주위에 쳐놓고 진딧물의 비래량을 줄이는 방법, ④ 진딧물의 기주식물이나 전염원이 되는 작물을 미리 제거해 진딧물 발생을 줄이는 방법 등 다양한 방제법이 시도되고 있다.
  진딧물은 번식력이 매우 왕성하고 채소류에 큰 피해를 주는 해충으로 발생초기에 방제를 소홀히 할 경우 엄청난 피해를 받는 경우가 많다. 근래에 진딧물 약제의 약효에 대한 논란이 가끔 대두되고 있다. 특히, 봄철에 비가 적고 가물며 온도가 높은 해에는 더욱 자주 약효에 대한 논쟁이 일어나고 있다. 이는 진딧물의 증식조건이 좋은 경우로서 진딧물이 제대로 방제되지 못하였을 경우 살아남은 진딧물에 의해 급격한 밀도 회복으로 진딧물의 발생이 급격히 증가되었기 때문이다.
  진딧물은 종류가 다양할 뿐만 아니라 종류에 따라 약제에 대한 감수성이 크게 다르기 때문에 약제의 특성에 따라 살충효과가 다르게 나타난다. 고추, 오이, 수박 등에 많이 발생되는 목화진딧물은 약제에 따라 살충반응 차이가 아주 심하다. 그러므로 진딧물을 효율적으로 방제하기 위해서는 시기별로 작물에 따라 발생되는 진딧물 종류를 알고 적합한 적용약제를 선택하도록 해야한다. 효과적인 약제라 하더라도 한 약제만을 계속 사용할 경우 진딧물과 같이 연간 발생 세대수가 많고 밀도증식이 빠른 해충에는 급속한 약제 저항성이 유발될 수 있으므로 동일계통의 약제를 년 2~3회 이상 쓰지 말아야 하며 반드시 동일계통이 아닌 약제를 교호살포하는 것이 좋다. 각 지역별로 주로 사용하는 농약의 종류가 다르므로 농약의 종류에 따른 약제의 저항성의 정도도 지역별로 다르게 나타난다.

 
표 1. 지역별 복숭아혹진딧물의 약제별 저항성 정도 (농과원 : 1996)
지역명 아시트수화제 피리모수화제 델타린유제 이미다클로프리드수화제
진 주
김 제
밀 양
괴 산
용 인
평창 용평
평창 도선
홍 천
수 원










×

×
×
×
×














×
×

    주) × : 저항성 고 (50배 이상), □ : 저항성 중 (10~50배), △ : 저항성 저 (1~10배), ○ : 감수성 (1이하)

     따라서 각 지역별 약제에 대한 저항성의 정도에 따라 저항성이 낮은 약제를 사용하므로서 진딧물의 방제효과를 높일 수 있다. 약제별로는 유기인계 아시트수화제에 대하여 각 지역별 저항성 정도를 조사한 결과 수원과 용인 지방의 저항성비가 각각 3.7, 1.5배로 낮은 저항성을 보였으며, 카바메이트계인 피리모수화제에 대하여 홍천, 용인, 평창에서 저항성비가 각각 242.5, 216.6, 141.3으로 높았으며, 피레스로이드계 농약인 데시스유제는 용인, 평창 용평, 홍천 등 일부지역에서 높은 저항성을 보였다. 또한 피리모수화제에 저항성인 계통은 유기인계(메타유제, 프로펜유제 등) 및 합성피레스로이드계(에스펜발러레이트유제)에 대해서 교차저항성을 보이므로 사용을 삼가고, 교차저항성정도가 낮은 이미다졸린계(이미다클로프리드수화제)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표 2. 복숭아혹진딧물 피리모수화제 누대도태계통(15세대)에 대한 유기인계 및
         카바메이트계통 약제의 교차저항성
(농과원 : 1996)
약제 계통명 약 제 명 저항성비
유기인계 아시트수화제
메타유제
프로펜유제
1.4
8.9
4.9
카바메이트계 피리모수화제
프라티오카브유제
메소밀액제
487.8
   4.0
  1.0
합성피레스로이드계 델타린유제
에스펨발러레이트유제
알파스린유제
  3.1
33.1
 1.4
이미다졸린계 이미다클로프리드수화제
아세타미프리드수화제
0.4
1.6

     진딧물은 생태적 특성상 대체적으로 가해 작물의 잎뒷면에 서식하므로 잎 앞면에만 약제를 살포할 경우 소기의 방제효과를 거두기 어렵다. 특히, 살포작업을 간단히 하거나 시간과 노력을 줄이기 위하여 약제를 진하게 타서 소량으로 살포하는 것은 약제가 농작물 전체에 골고루 뿌려지지 않을 뿐더러 약해 발생 위험이라든가 익충에 대한 악영향 등의 문제가 뒤따르게 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로 인하여 약제저항성 유발이 촉진될 가능성도 높으므로 적정 희석배수 및 약량을 작물 전체에 고루 살포하는 것이 중요하다.

     

표 3. 배추에 고시된 진딧물 약제

품 목 명

상 품 명

사용적기 

사용량
(물20ℓ) 

안전사용기준

피리모수화제

아시트수화제

프로펜유제
푸루시유제 

비펜스린유제

트랄로메스린유제 

비펜스린, 아시트수화제

피레스, 그로포유제

할로스린, 피리모수화제 

알파스린유제

에스펜발러레이트유제 

델타린, 프로펜유제 

에스펜발레레이트,
마라치온유제 
프로치오포스유제 

푸라치오카브유제 

델타린, 피라크로포스유제 

메소밀수화제 

알파스린, 그로포유제 

-

오트란, 올커니

세레크론
페이오프 

타스타 

스카우트

오스타 

톱 단 

역시나

화스탁 

적시타 

한 방 

왕스타

토쿠치온 

델타네트 

가시리 

란네이트

강타자, 진굴탄 

발생초기

"

"
"

"

"

"

"

"

"

"

"

"



"

"

"

"

13g

25g

13㎖
20㎖

20㎖

20㎖

20g

20㎖

20g

20㎖

20㎖

20㎖

20㎖

20㎖

20㎖

10㎖

13g

20㎖

수확7일전까지사용
(5회이내)
수확14일전까지사용
(3회이내)
수확7일전까지사용 
수확21일전까지사용
(4회사용)
수확7일전까지사용
(4회이내)
수확2일전까지사용
(5회이내)
수확14일전까지사용
(3회이내)
수확11일전까지사용
(3회이내)
수확7일전까지사용
(3회이내)
수확14일전까지사용
(8회이내)
수확3일전까지사용
(6회이내)
수확16일전까지사용
(3회이내)
수확3일전까지사용
(6회이내)
수확21일전까지사용
(3회이내)
수확3일전까지사용
(5회이내)
수확21일전까지사용
(4회이내)
수확14일전까지사용
(2회이내)
수확21일전까지사용 


  참 고 문 헌
 
농약공업협회. 2000. 농약사용지침서.
유재기 외. 2000. 채소 충해의 진단과 방제. 채소병해충 진단과 방제. 농업과학기술원.
Blackman, R. L. et al. 2000. Aphids on the World’s Crops. An Identification Buide. Second Edition.
Chan, C. K. et al. 1991. Aphid-transmitted viruses and their vectors of the world. Research Station,
  Vancouver, British Columbia. Technical Bulletin 1991-3E.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