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밤나방의 생태 및 방제
 
기관 : 농업과학기술원 작물보호부
 
성명 : 김정준
 
전화 : 031-290-0464
           
  1. 파밤나방의 분류학적 위치 및 형태
     파밤나방은 나비목 밤나방과에 속하는 해충으로 1808년 Hubner에 의해 Noctua exigua로 기록되었고, 1958년 Zimmerman이 Spodoptera exigua로 재명명하여 현재 이용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1926년 황해도 사리원에서 사탕무우를 가해하는 해충으로 국내에서 최초로 기록된 후 발생 및 피해에 관한 보고가 거의 없었으나, 최근에 남부 지방 밭작물을 중심으로 발생량이 증가되고 있다. 성충의 체장은 10~15㎜ 정도이며 앞날개는 회갈색으로 중앙부에 연한 황색 또는 황색의 반문이 있다. 유충은 1~2령 때는 황녹색이며 3령 이후에는 체색 변이가 심하고 녹색 또는 갈색이 많다. 유충의 측면에는 뚜렷한 흰선이 있고 기문의 주위에는 핑크색의 반달 무늬가 있다.

 
성충 유충

그림 1. 파밤나방의 형태

  2. 파밤나방의 생태
    가. 기주
       파밤나방은 동남 아시아가 원산지인 세계적으로 널리 알려져 있는 해충의 하나로서 남아메리카를 제외한 열대 지방으로부터 아열대 지방에 걸쳐 광범위하게 분포하고 있다. 장거리 이동성 해충으로서 4일동안 약 4,000마일 이상을 쉬지 않고 날아갈 수 있다. 파밤나방의 기주는 그 범위가 넓어 채소, 화훼, 과수 등 40과 200여종이 보고되어 있으며, 국내에서는 채소류로 파, 배추, 무, 시금치, 고추 등 13종, 화훼류로 국화, 안개초 등 6종, 전작물로 땅콩, 콩, 감자 등 12종, 기타 쇠무릅, 개비름 등 10종으로 총 41종이 확인되었다.

    나. 생활사
      (1) 각 태별 발육 기간
         난 기간은 20, 23, 27, 30℃등 4온도 조건에서 각각 5.4, 4.0, 3.0, 2.0일 이고, 난화율은 64.0~85.4% 다. 유충 기간은 각각 36.8, 25.6, 15.8, 14.5일 이었고, 용화율은 25.0~86.4%였다. 용기간은 각각 16.4, 11.2, 6.6, 5.7일이며, 우화율은 80.0 ~92.3%였다. 산란 전기간은 2.3, 2.3, 1.3, 0.8일, 수명은 각각 9.0, 6.3, 5.3, 4.5일 이었다. 발육 영점 온도는 알 14.4℃, 유충 13.7℃, 번데기 15.1℃, 알~번데기 14.2℃였고, 유효 적산 온도는 알 33.4, 유충 229.5, 번데기 63.1, 알~번데기 344.1일도 였다. 경기 수원 지역에서는 월동이 불가능하였다.

      (2) 유충의 생장율
         파밤나방 유충을 실내에서 5세대 동안 인공 사육하여 탈피할 때마다 두폭의 최대치를 측정하여 영기별 생장율을 구한 결과 2령 유충의 생장율은 1.43이었고 3령은 1.55, 4령은 1.48, 5령은 1.54, 6령은 1.76이었다. 한편 두폭 평균치의 대수를 Y축, 령의 수를 X축으로 하여 회귀직선식을 구한 결과 LogY = -0.891 + 0.187X (r2=0.997**)였고 Dyar의 법칙과 동일한 기하급수적으로 성장하였다.

      (3) 내적 자연 증가율
         파밤나방의 내적 자연 증가율은 20, 23, 27, 30℃의 항온조건에서 각각 0.052, 0.088, 0.183, 0.217이었다. 순 출산율은 20, 23, 27, 30℃에서 26.9, 54.8, 152.8, 208.4/세대였고, 평균 세대 기간은 각각 63.1, 45.3, 27.5, 24.6일 이었다. 실내 및 포장 계통의 내적 자연 증가율은 0.162, 0.206이었다. 실내 및 포장 계통의 순 출산율은 247.4, 993.3/세대였고, 평균 세대 기간은 각각 34.0, 33.5일 이었다.

    다. 발생소장
       페로몬 트랩을 이용하여 경기 수원에서 발생소장을 조사한 결과, 6월 하순부터 11월 중순까지 유인되었으며, 8월 상순에 최대 유인량을 보였다. 그러나 발생 정도는 해에 따라 변화가 심하였다. 1992년 전남 고흥의 경우 4월 중순부터 유인이 되어 경기 연천 지역보다 3개월 정도 빠르게 유인되었다. 이는 발생이 지역간에 차이가 많음을 나타낸다. 경기 수원지역에서 산란 최초 일이 5월 중순이면 년 4세대 발생이 가능하고, 제1 세대는 48일, 제2 세대는 25일, 제3 세대는 23일, 제4 세대는 58일이 소요되었다. 1991년 충남 아산 지방의 파에서 유충 발생소장은 뚜렷하지 않았으나 6월 하순부터 발생하기 시작하였고, 최고 밀도에 도달한 9월 중순까지 점진적으로 증가하였고 그 후 급격히 감소하였다.

    라. 유충의 공간분포
       파에서 파밤나방의 유충의 시기별 공간 분포 양식은 발생 최성기인 8월 중순과 9월 중·하순에는 집중 분포를 하고, 10월에는 임의 분포를 하였다. 유충 영기별로는 각 영기 모두 집중 분포하고 있었고 집중도는 영기가 낮을 수록 높았다. 기주 식물별로는 고추, 대파에서는 집중 분포를 하였고, 상추, 오이, 녹두에서는 임의 분포를 하였다.

    마. 작물별 산란 및 식이 선호성
       파밤나방 성충의 작물별 산란 선호성은 배추, 시금치, 담배 순으로 높았다. 성충은 잎 뒷면에 93.1%, 표면에 3.3%, 줄기에 3.6% 산란하였다. 부화 유충의 식이 선호성은 오이, 시금치, 배추 순으로 높았다. 3~4령 유충의 식이선호성은 수박, 배추, 옥수수 순으로 높았다. 3~4령 유충의 24시간당 식이량은 옥수수 252㎟, 배추 169㎟, 시금치 164㎟였다.

    바. 경제적 피해 수준 설정
       파밤나방의 요방제 밀도는 봄 배추에서 주당 2마리, 가을 배추에서는 주당 5~6마리 이상으로 추정된다. 축차추출법에 의한 파밤나방 유충의 방제 결정선은 봄 배추에서 d=1.9242n±23.5498이었고, 파에서는 6월에 d=1.3870n±95.5304, 10월에 d=1.4428n±3.1704였다.

   
    그림 2. 파밤나방에 의한 피해

  3. 파밤나방의 방제
    가. 화학적 방제
       파밤나방은 약제저항성이 매우 강한 해충으로 국내에서도 약제 방제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1~2령 유충은 약제에 대한 감수성을 보이나, 3령 이후의 노숙 유충은 약제에 대한 강한 내성을 보이고 있다. 파밤나방 약제로는 수박에 크로르프루아주론유제, 테부페노자이드수화제가 등록되어 있다.

    나. 생물적 방제
       파밤나방 유충의 미생물 천적으로 곤충병원성 곰팡이 Nomuraea rileyi와 핵다각체바이러스가 알려져 있다. Nomuraea rileyi는 9월 상·하순의 기온이 낮은 시기에 유충에 기생하는 균이 많이 발견되고 있어, 생물적 방제인자로 이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핵다각체바이러스 이용에 관한 연구도 국내 연구진에 의해 수행되고 있어 머지않은 장래에 실용화가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페로몬이 예찰 또는 대량 유살용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참 고 문 헌
 
고현관. 1993. 채소의 주요해충인 파밤나방의 생태학적 특성. 충북대박사학위논문.
농업협동조합중앙회. 1998. 영농기술 및 농업경영교육용 교재. 채소 병해충 방제.
농업과학기술원. 2000. 채소 해충의 진단과 방제. 아카데미서적.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