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증    상
   과피측면에 종으로 황백색의 줄무늬가 생기며 그 부분은 수확시기에 가서도 정상적인 착색이 되지 않고 흑변이 된다. 특히 서촌조생에 많이 발생한다.



2. 발생되기 좋은 조건과 장소와 원인
   수세가 쇠약할 때나 불충실한 결과모지에 착과된 과실에도 많이 발생한다. 하우스 재배시 주,야간의 온도교차가 클때, 특히 발아기에서 잎전개기 사이의 생육초기에 영향을 많이 받는다. 줄무늬 과실이 나타나는 시기는 꽃이 진 후부터 착색기 이후까지도 계속되며 이는 발아 이후 세포수 증가시기부터 세포비대기 사이에 고온 또는 일중온도의 심한 교차로 이미 장해를 입은 것이 계속해서 나타나는 것으로 생각된다. 착과위치에 따른 기형과실의 발생률은 개화가 빠를 수록 발생이 많으며 이는 고온 조건의 경우 화기분화와 발육이 과도하게 조장되어 개화가 빨라짐과 동시에 화기의 호흡활성도 지나치게 촉진되어 화기발육에 지장을 초래함으로써 줄무늬과실의 발생이 조장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3. 방지대책
   착과수를 많이 남겨 장해과실 솎음에 대비하여 주야간의 온도교차를 줄이며 특히 비닐피복 이후 개화기까지의 생육 초기의 온도관리에 유의한다. 또한 적과시 정상과실, 줄무늬과실의 구별이 가능한 시기에 마무리 열매솎기를 한다. 수세가 쇠약할 때 줄무늬 과실의 발생이 많으므로 결실과다를 피하고 수세유지를 위한 관리를 철저히 한다

'과일나무재배 >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병해-둥근무늬낙엽병.  (0) 2007.07.28
병해-탄저병.  (0) 2007.07.28
생리장해-열과.  (0) 2007.07.28
생리장해-녹반증.  (0) 2007.07.28
생리장해-과피흑변.  (0) 2007.07.2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