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번 봄에 감 대봉시 접목 묘목을 심었는데
대목을 고욤나무로 접을 한 것과 대목을 일반 감나무 씨앗 묘목으로
한 것의 묘목 수피가 뚜렷이 달랐습니다.
고욤대목과 일반감씨앗 대목의 차이는 어떻게 다른지요?
묘목상 아저씨 이야기로는 고욤대목은 키가 크는 속도가 감씨앗 묘목보다 느리고
또한 고욤대목이 감씨앗 대목보다 더 노화가 빨리 온다고 하던데 맞는지요.
또한 고욤대목의 감은 아무레도 대목의 영향을 받아 더 작게 열리지는 않는지
궁금합니다.

접목에서 대목이 접수에 미치는 영향

감 대목으로는 아시는 바와 같이 주로 공대와 고욤이 이용되고있습니다.

공대는 단감, 떫은감, 산감 등 보통 감종자에서 얻어진 실생묘를 말하며
고욤대는 고욤종자에서 얻어진 실생묘를 말합니다.

공대는 내한성이 고욤대 보다 약하나 뿌리가 깊이뻗는 심근성이기 때문에 습기와 가뭄에 잘 견디어 남부의 따뜻한 지방에서 이용되고,

고욤대는 뿌리가 얕게뻗는 천근성이지만 내한성이 강하여 중북부지방에서 떫은감의 대목으로 많이 이용됩니다.

대목의 특성 을 보면
공대는 주로 곧은뿌리로 되어 있고 곁뿌리와 잔뿌리가 적어 공대에 접목한 묘목은 심은 후 초기 생육이 비교적 부진하나 활착이 완전히 이루어진 이후부터는 생육이 양호하며
공대는 어느 품종과도 접목친화성이 있어서 부유를 비롯한 모든 단감품종은 물론 떫은감의 대목으로 널리 쓰입니다.

고욤대목은 뿌리발달이 양호하여 곁뿌리와 잔뿌리의 발생이 많으나 품종에 따라서는 접목친화성이 약하여 접합부가 붙어 아무는 유합이 불량하여 바람에 쉽게 넘어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접목친화성이 약한 품종을 고욤대에 접목한 묘목은 초기활착과 생육은 좋으나 결실기에 이르면 점차 수세가 쇠약하여 말라죽는데 단감인 부유 및 부유계통의 품종이 여기에 해당됩니다.

대목간의 접목친화성 에서 고욤대목과의 친화성 정도를 보면

친화성이 있는 품종은 평핵무, 감백목, 선사환, 어소, 가라, 대봉시 등이고

친화성이 불량한 품종은 부유, 정월, 횡야, 전천차랑 등으로 알려져있습니다.

한편 고욤대목에서 친화성이 있는 품종의 경우 노화가 빨리온다거나 과실이 작게 열린다는 것은 사실이 아닌것으로 판단됩니다.

'과일나무재배 > '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감나무.  (0) 2007.10.21
감(대봉) 묘목 이식시 고려사항.  (0) 2007.10.21
감나무 접붙이기 작업...  (0) 2007.10.21
♣ 감의 성분.  (0) 2007.10.21
정지.전정 결실관련 연구..  (0) 2007.10.2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