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꼭지나방
Stathmopoda masinissa Meyrick, persimmon fruit moth

1. 형   태
  성충의 몸길이는6 ∼7m이고 머리는 금속광택이 있는 갈색이며, 가슴은 흑갈색, 배는 암외백색이다. 알은 타원형의백색이며 길이는 0.5mm, 넓이는 0.3mm정도로 표면에 세로의 가는 줄이 많고 위쪽에는 둥근 환상으로 가는 털이 나있다. 유충은 타원형이고 갈색이며 암갈색의 고치 속에 들어있다. 고치는 나무껍질에 붙어있으며 고치 속의 유충은 백색이다.

<그림> 성충

  <그림> 난(알)

<그림> 조피속 고치속의 월동유충

  <그림> 융(번데기)


2. 피해증상
  1∼2령의 어린 유충은 처음에는 잎을 갉아먹다가 이어서 과실을 파먹고 들어간다. 1세대 유충의 피해는 6∼7월에 나타나며 피해받은 어린 과실은 진한 갈색이 되고 쉽게 낙과한다. 2세대 유충에 의한 피해과실은 주로 8월하순이후 나타나는데 건전 과실보다 일직 붉어져 물러진다. 피해과실은 피해부위에 배출된 벌레똥이 붙어있다.

<그림> 어린과실의 피해증상

<그림> 과실피해와 꼭지부분의 똥


3. 발생상태
   연 2회 발생하며 성숙한 애벌레로 거친껍질밑, 가지사이 등에 고치를 짓고 월동한다. 다음해  5월사순경부터 번데기가 되고 5월하순∼6월상순에 제 1회 성충이 나타난다. 성충은 야행성으로 낮에는 잎 뒤에 정지하여 있다가 밤에 잎, 가지 또는 잎자루와 잎 사이에 1개씩 유백색의 알을 낳는다. 1주 정도 지나서 부화하여 눈 또는 잎에 피해를 주다가 3령이 되면서 과실을 파고 들어가며, 한 마리가 여러 개의 과실로 이동하면서 가해한다. 30일 정도의 유충기를 거치고, 성숙하면 고치를 짓고 번데기가 된다.

   제 2회 성충은 7월중순∼8월중순에 나타나며 2화기의 애벌레는 3∼4개 과실을 가해한 후 9월하순경부터 월도장소를 찾아서 회백색의 월동고치를 짓고 그 속에서 월동한다. 남주지방에서 1화기 성충 발생 최성기는 6월상·중순이고 2화기는 8월 상순경이다.

4. 방제법
  겨울철 거친 나무껍질을 제거하여 서식처를 없애고 피해 과실은 속히 제거하여 발생원을 없앤다. 1, 2화기 성충발생기에 2∼3회 적용약제를 살포한다. 방제 약제로는 주론수화제, 칼탑수용제, 에토펜프록스수화제, 지오신수화제, 델타린유제, 싸이스린수화제, 프로치오포스수화제, 메프수화제, 테프루벤주론수화제, 크로르푸루아주론수화제 등이 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