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촌애(김영수)
2007. 11. 25. 12:24
2007. 11. 25. 12:24
|
주머니깍지벌레 Erococcus largerstroemiae Kuwana, grape-myrtle scale
1. 형 태 암컷 성충의 체장은 3mm 가량이고 몸체를 둘러싸고 있는 흰색의 주머니는 타원형으로 양끝이 약간 볼록하다. 성충을 눌러 터뜨리면 붉은 즙액이 나오며, 갓 부화한 약충은 외관이 붉은색을 띤다. 수컷은 백색 반투명한 날개가 1쌍있고 날개 맥은 2개이며 체장은 0.9mm 가량이다.
![](http://knfclub.knrda.go.kr/club/club_beta/02/image/118-2.jpg)
|
![](http://knfclub.knrda.go.kr/club/club_beta/02/image/118-3.jpg)
|
<그림> 과실 피해 |
<그림> 성충과 약충 |
2. 피해증상 성충과 약충이 가지와 잎, 과실에 기생하여 즙액을 빨아먹어 수세가 약화되며 심하면 나무전체가 말라죽는다. 도한 배설물로 감로를 분비하기 때문에 그을음병이 유발되기도 한다.
3. 발생생태 연 2회 발생하는데 해에 따라서는 3회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암컷의 각지 속에서 알로 월동하며, 월동한 알은 6월중순에 부화하여 가해하다가 8월경 성충이 된다(제 1회 성충). 이 성충이 산란하여 8월하순에 알이 부화하고, 10월경 성충이 출현(제 2회 성충)하여 월동알을 낳는다.
4. 방제법 월동기에 기계유유제를 살포하거나 발아 전 석회유황합제 5도액을 살포한다. 생육기의 방제적기는 알 부화기 또는 약충기인 6월과 8월하순경으로 기상에 따라 차이가 날 수 있어 세심한 관찰이 필요하다. 알에서 갓부화된 약충은 흰색 납물질로 사여있지 않기 대문에 방제가 잘 되지만 성장할수록 방제 효과가 떨어진다. 방제약제로 고시된 것은 없으나 메치온유제, 메프수화제 등이 효과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