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안 앞바다에서 발생한 기름 유출사고 피해가 태안반도를 초토화시키고 서해 전역까지 위협하고 있다. 10일 현재 해경 방제대책본부에 따르면 유조선에서 유출된 기름띠가 태안반도 90㎞와 해안선 40㎞로 확산되고 양식장과 어장 8000여㏊를 초토화시켜 서해 전역에 비상령이 발효됐다.
국내 유일의 태안해안국립공원의 절반 이상이 피해 지역에 포함된 상태이고 태안지역 31개 해수욕장 가운데 명소로 알려진 만리포해수욕장을 비롯 태안군 원북·소원면을 중심으로 10개 해수욕장이 검은 기름으로 완전히 뒤덮였다.
사고 5일째인 11일에는 조류가 가장 강한 날인 데다 기름띠가 움직이는 진폭이 커지면서 북동과 남서방향으로 6마일 정도가 태안반도 밖으로 확산될 가능성이 높아 인근 보령·서산시·당진군 해역도 피해가 불가피할 전망이다.
10일 현재 국내 최대 갯벌 어장인 가로림만과 근흥·소원만 해역까지 기름띠가 흘러들면서 이 지역에서 생산되고 있는 굴, 바지락, 김, 전복 등 피해어장이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 특히 서해안 생태계의 허리에 해당하는 근흥·소원면과 가로림만은 갑각류와 복족류, 바위에 붙어 사는 부착생물이 풍부해 연안 조류들의 어족자원이지만, 이는 이미 끝난 상태이다. 해상의 기름띠는 사고 해역 남쪽으로 안면도 앞바다 50여㎞, 북쪽으로는 가로림만을 거쳐 대산석유화학공단 인근까지 퍼져 이미 서산시와 보령시 해역에 접근한 상태이다. 기름띠 확산을 막고 태안 해안에 둘러진 기름띠를 제거하기 위한 방제작업도 매일 배 이상의 인력과 장비가 투입되고 있지만, 한계에 직면하고 있다.
주민들은 "조기 방제도 중요하지만 방제작업에 사용되고 있는 유화제에 의한 2차 오염이 우려된다"며 "장기적인 안목에서 생태계를 보호하는 작업도 병행돼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환경전문가들은 "기름띠가 퇴적물 사이로 침투, 갯벌 속의 조개와 갯지렁이에게 피해를 줘 갯벌 생태계에 돌이킬 수 없는 피해를 주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사고발생 4일째를 맞고 있는 태안 앞바다에는 군과 공무원, 자원봉사자, 경찰, 삼성중공업 봉사단 등 1만여 명이 투입돼 9개 구간으로 나눠 방제작업을 벌이고 있으며 207척의 선박과 헬기 5대가 해상방제를에 참여하고 있다.
국내 유일의 태안해안국립공원의 절반 이상이 피해 지역에 포함된 상태이고 태안지역 31개 해수욕장 가운데 명소로 알려진 만리포해수욕장을 비롯 태안군 원북·소원면을 중심으로 10개 해수욕장이 검은 기름으로 완전히 뒤덮였다.
사고 5일째인 11일에는 조류가 가장 강한 날인 데다 기름띠가 움직이는 진폭이 커지면서 북동과 남서방향으로 6마일 정도가 태안반도 밖으로 확산될 가능성이 높아 인근 보령·서산시·당진군 해역도 피해가 불가피할 전망이다.
10일 현재 국내 최대 갯벌 어장인 가로림만과 근흥·소원만 해역까지 기름띠가 흘러들면서 이 지역에서 생산되고 있는 굴, 바지락, 김, 전복 등 피해어장이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 특히 서해안 생태계의 허리에 해당하는 근흥·소원면과 가로림만은 갑각류와 복족류, 바위에 붙어 사는 부착생물이 풍부해 연안 조류들의 어족자원이지만, 이는 이미 끝난 상태이다. 해상의 기름띠는 사고 해역 남쪽으로 안면도 앞바다 50여㎞, 북쪽으로는 가로림만을 거쳐 대산석유화학공단 인근까지 퍼져 이미 서산시와 보령시 해역에 접근한 상태이다. 기름띠 확산을 막고 태안 해안에 둘러진 기름띠를 제거하기 위한 방제작업도 매일 배 이상의 인력과 장비가 투입되고 있지만, 한계에 직면하고 있다.
주민들은 "조기 방제도 중요하지만 방제작업에 사용되고 있는 유화제에 의한 2차 오염이 우려된다"며 "장기적인 안목에서 생태계를 보호하는 작업도 병행돼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환경전문가들은 "기름띠가 퇴적물 사이로 침투, 갯벌 속의 조개와 갯지렁이에게 피해를 줘 갯벌 생태계에 돌이킬 수 없는 피해를 주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사고발생 4일째를 맞고 있는 태안 앞바다에는 군과 공무원, 자원봉사자, 경찰, 삼성중공업 봉사단 등 1만여 명이 투입돼 9개 구간으로 나눠 방제작업을 벌이고 있으며 207척의 선박과 헬기 5대가 해상방제를에 참여하고 있다.
![]() |
'다락골사랑 > 당진사랑'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행복한 2008년을 위해 당진 왜목마을 해맞이 축제 (0) | 2008.01.01 |
---|---|
당진으로 2008 서해안 해맞이여행을... (0) | 2007.12.28 |
당진 '해나루 쌀' 브랜드 대상 영예 (0) | 2007.12.23 |
왜목마을·장태산 등 '겨울철 명소' (0) | 2007.12.23 |
당진 건축경기 도내 최고 '활황' (0) | 2007.1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