흡수나방류의 종류

보통 나방류 해충은 유충이 과수나무 잎이나 과실을 가해하지만 흡수나방은 성충이 직접 과실을 가해한다. 즉 성충이 직접 과실표면에서 주둥이를 찔러서 흡즙하므로 피해부위가 스폰지화되며 2차적으로 병원균이 감염되어 썩게된다. 지금까지 대략 55종의 흡수나방류가 보고되어 있으며 이들은 가해형태에 따라 2가지 종류로 구분 할 수 있다.
첫째 1차 가해종으로서 이들은 직접 주둥이로 과실에 상처를 내고 흡즙하는 종류들로 작은갈고리밤나방, 무궁화밤나방, 갈고리밤나방, 스투포사밤나방, 으름나방, 금빛우묵밤나방, 암청색줄무늬밤나방 등이 이에 속한다. 둘째는 2차 가해종들로서 이들은 직접과실에 상처를 내지는 못하고 1차 가해충이 상처를 내어 즙액이 나온 과실이나 다른 요인에 의하여 상처가 난 과실에서 흡즙한다. 2차 가해종은 쌍띠밤나방, 태극나방, 까마귀밤나방, 배칼무늬밤나방, 흰줄태극나방 등이 있다.

사과 피해과

사과 패해과 스폰지 증상

 

복숭아 피해과

 

 

으름밤나방

학명

Adrias tyrannus Guenee

영명

akebia leaf-like moth

기주범위

포도나무, 복숭아나방, 사과나방, 배나무, 자두나무, 귤나무, 무화과나무, 감나무, 토마토(이상성충), 으름덩굴(유충)

분포

한국, 일본, 대만, 인도, 중국, 시베리아

형태

성충은 체장이 35mm 정도이고 날개를 편길이가 110mm 정도의 큰 나방으로서 머리, 가슴, 앞날개 등은 농갈색이고, 앞날개 끝에서 뒷가의 중앙으로 뻗은 굵은 사선이 있다. 뒷날개는 황갈색이고, 흑색의 태극무늬가 있다. 알은 구형이고 담황색이다. 유충은 길이가 90mm 정도이고 녹색을 띤 갈색이며 몸의 제 5마디에 백색의 반문이 있고, 제 6마디에는 초생달 모양의 황색 무늬가 있다.

으름밤나방 유충

피해증상

성충이 성숙되는 과실의 표면에서 주둥이를 찔어 넣어 즙액을 빨아먹으며 피해부위는 처음에는 스폰지 같이 물렁물렁하다가 원형으로 썩어 들어간다. 주로 성숙기에 사과, 배, 복숭아, 자두, 귤, 포도, 감 등을 가해한다.

발생생태

1년에 2회발생하고 성충으로 월동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자세한 생태는 알려져 있지 않지만 해에 따라 발생정도가 매우 다르며, 유충은 과원밖의 으름덩굴 등 수목에서 발육하고 성충으로 되어 과실의 향기에 끌려온다. 야간에만 성충이 활동하고 비 온후에 더 많은 성충이 과원으로 이동해 온다.

 

우묵밤나방(갈고리밤나방)

학명

Oraesia excavata (Butler)

영명

reddish oraesia, fruit piercing moth

기주범위

포도나무, 귤나무, 사과나무, 토마토, 배나무, 복숭아나무, 무화과나무

분포

한국, 일본, 중국

형태

성충은 체장이 22∼25mm이고 날개를 편길이가 50∼54mm 로서 앞날개의 끝은 뾰족하고, 그 뒤에는 우묵하게 함몰되어 있다. 수컷의 더듬이는 톱니모양이고 몸과 날개는 적갈색이며, 머리, 아랫수염, 몸의 배면, 다리 등은 주홍색이고, 배의 등면은 황갈색이다. 앞날개의 잎가에는 암적갈색의 가는 줄이 8개 나 있고 가털은 암적갈색이다.

우묵밤나방 성충

피해증상

으름나방과 같이 성충이 야간에 과수원에 날아와서 과실에 구멍을 뚫고 즙액을 빨아먹는다. 포도, 귤, 사과, 배, 복숭아, 토마토, 무화과 등의 과실을 가해한다. 피해과는 가해부위로부터 썩어 들어가 상품가치를 잃는다.

발생생태

유충은 과원내에서 발견되지 않고 과원주변의 수목에서 번식한 후 성충이 되어 과수원으로 날아온다. 성충은 7∼10월 나타나나 과실의 성숙기에만 과실을 가해한다. 산에서 가까운 과원에서 피해가 심하다.

 

애우묵밤나방

학명

Oraesia emarginata Fabricius

영명

smaller oraesia

생태는 우묵밤나방과 비슷하며 노숙유충으로 월동한다.

 

은무늬우묵밤나방

학명

Plusiodonta casta Butler

영명

marmorated noctuid

1년에 3∼4회 발생하며 유충태로 월동한다. 제1회 성충은 7월중순에 제2회는 8월중순, 제3회 성충은 9월중순에 나타나며 4회 성충은 10월중순에 발생한다. 성충은 복숭아, 포도, 배 등에서 과즙을 빨아 먹는다.

 

칼페우묵밤나방

학명

Calpe thalictri

영명

fruit calpe

주로 추운지역에서 발생이 많고 복숭아, 포도, 사과, 배 등에서 피해가 심하다. 1년에 3회 발생하며 노령유충으로 월동한다. 제1회 성충은 6월상중순, 제2회 성충은 7월중하순에, 제3회 성충은 9월상순에 나타난다

 

애으름밤나방

학명

Othreis fulloni clerck

영명

leaf-like fruit moth

성충은 6월 중하순에 복숭아, 9∼10월에는 포도, 감귤, 무화과에 날아와 피해를 준다. 성충 모양은 으름나방과 아주 비슷하나 앞 뒤 날개의 빛깔이나 반문으로 구별할 수 있다.

 

흡수나방류의 생태습성

흡수나방류의 가장 큰 생태특성은 유충과 성충이 과수원내에서 서식하지 않고 주로 야간에 성충이 날아와 과실을 가해한다는 점이다. 유충들은 주로 과원주변의 식생에서 잡초나 수목을 먹고 자라며 성충이 된후에 과실의 향기에 유인되어 과수원에 침입한다. 흡수나방류 유충이 서식하는 기주식물은 댕댕이덩굴, 자귀나무, 개굴피나무, 가래나무, 가지, 배추, 나무딸기, 꿩의다리, 검양옻나무 등이다. 흡수나방류는 6월하순부터 10월하순까지 발생하나 주로 8월하순 이후 과실의 당도가 높아지고 산도가 낮아질 때 피해를 준다. 흡수나방류는 주로 밤에 활동하기 때문에 야간온도가 14℃ 이상 될 때 활동이 왕성하고 12∼13℃ 이하가 되면 활동이 급격히 감소한다. 과수원으로 비래시간은 일몰후 1∼2시간후부터 시작하여 21∼22시에 최성기를 이룬다.

 

흡수나방류의 발생예찰

흡수나방의 발생유무를 직접 확인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과실숙기에 과실표면에 흡수나방에 의한 흡수공을 조사하는 것이다. 흡수나방의 피해를 받은 과실은 흡수공을 중심으로 원형의 스폰지화된 피해가 나타난다. 또한 야간에 포충망을 이용하여 직접 가해하고 있는 성충을 포획하여 확인하는 방법도 있다. 광범위하게 발생을 예찰될 수 있는 방법은 유아등을 설치하여 조사 하는 것이다. 보통 유아등은 청색등을 쓰며 지상 1.5m 높이에 설치하고 밑에 끈적이나 전착제를 섞은 수반은 놓아 나방을 유살하여 예찰한다.

 

방제법

유아등 설치 : 황색 또는 청색등을 10a당 18개 정도 울타리 주위 또는 중간에 설치하여 활동을 억제하거나 기피시킨다.

방아망(防蛾網) 설치 및 봉지재배 : 방아망으로 10∼15mm 정도의 방충망을 설치하거나 기름종이로 봉지를 씌워 방제한다.

유인물질을 이용하여 유살한다(막걸리+설탕+살충제).

야간에 황가루를 태워 성충이 과원으로 이동하는 것을 기피시킨다.

약제방제는 야간에 실시해야 효과가 있으며 보통 유기인제 계통을 사용한다.

'과일나무재배 > 복숭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복숭아 해충- 통마디알락명나방  (0) 2007.12.24
복숭아 해충- 풍뎅이류  (0) 2007.12.24
복숭아 해충- 하늘소류  (0) 2007.12.24
복숭아재배-병충해방재.  (0) 2007.12.23
복숭아재배- 생리장해.  (0) 2007.12.2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