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주간형
원줄기를 영구적으로 수관 상부까지 존속시키고 원가지를 그 주변에 배치하는 수형으로서 정부우세성이 강한 사과나무나 감나무와 같은 교목성 과수를 자연 상태로 방임하면 주간형으로 자라기 쉽다. 따라서, 주간형은 이들 과수의 생장특성에 가장 가까운 수형으로서 수형구성이 쉽고 수관 확대가 빠르며 초기 수량이 많지만, 수령이 증가함에 따라 수고가 너무 높아져서 관리하기 불편하고, 위쪽 가지의 세력이 강해지는 반면에 아래쪽 가지는 쇠약해지며, 수관 내부에 햇볕의 투과가 불량하여 과실의 품질저하 * 착과불량 등의 단점이 있다. 뉴질랜드에서 개발된 주간 피라미드형, 유럽에서 개발된 방추형 * 세장방추형 및 수지축형, 그리고 미국에서 개발된 하이테크수형 등과 같이 성목이 된 후에 까지 주간 연장부를 계속 남겨 두는 수형은 넓은 의미에서 볼 때 모두가 일종의 주간형에 속하는 것이다.(그림 1 - 17)
2. 변칙주간형
변칙주간형은 주간형의 단점인 높은 수고와 수관 내부의 광부족을 시정한 수형으로서 미국동부지방의 사과나무 재배에서 발달하기 시작하였으며, 사과나무 외에 감나무 * 밤나무 * 양앵두나무 등의 재배에 널리 적용되고 있다. 이 수형은 주간형에서 수관 머리부, 즉 주간연장부를 제거하여 수관 내부에까지 햇볕의 투과를 좋게 하고, 수고가 낮아지므로 각종 관리가 주간형보다 편리하며, 상하단지의 세력균형을 쉽게 유지할 수 있는 등의 특징이 있다. 이 수형을 구성하는 데 있어서 초기 수년간은 주간형의 경우와 같이 원줄기를 연장시켜 가다가 적당한 수의 원가지가 형성되었을 때 원줄기의 선단부 세력을 서서히 억제 함으로써 원가지의 발달을 촉진시키고 수폭을 넓혀, 최상단의 원가지가 거의 완성되었을 때 주간연장부를 제거하여 수형을 완성시킨다.(그림 1 - 18)
3. 개심자연형
개심자연형은 배상형의 단점을 개선한 수형으로서 복숭아나무와 같이 원줄기가 수직방향으로 자라지 않고 개장성인 과수에 적합한 수형이다. 이 수형은 짧은 원줄기에 2 ~ 4개의 원가지를 배치하되 원가지간에 15cm정도의 간격을 두어 바퀴살가지가 되는 것을 피하고, 원가지는 곧게 키우되 비스듬하게 사립시킴으로서 결과부를 배상형의 경우보다 입체적으로 구성하는 특징이 있다. 또한, 수관 내부가 완전히 열려 있으므로 햇볕의 투과가 양호하고, 과실 품질이 좋으며, 높이가 낮아 관리하는 데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그림 1 - 19)
4. 배상형
배상형은 짧은 원줄기 상에 3 ~ 4개의 원가지를 거의 동일한 위치에서 발생시켜 외관이 술잔모양으로 되는 수형으로서 1950년대까지 우리나라와 일본의 복숭아나무 에 많이 이용되어 왔다. 이 수형은 수관 내부에 햇볕의 투과가 좋고 수고가 낮아 관리하는 데 편리한 장점이 있지만, 수령이 증가함에 따라 과실의 무게로 원가지가 늘어져서 결과부위가 평면적으로 되기 때문에 수량이 적고 기계작업이 곤란하며 원가지가 바퀴살가지를 이루고 있어 찢어지기 쉬운 등의 결점이 많아 근래에는 별로 이용되지 않는다. (그림 1 - 20)
나. 울타리형 정지
| 교목성 과수 | 덩굴성 과수 | 덕형 정지 | |
1. 교목성 과수
(가) 방추형과 세장방추형
방추형과 세장방추형은 사과나무의 왜화재배에 널리 적용되고 있는 수형으로서 방추형은 1940년경에 독일에서 개발된 것이고, 세장방추형은 1960년경 네덜란드에서 방추형보다 밀식재배가 더욱 가능한 수형으로 개발되었다. 방추형은 수고를 약 2.5m, 수폭을 2 ~ 2.5m로 하고 강한 원줄기에 짧은 곁가지를 배치 하되, 지상 1 ~ 1.5m 부위에 결과부의 중심을 두고 그 위쪽으로 갈수록 곁가지의 길이를 짧게 하여 아래쪽 가지로 햇볕의 투과가 잘 되도록 한 것이 특징이며 세장방추형은 수폭을 더욱 좁게 구성 * 유지하는 점 이외에는 수형의 모양이나 구성방법에 있어서 방추형과 거의 비슷하다. 이와 같은 수형들은 왜화성이 강한 M9대목 또는 M26대목을 사용해야 하고, 사과나무도 수세가 너무 강하지 않은 품종에 적합하며 나무마다 지주를 세워주거나 철선을 가설한 울타리형 지주를 세워 나무를 지지해주는 것이 원칙적인 재배법이다.(그림 1 - 21)
(나) 수직축형
수직축형은 사과나무의 왜화재배에 적용되는 수형으로서 프랑스에서 1970년대 말에 개발되었으며 수고는 3.5m내외, 수폭은 1.5 ~ 2m로 하고 강한 원줄기에 짧은 곁가지를 배치한다. 세장방추형과다른 점은 수고가 높은 것과 정지방법에 있어서 강한 주간연 장지를 무전정의 상태로 남긴다는 점이다. M9나 M26과 같은 대목을 사용하고 지주를 세워주어야 한다.(그림 1 - 21)
(다) 하이브리드트리콘 형
하이브리드트리콘 형은 최근에 미국에서 개발된 수형으로서 세장방추형과 수직축형을 혼합한 수형으로 수고는 약 3m 이고, 수폭은 약 1.5 ~ 2m로서 수고가 수직축형보다 작으며, 정지방법에 있어서 주간연장지를 약한것으로 바꾸어주거나 넓은 각도가 되도록 구부려서 키우는 것은 세장방추형의 정지방법과 동일하다. M9나 M26과 같은 대목을 사용하고 지주를 세워주어야 한다.(그림 1 - 21)
(라) 타투라트렐리스형과 Y자형
타투라트렐리스형은 1970년대 말에 오스트레일리아에서 복숭아나무의 수형으로 개발 되었으며 결간거리를 6m, 주간거기를 0.9m로 하고, 원가지를 열간방향으로 지상 30cm부위에서 나무당 2개씩 구성하여 수평방향과의 각도를 60 ~ 70°로 키우고 수고는 약 3.5m 로 하고, 옆줄 나무와의 가지 끝의 간격은 약 2m가 된다.(그림 1 - 22) 근래 우리나라에서 배나무에 많이 보급되고 있는 Y자형은 원가지의 각도를 45°정도로 하고, 수고는 약 2.5m, 가지의 끝은 옆줄 나무와 닿을 정도로 키우는 것 등 정지방법에 있어서 타투라트렐리스형과 다소 차이가 있으나 본질적으로는 동일한 수형으로 이 수형은 Y자형 지주를 세워주어야 한다.(그림 1 - 23)
|
2. 덩굴성 과수
(가) 웨이크만식 수형
웨이크만식 수형은 포도나무의 수형으로서 2단의 철선을 가설하되 상단은 같은 높이에 약 80cm 간격으로 2개의 철선을 두어 아래쪽 철선에 유인된 원가지에서 자라는 열매 가지를 2개의 상단 철선에 나누어서 유인하는 수형으로 이 수형은 반드시 단초전정을 해야 하므로 이용하기 곤란한 품종도 있다.(그림 1 - 24)
(나) 수평코돈식 수형
코돈식수형은 원가지를 직선으로 키우는 수형으로서 원가지의 방향을 수평, 수직 또는 사립시키는 방법 등이 있다. 미국의 포도나무 재배에서 많이 이용하는 수평코돈식은 원가지를 2단으로 가설한 철선의 하단에 유인하고 열매가지를 상단에 유인하며, 매년 단초전정을 실시한다.(그림 1 - 25)
3. 덕형정지
덕형 정지는 지상 약 1.8m 높이에 가로 세로로 철선을 늘이고 결과부위를 평면으로 만들어 주는 수형으로서 포도나무와 키위푸르트의 재배에 많이 이용되며, 우리나라와 일본의 배나무 재배에도 적용된다. 이러한 수형은 풍해를 적게 받고 수량이 많은 장점 등이 있지만, 시설비와 작업노력이 많이 들고 정지 * 전정과 수세조절이 잘 안 되었을 경우 가지가 혼잡하여 과실의 품질저하, 병해충 발생증가 등의 문제점도 있다.
(가) 포도나무의 경우
포도나무의 덕식 재배는 골격지의 배치장식에 따라 H자형 * X자형 * 우산형 * 일자형 등이 있으며 H자형과 일자형은 단초전정, X자형과 장초전정 또는 중초전정을 하며, 우산형은 중초전정을 또는 장초전정을 주로 하지만 단초전정도 가능하다.(그림 1 - 26, 및 1 - 27)
(나) 배나무의 경우
배나무의 덕식 재배는 일본에서 발달되었고, 원줄기의 길이와 골격지의 배치방식에 따라 여러가지 수형이 있다. 평지에서는 원줄기의 높이를 덕면 높이의 중간 정도로 하고 골격지는 늑골형으로 구성하는 절충식늑골형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원줄기의 높이가 지역에 따라 다양하고, 골격지의 배치가 불규칙적인 것이 많다.(그림 1 - 28) 타투라트렐리스형에서 설명한 Y자형 수관이 Y자형으로 되어 있으나 옆줄 나무와 맞붙어 있으므로 수광조건과 재배관리에 있어서는 절충식 늑골형에 가깝다고 할 수 있으며 Y자형은 초기수량이 많고 관리노력이 절감되는 등의 장점때문에 배나무에서 널리 보금되고 있으며, 경기도농업기술원에서는 사과에 적용확대시험을 하고 있어 조만간 보급될 것으로 전망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