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민원내용
수고 하십니다. 한 가지 궁금한 것이 있어서 문의를 해봅니다. 금년도에 콩 재배 시 한번도 농약을 안했는데도 콩 노린재의 피해가 없었었습니다. 다른 농가들도 피해가 없었다고 합니다. 작년도에는 콩 노린재가 대단히 많이 발견이 됐으나, 금년도에는 거의 발견을 할 수가 없었습니다. 그 원인은 천적과의 먹이사슬이 정착된 것인지 아니면 기후적인 영향인지가 궁금합니다. 콩 노린재의 천적곤충은 무엇이 있는지요?

▶ 답변내용
단적으로 노린재 발생밀도가 변한 것의 원인은 무엇이라 말씀드릴 수 없습니다. 1) 질문자께서 관찰하신 것처럼 올해 콩 포장에서 전반적으로 노린재 발생밀도가 적었던 것 같습니다. 실제 작년에도 포장 간에 차이가 꽤 있었지만 그 이전 해들에 비해 발생이 적었던 것 같았습니다. 해에 따라 노린재 발생밀도의 많고 적음에 관한 뚜렷한 이유는 아직 모르고 있습니다. 야외에서 어느 해충의 밀도조절 요인들을 추정하는 것은 상당한 노력이 투입되지 않는 한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콩 주요 노린재 해충 중의 하나인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에 관해서는 일본에서 많이 연구되어 왔습니다만 역시 해에 따른 밀도변동의 이유는 밝히지 못하고 있습니다. 그간의 밀도변동 경과관찰로 고온이고 건조한 해에 발생이 많았고, 저온이고 비가 많은 해에 발생이 적었다고 하여 이런 기상상황을 하나의 원인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만 뚜렷한 증거는 충분하지 않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작년에 태풍이 잦았던 것이 상대적으로 밀도가 낮았던 원인으로 생각했는데, 올해는 조금 덥고 비가 많이 내리지는 않았습니다. 그래서 올해 꽤 발생이 많을 수 있다고 생각했는데 관찰결과는 오히려 작년보다 더 적은 경향이었습니다(물론 포장에 따라 발생이 많았던 곳들도 있습니다). 즉, 올해의 밀도는 상기한 기상적인 원인에 단순히 적용되지 않게 되었습니다. 단 초여름 많은 양들은 아니었지만 비가 꽤 자주 왔던 것이 하나의 원인이 아니었나 생각이 듭니다. 그러나 이는 아직 억지 해석일 뿐인 것을 염두에 두어 주십시오. 2) 천적이 다음 해의 노린재 밀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연구결과가 없습니다. 또 그런 먹이사슬이 정착되었는지도 아직 명확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몇 해의 조사결과로부터 콩 포장에서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알의 사망율이 꽤 높은 편이고 알의 주 사망요인이 기생벌에 의한 것을 밝혀낼 수 있었습니다. 특히 꼬투리가 거의 자란 이후에는 보편적으로 기생율이 매우 높은 편입니다. 콩밭 노린재류 알에 기생하는 기생벌 종류는 검정알벌과에 속하는 종이 3종, 깡충좀벌과에 속하는 종이 1종이 확인되고 있습니다.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알에는 특히 검정알벌과의 Gryon속의 한 종이 중부지방과 호남지방에서 우점하는 것이 확인되었습니다. 따라서 노린재 밀도를 적절히 조절하고 알기생벌을 보호하는 쪽으로 생각한다면 살충제를 처리하는 횟수를 줄일 수 있지 않은가 생각하고 있습니다만 이를 포함한 전체 노린재 밀도조절 방안에 대해서는 앞으로 더 구체적인 연구결과가 나와야 할 것 같습니다. 약충 혹은 성충의 경우에는 콩밭 안의 거미류에 의해 꽤 포식당하지 않는가 추정되고 있습니다만 구체적인 조사 결과는 없습니다. 알기생벌에 관한 그간의 연구결과의 일부로 임대준 등(작물시험논총, 2002)과 정진교 등(작물시험논총, 2004)과, 노린재 밀도변동에 관한 것은 정진교 등(작물시험논총, 2004)를 참조하시면 이해하시는데 어느 정도 도움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3) 질문자께서의 관찰결과를 바탕으로 한 꽤 전문적인 질문에 감사합니다. 현재 노린재 밀도변동이 연도별로 어떠했었는가는 수확기 종실피해를 보고 어느 정도 판단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방제시점을 결정하기 위해서라도 관심이 되는 콩 생육기에 바로 결정하는 것이 필요할 것입니다. 이러기 위해서는 연도 간에 일관된 방법을 사용하여 조사하여 그것들을 상대적으로 비교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현재 농가수준에서 밀도를 정량적으로 관찰할 수 있는 방법은 직접 육안조사(1미터 단위 몇 마리)를 하거나 페로몬트랩을 이용한 성충밀도 조사가 있겠습니다. 현재 밀도조사방법에 의한 기준과 피해와의 상관관계는 구체적으로 만들어져 있지 않습니다만, 곧 다른 연구자들이 어느 정도의 기준을 제시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따라서 앞으로 그런 기준이 제시되기 전까지는 질문자께서 스스로 일관된 기준을 갖고 밀도조사를 하신다면 경영에 도움이 되실 것으로 생각합니다.

'밭작물재배 > 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콩 재배에 대하여  (0) 2008.01.19
콩이 이상하네요  (0) 2008.01.19
서리태 쭉정이를 줄이는 방법.  (0) 2008.01.19
콩재배기술-김포  (0) 2008.01.13
콩재배기술-횡성  (0) 2008.01.1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