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난화, 기술이 달라져야 한다. | ||||||||||||||||||
초고온과 우기의 지속으로 관행적 방법이 한계에 이르고 있다. 과일이 무르고 저장성이 약화되고 당도가 떨어지는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을 들어본다.(밀양 이세영) | ||||||||||||||||||
단감농사 45년, 재배면적 2만 2천 평의 대면적을 경작하는 이세영님, 이 분야에서 최고수임을 인정받으며 지금에 이르렀지만 근래에 들어서 관행적 기술의 한계를 절감하면서 농업기술의 새로운 전환을 시도하고 있다. 이유는 지구온난화 때문이다. 이제 온난화와 여파가 농업과 직결되는 상황에 직면해 있음을 절감하는 것이다. 온난화로 한국의 기후는 급속히 변하고 있다. 근 50년 사이에 최저기온이 무려 3.8도나 상승했고 40도에 육박하는 초고온기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그리고 장마에 버금가는 우기가 장마 전후에도 지속되는 등 아열대 기후의 특징을 닮아가고 있다. 이런 기후의 변화로 농가들이 공통적으로 겪고 있는 현상 중 가장 심각한 것은 과일의 당도와 향이 떨어지는 것이다. 이는 소비자 구매력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줘 소비의 둔화를, 가격의 급속한 하락을 만들어 내고 있다. 다음은 과일의 저장성이 떨어지고 열과가 많이 생기는 것이다. 저장과일의 경우 그 피해가 심각하다. 그리고 균과 충의 피해가 점차 거세진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이세영님이 선택한 길은 무엇일까? 부분간벌을 통해 충분한 재식거리의 확보한다. 지난해 이세영님은 부산과 위도가 비슷한 일본 지역의 감농가를 견학하였다. 이유는 온난화에 대비하여 우리보다 이미 오래 전부터 고온기, 아열대기후를 겪고 있는 일본농가가 어떻게 감농사를 짓고 있는가를 보기 위해서였다. 한국농가들의 관점으로는 도저히 받아들이기 어려울 정도로 재식거리는 평균 6~7m에 달했고 정정방법도 긴 가지를 쭉 뻗게 하는 방법이 아닌 가급적 가지를 짧게 하고 열매를 다는 방법을 선택하고 있었다. 처음에는 이유를 가늠할 수 없었던 이세영님은 3일째 그런 이유를 깨닫게 되었다고 한다. 다름아닌 햇빛의 비춤과 공기의 흐름을 최대한 살리기 위함이라는 것을 말이다. 나무끼리 서로 스치지 않을 정도로만 전정을 하고 재식거리를 유지하는 방법에서 더 나아가 이들은 더 충분한 간격을 유지하므로 햇빛과 공기에 전혀 방해가 되지 않게 노력하고 있었던 것이다. 이세영님은 온난화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 충분한 재식거리의 확보와 햇빛과 공기를 최대한 고려하는 전정방법으로의 더 적극적인 전환을 시작하고 있다. 만일 이러한 시도를 게을리하면 나무가 충과 균에 더욱 취약해질 것이고 과일의 품질을 더욱 떨어질 것이라고 설명한다.
100% 적과에서 120%로 간다. 이세영님은 이제 100% 적과를 하지 않는다. 대부분 농가들이 한번에 일을 하기 위해 100% 적과에 힘을 쏟는 것과는 아주 대조적이다. 20%정도 여유를 두고 적과를 하는 이유는 이 방법이 과일의 품질과 저장성을 높이는데 큰 기여를 하게 되기 때문이라고 한다. 수확기에 이르기까지 3~4차례 지속적인 적과를 진행하여 목적을 했던 수확량 100%를 맞춰나가는 것이다. 120% 적과를 하면 열매가 대과로만 커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도장을 자연적으로 억제하여 나무의 수세를 안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중간 중간에 발생된 흠과와 열과를 제거하여 최종적으로 100%남은 과일은 상품과로 수확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왜 대과로 커나가는 것을 막아야 될까? 거의 모든 농가들이 과일의 대과형성을 위해 노력하는데 반하여 이세영님은 대과가 안되도록 만드는 반대의 길을 걷고 있지 않은가. 이유는 분명하다. 이제는 대과의 시대가 아니라는 것, 이제는 온난화의 시대라는 것이다. 온난화시대에는 대과로 상품성이 높은 과일을 만들어 내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다고 이세영님은 판단하고 있다. 적당하게 키워야 맛과 향이 높고 저장성, 상품성이 높게 된다는 설명이다. |
'과일나무재배 > 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감나무재배-가지치기 (0) | 2008.02.09 |
---|---|
감나무재배요령 (0) | 2008.02.09 |
감나무 가지치기 방법 소개 (0) | 2008.01.25 |
감재배핵심. (0) | 2008.01.11 |
대봉감 묘목전정 (0) | 2008.0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