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신령버섯의 특징 |
|
신령버섯(Agaricus blazei Murill)은 들버섯속 송이과에 속하는 버섯으로 식용은 물론 면역증강 활성물질이 함유되어 있다고 보고된 바 있다. 분포지역은 미국의 풀로리다와 중남미의 중원지대에 자생되는 버섯으로 알려져 있으며 국내에는 자생되지 않는다. 이 버섯의 분류학적인 형태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 이 버섯은 다른 들버섯속 보다 형태적으로 대가 굵고 길며 포자의 흑변이 늦다. 또한 향이 강하고 줄기의 육질은 감미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 갓 직경은 6∼12cm이며, 초기형태는 종형(鐘形)에서 반원형이 되며 후에 편평하게 된다. 갓의 표면에는 갈색의 작은 인편이 있다. ○ 갓 표면의 색은 발생조건에 따라 달라지는데 백색, 연갈색 또는 갈색을 띈다. ○ 대의 길이는 5∼10cm, 굵기는 8∼15mm로 기부는 굵고 상부는 가늘다. 대의 색은 백색이나 손으로 만지거나 상처가 나면 황갈색으로 변한다. ○ 포자는 타원형으로 5∼6×3㎛이며, 암갈색을 띈다.
|
|
2. 버섯의 생육환경 |
|
|
가. 온도 |
|
|
신령버섯의 균사생장 온도는 15∼40℃이나 최적온도는 25∼30℃이다. 그러나 20℃이하 또는 35℃이상에서는 균사생장이 불량하며 45℃이상에서는 사멸된다.
|
|
|
표 1. 온도에 따른 신령버섯의 균사생장 |
온도(℃) |
15 |
20 |
25 |
30 |
35 |
균사생장(mm/12일)
|
19.2
|
24.0 |
57.0
|
76.5
|
30.5 |
|
|
|
나. 산도 |
|
|
배지의 산도는 균사 생장속도에 영향을 준다. 신령버섯은 pH가 6∼7에서 균사생장이 양호하였으며, 강산성이나 강알카리성에서는 균사생장이 저해되고 균사밀도가 성글어진다.
|
|
|
표 2. pH에따른 신령버섯의 균사생장량 |
pH
|
4 |
5 |
6 |
7 |
8 |
9 |
균사생장량(mg/20일)
|
237.7
|
247.0
|
258.3
|
269.3
|
252.0
|
226.0 |
|
|
|
다. 영양원 |
|
|
영양원에 따른 균사생장의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서 버섯최소배지를 기본배지로 하여 시험한 결과 탄소원으로는 다당류인 dextrine이 가장 좋았고 그 다음 starch, mannose의 순이었다. 그리고 질소원은 threonine이 가장 좋았다.
|
|
|
라. 광 |
|
|
버섯은 종류에 따라 광의 요구도가 다르다. 느타리버섯이나 표고버섯은 자실체 형성시 광이 반드시 필요하지만 균사생장 시에는 억제한다고 한다. 그러나 신령버섯은 광에 의해 균사생장이 촉진되는 특징을 갖고 있다.
|
|
|
표 3. 신령버섯 균사배양시 광조사 효과 |
배양조건
|
균총직경(mm)
|
생장율(%)
|
균사밀도 |
암상태 명상태
|
37.0 62.0
|
59.7 100
|
+++ ++++ |
|
|
|
마. 수분 |
|
|
신령버섯은 퇴비배지를 이용하여 재배되므로 퇴비배지의 수분함량이 균사생장 및 자실체 수량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퇴비배지의 수분함량을 달리하여 균사생장을 조사한 결과 표4에서 보는 바와 같이 69.9%의 배지에서 균사생장이 가장 양호하였다. 그러나 배지의 수분함량이 최적 수분함량보다 낮거나 높으면 균사생장이 저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재배 시에는 퇴비의 수분함량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
|
|
표 4. 배지의 수분함량과 균사생장 비교 |
수분함량(%)
|
균사생장율(%)
|
균사밀도 |
57.5 67.9 74.1 87.8
|
53.0 100 87.0 32.0
|
+++ ++++ ++++ ++ |
|
|
3. 퇴비배지의 제조 |
|
|
가. 기본배지 |
|
|
신령버섯은 볏짚, 밀짚, 그리고 사탕수수박 등 화본과 작물을 주재료로 사용할 수 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구득이 용이한 볏짚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
|
|
나. 첨가재료 |
|
|
|
(1) 무기태급원 |
|
|
|
퇴비제조시에 무기태급원은 요소, 유안, 석회질소 등이 사용되고 있으나 국내 에서는 요소를 권장하고 있다. 유안은 퇴비제조 과정 중에 퇴비내 암모니아 가스가 많이 집적되어 종균재식 후 균사생장에 나쁜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많다. 부득이 유안을 사용할 때에는 탄산석회를 병용해야한다.
|
|
|
|
(2) 유기태급원 |
|
|
|
신령버섯의 유기태급원으로는 계분, 미강, 밀기울 등 농산부산물을 사용할 수 있다.
|
|
|
|
(3) 보조재료 |
|
|
|
퇴비의 과습에 의한 결착 및 물리성을 개선하기 위해 석고가 사용된다. 석고의 시용량은 퇴비의 질적 상태에 따라 1∼3%을 권장한다.
|
|
|
|
(4) 재료배합 |
|
|
|
신령버섯의 퇴비배지를 제조하기 위한 재료배합은 양송이의 배합법을 기본으로 하여 배합량을 약간 변형시켜 배합한다. 기본배합 예는 볏짚 100kg당 계분 10∼15%, 미강 또는 밀기울 5%, 요소 1.2∼2.0% 그리고 석고 1∼3%가 알맞다.
|
|
|
|
표 5. 신령버섯 퇴비재료의 기본배합 예 |
볏짚(kg)
|
계분(%)
|
미강(%)
|
요소(%)
|
석고(%) |
100
|
10∼15
|
5
|
1.2∼2.0
|
1∼3 |
|
|
|
|
신령버섯은 양송이와 달리 전질소 수준이 약간 높은 것이 자실체수량이 증가되는 경향을 나타냈다.
|
|
|
|
표 6. 퇴적기간과 전질소 수준별 수량비교 |
(단위 : kg/3.3㎡) | |
퇴적기간 (일)
|
전질소 수준(%) |
1.0
|
1.5
|
2.0 |
수량
|
개체중
|
수량
|
개체중
|
수량
|
개체중 |
15 20 25
|
12.3 22.1 12.9
|
40.9 36.3 32.1
|
16.5 9.9 18.1
|
32.5 32.9 30.3
|
23.7 12.9 22.5
|
34.9 35.6 42.1 |
|
|
|
|
(5) 퇴비제조 |
|
|
|
신령버섯은 고온성버섯으로 7∼9월 사이에 수확할 수 있도록 퇴적기간을 역산하여 퇴비배지를 제조하는 것이 좋다. 퇴비퇴적시 전질소 수준을 1.8%로 조절하여야 한다. 야외 퇴적기간은 기상조건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일반적으로 20일 내외가 적당한데 이 기간은 퇴비의 발효상태에 따라 다르므로 야외퇴적기간의 적산온도가 900∼1,000℃일 때 마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상 시 퇴비의 수분은 72∼75%가 되도록 조절해야한다. 이외는 양송이 가을재배의 퇴비제조법에 준하여 실시하면 된다.
|
|
|
|
(6) 종균재식 및 균사생장 |
|
|
|
종균재식의 준비과정과 재식방법은 양송이와 동일하게 실시한다. 종균재식량은 퇴비량과 퇴비상태에 따라 달라져야 하나 일반적으로 장려되고 있은 량은 6∼8lbs/3.3㎡을 권장하고 있다. 이보다 종균량을 많이 사용하면 균사활착이 양호하여 균사생장기간을 단축시킬 뿐만 아니라 잡균의 피해율도 줄일 수 있다. 종균재식 후에는 퇴비온도를 25±2℃로 유지해야한다. 특히 종균재식후 6∼7일이 경과하면서부터 퇴비내 균사활착열이 발생되므로 이 시기부터 퇴비내 온도를 철저히 조사해야 하며 온도가 상승하기 시작하면 실내온도를 낮게 유지하여 균사생장 적온을 유지해야 한다. 한편 재배사 습도는 90%내외로 유지해야한다. 이와같이 관리하면 15∼20일이 경과후 퇴비내 균사가 완전히 자라게 된다.
|
|
|
|
(7) 복토, 균상관리 및 수확 |
|
|
|
퇴비 내에 균사가 다 자라면 그 위에 복토를 해야하는데 복토조제 및 산도교정은 양송이의 복토에 준하여 실시한다. 복토방법은 균상표면을 편평하게 고른 다음 이랑형으로 하는데 고랑이 2.5cm, 두둑이 4∼5cm되도록 한 다음 균상표면에 신문지 등을 피복한다. 복토 후에 균사가 복토층으로 빨리 생장하도록 관리해야한다. 복토층으로 균사가 올라오기까지는 퇴비 내 균사생장 시와 같이 온도를 25±2℃로 유지하고 복토층이 건조되지 않도록 피복한 신문지 위에 수시로 관수하면서 실내습도를 90%이상 유지해야한다. 그러나 피복된 신문지위에 물이 고이지 않도록 유의하여야 한다. 복토 후 균사생장기간은 약 7∼10일이 소요된다. 초발이를 유도하기에 알맞은 복토층의 균사량은 복토 재료에따라 차이가 있으나 일반적으로 80∼90%의 균사가 출현 하였을 때 재배사의 환경조건을 변환시켜 버섯발생을 유도한다. 신령버섯은 양송이와 달리 자실체를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재배사의 온도는 균사생장 시와 동일하게 25±2℃ 로 유지하면서 복토표면 위에 관수를 함과 동시에 재배사를 환기한다. 첫 관수 후 13∼15일이 지나면 버섯이 발생하기 시작한다. 버섯의 생육기간 중에는 재배사의 온도를 22∼28℃의 변온을 주고 습도는 90%이상 되도록 관리하여야 고품질 버섯을 수확할 수 있다. 버섯이 생육하는 동안 복토층이 건조되지 않도록 1일 1∼2회 관수를 실시하는데 버섯이 어릴때는 관수량을 적게하고 커짐에 따라 관수량을 많게한다. 관수 후에는 반드시 버섯표면에 묻어 있는 물이 증발 되도록 재배사 환기를 하여 병해의 감염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신령버섯은 복토표면의 수분이 지나치게 과다하면 버섯 발생이 불량하고 품질이 나빠진다. 수확시기는 버섯이 완전히 성숙하여 갓이 개열되기 전 button 상태에서 수확해야만 상품성이 좋다. 신령버섯은 생체 또는 건조하여 유통할 수 있다.
|
|
|
|
|
|
|
|
그림 1. 신령버섯 발생광경
|
|
|
|
건조방법은 천일건조나 열풍건조를 하는데 전자는 외기조건에 따라 품질에 차이가 있으므로 열풍건조를 권장하고 있다. 열풍건조시에는 건조기의 초기 온도를 40∼50℃로 하여 1∼2시간 유지 후 약 1시간에 1∼2℃씩 올려주면서 건조시킨다. 그리고 버섯이 완전히 건조 된 후 60℃에서 약 2시간 동안 최종 건조 후 포장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