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양의 광물입자는 그 굵기에 따라 자갈, 모래, 미사, 점토 등으로 구분된다. 토성이란 직경 2㎜이상인 자갈을 제외하고 모래, 미사, 점토의 상대 구성비율 즉 전체 100% 중에 이들이 각각 몇%나 차지하는가를 구분하고 토성삼각도표에서 보아 그 흙의 토성을 결정하게 된다. 그러나 실제로 모래, 미사, 점토의 함량을 정확하게 구분하는 것은 그렇게 간단하지 않다. 왜냐하면 흙은 유기물 및 여러가지 화학물질 등과 어울려 떼알을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토성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숙련된 기술과 경험이 필요하게 된다. 토성을 분석하는 방법에는 정확한 입경을 구분하기 위한 실험실에서의 기계적 분석법과 야외에서 간단히 쉽게 판별하는 간이법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기계적 분석법은 피펫법과 비중계법을 들 수 있는데 피펫법이 더욱 정확하여 토성분석의 기준이 되나 두 방법 모두 소숫점 이하 단위까지 모래, 미사, 점토함량을 구분해 낼 수 있다. 또한 X - 선이나 광선을 이용하여 일정 용기에서 침강하는 토양입자를 구분해 내는 정밀한 분석기술도 확립되었다. 1. 토성 간이측정법 | |||||||||||||||||
표 1. 토성의 구분 | |||||||||||||||||
| |||||||||||||||||
표 2. 현장에서의 토성 판별 | |||||||||||||||||
| |||||||||||||||||
이들이 경험적으로 구분하는 것을 보면 흙에 물기를 충분히 묻힌 후 흙을 엄지와 인지 사이에 넣고 문질러 보면 점토는 걸리는 감촉이 전혀없이 끈적끈적하고 두손가락을 떼었다 붙였다 할 때 잘 안 떨어지려는 경향이 있어 엿처럼 찐덕찐덕하다. 미사는 활석가루를 문지르는 것처럼 미끈미끈하거나 밀가루처럼 보드랍다. 모래는 눈으로 식별이 가능하고 각 입자가 분리되어 있어 까슬까슬하며 손가락에서 집히는 감각을 느낄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기준으로 얻어진 각각의 비율을 가지고 토성을 판별한다. 그러나 이 방법은 사람에 따라 감각이 각기 다르기 때문에 확실한 표현이 어려우므로 많은 숙련을 필요로 하나 숙달되면 단시간에 많은 양을 구분해 낼 수 있는 아주 편리한 방법인 것이다. 둘째, 토성을 표 1에서 제시하는 것과 같이 사토, 사양토, 양토, 식양토, 식토의 5가지로 간략히 현장에서 구분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크게 어렵지 않기 때문에 비전문가에게 추천할 수 있는 방법이다. 마지막으로 리본을 만들 수 있는 상태에 따라 토성을 결정하는 방법인데 이 방법으로는 양토, 식양토 및 식토를 비교적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다. 조사하고자 하는 흙을 이겨 진득진득 할 때까지 손가락으로 반죽하여 얇고 넙적한 리본 모양을 만든다. 여기서 양토는 흙이 젖었을 때 모양이 잘떨어지며 식양토는 리본이 만들어지나 끊어지기 쉽고 식토는 탄력성이 있는 긴 리본이 만들어지므로 리본의 특징을 잘 보아 토성을 판별해 낼 수 있다. 2. 점토함량 간이측정법 3. 토성과 식물생육 | |||||||||||||||||
표 3. 작물별 알맞은 토성 | |||||||||||||||||
| |||||||||||||||||
토양은 식물의 생육에 알맞은 물리적 조건이 먼저 구비된 후 이에 화학적 또는 미생물학적인 제 2수단이 적절히 가해지므로써 제대로의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에 토양은 식물생육의 기본적인 요소가 된다는 것은 틀림없는 사실이다. 토립이 지나치게 크지도 않고, 너무 미세하지도 않으며, 모래분과 점토분이 적당한 비율로 혼합되어 있고, 이에 어느 정도 유기물이 섞여 있는 양질토양이 식물의 생육에 가장 알맞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식물은 그 종류 및 품종에 따라 사질토양에 적합한 것, 점질토양을 좋아하는 것, 건조한 곳에서 잘 자라는 것, 다습한 곳에서도 견딜 수 있는 것 등 여러 가지가 있으므로 모든식물이 반드시 양질토양이어야 된다는 것은 아니다. 몇 가지 작물의 알맞은 토성을 들어 보면 표 3과 같다. 한편, 작물의 병균과 토성과도 깊은 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벼의 깨씨무늬병은 화강암계 사토 또는 사양토지대에서 발생하기 쉽고, 감자의 더뎅이병은 점질의 식양토보다는 사질토양에서 많이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 뽕나무의 바이러스병도 유기물이 적은 사토나 사양토에서 많이 발생하고, 반대로 부식함량이 많은 사양토, 특히 토층이 깊은 곳에서 발생하는 경우는 드물다. 일반적으로 엉성한 토양에서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는 감자의 더뎅이병, 아마의 잘록병, 고구마의 덩굴쪼김병·목화의 잘록병, 맥류의 잘록병, 밀의 비린깜부기병 등이 있고, 중점토에서는 맥류의 홍색설부병, 대립균핵설부병 등이 많이 발생한다. | |||||||||||||||||
'농사일반 > 토양'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사지 토양의 관개방법 (0) | 2008.02.29 |
---|---|
경사지 토양의 유실방지 대책 (0) | 2008.02.29 |
“토양개량제- 3월15일까지 추가 신청하세요” (0) | 2008.02.03 |
땅심 높이기 -토양검정후 비료줘야... (0) | 2007.12.06 |
시비처방서 활용요령. (0) | 2007.1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