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 품종 및 대목 선택 | |||||||||||||||||||||||||||||||||||||||||||||||||||||||||||||||||||||
o 대목
o 참외주요품종
| |||||||||||||||||||||||||||||||||||||||||||||||||||||||||||||||||||||
나. 육 묘 | |||||||||||||||||||||||||||||||||||||||||||||||||||||||||||||||||||||
o 육묘 크기
o 육묘 기간 - 재배시기와 보온방법에 따라 다름 . 겨울철 파종시 45~50일(비닐개별포트), 35~40일(32구 트레이) 육묘 . 잎이 두텁고 농록색이면서 배축이 굵으며 절간장이 적당하고 뿌리가 잘 발달한 병충해 피해가 없는 묘를 기른다 o 상 토 . 밭의 심토나 논흙 또는 산흙 : 완숙퇴비 = 1 : 1의 용적 비 율로 한 겹씩 쌓는다 . 비료 1㎥당 질소 100g, 인산 1,000g, 가리 200g, 고토석회 200g 성분으로 골고루 섞어 사용하기까지 2~3회 뒤집는다 o 전열육묘상 설치 . 사용전 온도감지부분에 더운물과 온도계를 넣어 점검한다 ![]() | |||||||||||||||||||||||||||||||||||||||||||||||||||||||||||||||||||||
다. 접 목 | |||||||||||||||||||||||||||||||||||||||||||||||||||||||||||||||||||||
o 호접법 - 대목의 생장점을 제거 - 배축의 상단에서 1/3지점(1cm)을 위에서 밑으로 비스듬히(45 도 각도) 자르되 깊이는 1/2정도 자른다 - 접수는 반대로 밑에서 위로 배축의 2/3깊이까지 올려 잘라 서로 맞 끼운 다음 클립으로 고정시킨다. o 편엽절단 합접법 - 대목의 떡잎 한장과 함께 본엽 부분을 포함하여 45도 각도로 자른다 - 접수는 중간부분을 45° 각도로 완전히 자른 후 접목용 집게를 이용하여 자른 부분을 맞대어 고정시킨다. (1) 접목시기 : 대목은 떡잎 전개시, 접수는 제1본엽 전개시 (2) 접목활착 조건 : 온도 28℃전후, 습도 90~95% - 접목 당일부터 2~3일간 속 비닐 깔아 밀폐 - 더울 때 겉비닐 덮지 않고 차광 - 접목 4일째 속비닐 벗기고 접목활착 및 뿌리발근 양호하면 겉비닐로 밀폐하고 적당한 차광으로 온도 조절 - 묘 상태에 따라 야간에는 겉비닐과 차광 제거해도 좋음 - 접목 5일째 겉비닐 벗기고 적당히 차광 ※ 모종이 시들지 않도록 주의 - 6일째부터 충분한 빛을 쪼여줌 - 한낮 2시간정도 차광 - 활착 완료되면 최대한 빛을 쪼여주고 물관리 유의 | |||||||||||||||||||||||||||||||||||||||||||||||||||||||||||||||||||||
라. 높은 이랑 만들기 | |||||||||||||||||||||||||||||||||||||||||||||||||||||||||||||||||||||
이랑만들기 전에 하우스 바깥 흙을 관리기 등을 사용, 하우스 안으로 모아 넣어서 이랑이 높도록 만든다![]() | |||||||||||||||||||||||||||||||||||||||||||||||||||||||||||||||||||||
마. 정 식 | |||||||||||||||||||||||||||||||||||||||||||||||||||||||||||||||||||||
ㅇ 정식시기 - 파종후 40~45일 정도 경과된 모종 - 본엽이 4~5매시 2~3엽 남기고 적심하여 아들덩굴이 2~3cm 정도 나왔을 때이다. ㅇ 정식 후 : 찬물 관수 지양하고 지하수 이용관수 ㅇ 재식거리 : 작형, 정지법, 주당 수확 목표과수, 재배방식에 따 라 달라지나, 지나친 밀식은 품질의 저하를 초래하게 된다. ㅇ 정식 깊이 : 지면보다 폿트 흙이 2cm정도 높게 정식 ㅇ 정식시 유의사항 - 맑은 날 정식한다. - 정식 시 깊이는 가능하면 얕게 심는다. - 활착 촉진을 위하여 포기 주면에 관주한다. | |||||||||||||||||||||||||||||||||||||||||||||||||||||||||||||||||||||
바. 거름주기 | |||||||||||||||||||||||||||||||||||||||||||||||||||||||||||||||||||||
ㅇ 시설참외 표준시비량
ㅇ 양분별 일반적 기능 <질소(N)> - 뿌리의 활력에 대한 여러 가지 기능의 활성화 - 식물체내에서 생장을 촉진시키는 호르몬인 지베fp린산의 생합 성이 촉진 - 결핍시 생장이 나빠짐, 심하면 노엽 등에서 황백화, 괴사증상 <인산(P)> - 식물의 생체막, 각종 에너지, 핵산 등을 구성 - 광합성시 광인산화반응과 전자 전달 반응에 관여 - 결핍시 뿌리 생육 불량, 곡식의 경우 분얼이 안됨 신초발육과 화아가 불량 <칼륨(K)> - 분열조직의 생성 - 식물체내 수분상태를 조절 - 각종 동화산물을 만들고 과일로 동화양분을 보내게 되는 첫 걸음을 수행 - 결핍시 세포의 팽압이 저하, 수분부족으로 잎이 축 늘어지게 되며 가뭄, 고온에 대한 저항성이 약하게 된다. <칼슘(Ca)> - 식물세포의 신장과 분열에 필요하고 세포막 구성하며 세포내 물질 보존 - 결핍시 분열조직의 생장이 감소, 잎 주위가 백화, 고사 심하면 세포벽이 용해, 연해지고 세포의 공간과 유조직에는 갈색물질이 생긴후 집적되며 전류물질의 수송에 영향을 끼침 수박의 경우 과실 끝부분 세포질이 파괴되어 화단부패가 생기 는 증상 (배꼽썩음병)이 발생 <고토(Mg)> - 광합성작용과 에너지를 만드는 인산화과정을 활성화시키는데 관여하는 효소작용을 돕는다. - 결핍시 잎맥사이가 황변되고 심하면 괴사 수분함량이 부족할시 위조현상도 나타내게 된다. <철(Fe)> - 식물체내에서 전자전달, 엽록소형성 등의 기능을 한다. - 결핍시 광합성작용도 영향을 받게 되나 일반적으로 토양의 산 도가 높지 않을 경우 요구량이 적으므로 부족 증상은 잘 나타 나지 않는 편이다. <붕소(B)> - 세포벽 형성, 옥신대사, 리그닌생합성, 발아, 화분생장 및 조직 의 발달에 필수적 - 당의 이동성을 좋게 하고 곡류의 경우 전분 대사 촉진 - 결핍시 열과와 같은 형태로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 토마토, 오이, 멜론, 수박 등에 있어 잎의 적정 양분농도
| |||||||||||||||||||||||||||||||||||||||||||||||||||||||||||||||||||||
사. 적정 착과 및 적과 | |||||||||||||||||||||||||||||||||||||||||||||||||||||||||||||||||||||
- 수정시기 : 개화 1일전 ~ 개화후 2일 개화 3~5일전의 꽃에 수정하면 배꼽이 커지고 과육이 두꺼워져 성숙이 지연되고, 색택이 나쁠 뿐만 아니라, 발효과 발생이 증가 - 착과 : 11월~2월에 착과시 - 주당 2~3개 3월 착과시 - 3~4개 4월에 착과시 - 4~5개 정도 ※ 2m의 이랑 폭, 재식거리 30cm일 경우 | |||||||||||||||||||||||||||||||||||||||||||||||||||||||||||||||||||||
아. 온도, 수분, 햇빛 관리 | |||||||||||||||||||||||||||||||||||||||||||||||||||||||||||||||||||||
ㅇ 온도관리 기준
ㅇ 수분관리 - 정식기 ~ 활착기 : 충분히 - 덩굴이 20~25cm정도 신장할 기간에 목표절위의 암꽃분화 시기이므로 활착후 에는 되도록 관수를 줄인다 - 착과기(수정기) : 양분흡수를 충분히 하고, 암꽃발육을 촉진하기 위 하여 보통의 수분공급과 공중습도 유지 - 과비대기 : 양분흡수를 최대화하기 위하여 관수를 늘린다 - 쑥색기(착과 후 약 20일)이후 : 소량다회로 관수 - 성숙기 : 점차 줄여서 수확기에는 잎이 시들지 않토록만 수분공급을 한다. - 1차 수확이 완료 후 : 충분한 수분 공급 후 추비시용 ㅇ 햇빛 관리 - 햇볕을 최대한 많이 받을 수 있도록 무적 처리가 잘된 PVC, EVA, 삼중보온 비닐 등 사용 |
'텃밭채소가꾸기 > 수박.참외.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설수박 피수박(육질악변과)발생원인 및 대책 (0) | 2008.03.26 |
---|---|
고품질 멜론 생산을 위한 새 기술 (0) | 2008.03.03 |
수박 접목하기 (0) | 2008.02.12 |
시설 참외-비료 적정량 쓰면 생산량 더 는다 (0) | 2008.02.03 |
노지수박 병해충 방제대책 (0) | 2008.0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