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마늘에 발생하는 병해로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주로 큰 피해를 주는 것은 잎마름병, 흑색썩음균핵병, 바이러스병 등이다.

  잎마름병이나 바이러스병은 전국적으로 발생하여 큰 피해를 주고 있으며 특히 생육 후기에 발생하는 잎마름병(엽고병)은 전포장을 까맣게 고사시킬 수 있는 무서운 병으로 알려져 있다.


1. 잎마름병(葉枯病)

  ○ 4~5월부터 나타나기 시작하며 일반적으로 습한 조건에서 많이 발생하므로 배수에 유의하고, 살균제를 살포하여 병이 번지는 것을 막아야 한다.

  ○ 잎마름병이 심하면 광합성의 저하는 물론 수확말기까지 계속 번지게 되어 저장중의 마늘쪽에서 감염되어 썩게 되므로 포장에서의 방제가 매우 중요한 병이다.

  ○ 강우가 많고 온도가 높은 해에 발생이 많으며, 질소질 비료의 과용으로 식물체가 도장하거나 질소비료가 부족하여 식물체가 연약하면 병 발생이 많아진다.

  ○ 연작하는 포장에서 병 발생이 증가한다. 토양산도는 5.5~6.0정도가 적당하며, 배수가 양호하고 부식 퇴비가 충분한 포장에서 병의 피해가 적다.

  ○ 균형시비를 하여 식물체가 강건하게 자라도록 한다.

    - 밀식을 피하고 통풍이 잘되도록 한다.

    - 물빠짐을 좋게 하고 부식퇴비를 충분히 시용한다. 건전종구를 사용한다.

    - 약제를 사용할 때는 약액이 충분히 묻도록 살포하며, 등록약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마늘 잎마름병 등록 약제】

품목명(상표명)

물 20ℓ당 사용량

사용법 및 특기사항

프로피수화제

(안트라콜)

50g(400배)

5월초부터 10일 간격

수확7일 전까지 사용

쿠퍼수화제(코사이드)

40g(500배)

발병초기부터 10일 간격 사용

타로만수화제(아라리)

20g(1000배)

수확 7일전까지 5회이내 사용

디치돈수화제

(델란케이)

40g(500배)

발병초기부터 10일 간격

수확 14일전까지 4회이내 사용

타로닐수화제

(다코닐, 금비라)

33g(600배)

발병초기부터 10일 간격

수확 7일 전까지 6회이내 사용

베노람수화제

(종구소독)

(벤레이트티, 큰나락)

파종전침지(40g)

처리 종구 20ℓ당 희석액

20ℓ, 1시간 침지후

그늘에 말려 당일파종

 파종전 분의 종구 1㎏당 약제 4g 사용. 건조한 종구에 약액이 충분히 묻도록 한 다음 파종


2. 흑색썩음균핵병(黑腐菌核病)

 가. 발생원인 및 병징

  ○ 마늘․양파․파․부추와 같은 백합과 채소의 뿌리․비닐줄기․잎에 발생

  ○ 병원균의 생육적온은 5~20℃인 저온성 균인데, 병든 잎은 아래 쪽부터 누렇게 되면서 심하면 포기 전체가 갈색으로 변해 말라 죽는다.


균  핵

전염(균핵발아)

병 진전

(2~3월)

병 정지

(5월)

여름나기

 

병든포기 ․ 포장

 

저온기

 

온도상승


 나. 방제법

  ○ 백합과 이외의 작물로 돌려짓기를 하고, 깊이갈이를 하며, 병이 발생된 포장에서 사용한 농기계는 깨끗이 닦은 후 다른 포장에서 사용한다.

  ○ 병든 포기는 일찍 뽑아서 불에 태워 다음 해의 전염원을 줄이며, 뿌리응애를 철저히 방제하고, 발생이 심할 경우는 논재배를 한다.

  ○ 씨마늘 소독:씨마늘 1㎏당 20㎖의 물로 촉촉이 적신 후 베노람(벤레이트티) 수화제 20g을 골고루 묻혀 그늘에서 말린 후 파

  ○ 파종 4주전에 디조메(밧사미드) 입제 3㎏/10a로 토양소독

  ○ 마늘 파종 후 흙덮기 전, 후에 호리큐어 500배액(100ℓ/10a)을 마늘 파종구에 분무처리한다.(병원균 침입후 생육기 약제처리는 효과가 낮음)


【마늘종구 약제처리에 의한 흑색썩음균핵병의 방제효과】

처 리 방 법

사 용 농 도

이병주율(%)

방제가(%)

 베노람수화제 습분의

20g/종구 ㎏

6.3

85.8

     〃      습분의

10g/종구 ㎏

11.0

75.2

     〃      분  의

 4g/종구 ㎏

17.0

61.6

     〃      침  지

500배 1시간

32.3

27.1

무처리

-

44.3

-


3. 잎집썩음병(춘부병)

 가. 발생현황

  ○ 3~4월 10℃전후의 다습환경에서 발생하기 시작하여 수확기까지 계속 발병하나 봄에 많이 발생하므로 외국에서는 춘부병 이라는 이름으로 불리기도 한다.

 ○ 생육 중기에 마늘의 잎집이 담갈색으로 변해 썩어 들어가고 진전되면 줄기 전부와 구까지도 부패한다. 지상부는 하엽부터 황화 되기 시작하고 심한주는 주전체가 부패고사한다. 초기에는 잎에 엽맥을 따라 담갈색 줄무늬 모양으로 길게 변색되기도 한다.

 ○ 수확 후 이병주는 제거 소각하고 생육기중 발병주는 발견즉시 제거한다.

 ○ 배수가 잘되도록 하고 시설재배는 과습이 되지 않도록 주의한다.

 ○ 등록된 농약이 없으므로 항생제를 관주 또는 살포할 때는 약해에 주의해야 한다.


4. 바이러스병

 ○ 수천년동안 영양번식에 의하여 내려온 마늘은 모든 식물체가 바이러스병에 걸려있을 정도로 매우 심각하다.

 ○ 황록색 모자이크 증상이 잎 전면에 나타나며, 증상이 심하지 않을 경우에는 외관상 구분이 매우 어렵다.

 ○ 바이러스병이 심한 경우는 생육이 불량하여 위축되고 기형으로 변한다

 ○ 방제법

   (1) 매개충을 철저히 구제한다.

   (2) 파종시 가급적 인편이 큰 우량종구를 사용한다.

   (3) 조직배양묘를 사용하면 효과적이다.

   (4) 주아재배를 한다.


5. 고자리 파리

 가. 가해작물:마늘, 양파, 쪽파, 대파, 부추 등 백합과 작물

 나. 피  해

  ○ 지하부의 비늘줄기를 가해하며 심할때는 줄기 속까지 가해한다. 피해는 밑잎부터 노랗게 변색되고 포기를 뽑아보면 뿌리 및 구의 밑둥이 썩어 쉽게 뽑아진다.

  ○ 피해부위에는 벌레(구더기)가 많이 관찰되고, 피해가 심하면 구전체가 말라죽는다.

 다. 발생상태

  ○ 연 3회 발생하며, 남부지방(진주)의 발생 최성기는 4월중순, 6월상순, 9월하순~10월상순 인데, 중부지방에서는 이보다 1주일정도 늦다.

 라. 방제법

  (1) 파종전 발생최성기 이전일 경우 토양살충제를 뿌린 후 흙과 잘 섞어준다.

  (2) 이른봄 어른벌레가 발생하기 전 침투성 입제를 살포한다.

  (3) 방제약제

    ○ 다수진, 그로포, 카보, 다이포, 프리미, 복심, 그로빈 등

      - 분제나 입제는 10a당 4~6㎏, 유제는 1000배로 물에 타서 10a당 100~200ℓ를 뿌린다.


6. 뿌리응애

 가. 가해작물마늘, 쪽파, 백합, 글라디올러스 등 14과 28종의 작

 나. 피  해

  ○ 마늘 종구나 연작지 토양에 생존해 있다가 종구의 상해나 병해충의 피해부위에 모여들어 급격히 증식, 인경을 썩게 만든다.

  ○ 미숙퇴비를 많이 사용한 토양이나, 사질토양에서 피해가 크며, 피해 증상은 고자리 파리의 피해증상과 유사하다.

  ○ 뿌리응애는 각종 병원균을 옮기는 매개충 역할도 하며, 병과 복합 감염 되었을 때 더욱 피해가 크다.

 다. 방제법

  (1) 건전한 종구를 선택한다.

  (2) 미숙퇴구비를 사용하지 않는다.

  (3) 수확후 건조를 잘 시키고 상처를 입지 않도록 한다.

  (4) 종구소독을 한다.(디메토유제 1000배액 30분 침지)

  (5) 토양 소독―디설폰입제 살포후 종구파종

  (6) 생육기 방제―디메토유제 1000배액을 10a당 1000ℓ기준으로 마늘 땅가부분관주, 카보입제는 전면처리한 후 표면을 긁어 주거나 관주 처리하여 약액이 침투 할 수 있도록 하여준다.


7. 선충

 ○ 뿌리, 줄기, 잎과 저장중인 마늘쪽에도 기생하고 있다.

 ○ 마늘에 선충이 감염되면 뿌리부분을 가해가게 되어 양분의 흡수가 불량해지고 잎이 누렇게 변하며 심하면 말라죽게 된다.

 ○ 파종전에 토양 살충제를 뿌리고 씨마늘 소독을 철저히 한다.


8. 생리장해 및 방지대책

 가. 2차 생장(벌마늘)

  <발생원인>

   ① 파종기가 너무 빠를 때,

   ② 질소질 비료를 너무 많이 주거나 웃거름을 늦게까지 줄 때,

   ③ 겨울이 너무 따뜻하여 웃자랄 때,

   ④ 4~5월에 가물다가 비가 와서 갑자기 자랄 때,

   ⑤ 너무 큰 마늘쪽을 파종했을 경우,

   ⑥ 씨마늘에 지나친 저온처리를 했을 때,

  <대책>

   ① 재배 작형별, 품종별 적기에 파종하고

   ② 모래땅에는 가급적 재배를 하지 않으며

   ③ 질소질 거름을 알맞게 주고 웃거름을 제때에 준다

   ④ 씨마늘은 한쪽의 무게가 5.1~7.5g 사이를 사용하고

   ⑤ 포장이 과습하거나 건조하지 않게 물대기와 물빼기에 주의하며

   ⑥ 잎 1/2~2/3정도 누렇게 변했을 때 적기에 수확한다.

 나. 잎끝마름증상

   ○ 잎끝이 마르는 것은 땅이 지나치게 건조하거나 과습하여 칼리, 칼슘, 마그네슘 등이 뿌리로부터 흡수장해를 받아 생기는 현

   ○ 토양습도 유지와 석회, 칼리비료, 완전히 썩은 퇴비를 충분히 준다.

 다. 잎유합현상(원통형)

   ○ 마늘을 심은 후 처음 4~6잎은 정상적으로 생육하나 위의 잎은 양파 잎 모양으로 둥글게 되며 속잎이 밖으로 나오지 못한다.

  ○ 이 마늘은 정상적인 수확이 가능하므로 겉잎을 찢어주어 속잎이 밖으로 나올 수 있도록 해주면 마늘통이 크는데 유리하다.

라. 염류장해

 ○ 잎과 줄기가 꼬부라진 채 얇은 피막으로 싸여져 속잎이 잘 벌어지지 못하고 줄기의 내부가 쭈글쭈글한 증상으로 나타난다.

 ○ 염류장해가 발생하는 포장에서는 비료를 한번에 많이 주지말고 가급적 2~3회에 걸쳐 나누어주는 것이 좋으며, 심한 곳에서는 물을 대어 염농도를 낮추어 주어야 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