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품질 마늘재배기술


1. 환경조건이 마늘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가. 온도조건

  ○ 뿌리가 내리는 적당한 땅속 온도는 15℃전후이고, 싹이 트는데 알맞은 기온은 18~20℃이다.

  ○ 일반적으로 땅속온도 22℃, 기온 25℃까지는 싹트는 상태가 순조로우나 그 이상일 때에는 균일하지 않고, 그보다 낮은 온도에서는 싹이 나오는데 시일이 오래 걸린다.

  ○ 마늘의 인편분화는 일정한 저온 기간을 거쳐야 이루어지는데 적당한 저온은 5℃ 내외이고, 15℃이상에서는 분화되지 않는다.

  ○ 봄이 되어 평균기온이 10℃이상으로 상승하면 생장점에서 화서(쫑)가 분화하고 그 위에서 인편이 분화되면, 그후 평균기온이 15℃이상으로 되면 인편의 비대가 급속히 진행된다.

  ○ 마늘 생육 및 구비대 적온은 18~20℃이며, 25℃이상에서는 생육이 거의 정지되고 줄기와 잎이 마르며 10℃이하에서는 생육속도가 늦다.

  ○ 뿌리는 1℃ 내외에서도 자라므로 파종후 월동기간중에 줄기와 잎은 제대로 생육을 못하지만 뿌리가 발육할 수 있도록 토양 수분관리에 유의한다.

  ○ 뿌리의 생육이 좋으면 월동기간중 한해에 잘 견디고 월동후에도 생육이 빠르며 수량성도 높아진다.

나. 낮길이(일장)

 ○ 일장은 마늘의 구형성 및 비대에 크게 영향을 미치며 낮 길이가 긴 장일(長日)조건에서 뿌리의 증가가 왕성하고 줄기와 잎의 발육도 잘되며 구비대도 촉진된다.

 ○ 마늘 생육기에 낮 길이가 짧으면 구비대가 억제되고 잎이 계속 분화하여 2차생장(벌마늘)이 증가된다.

 ○ 낮 길이가 길어도 흐린날이 많으면 엽면적의 증가가 적어지며 구비대도 나쁘다.

 ○ 마늘의 구비대 요인중에서 낮은 온도와 낮의 길이와는 서로 보조적인 관계가 있고 저온조건이 불충분하더라도 낮길이가 충분하게 길면 구가 형성된다. 반대로 충분한 저온조건이 주어지면 낮길이가 짧아도 구가 형성된다.

다. 토양

 ○ 갈이흙이 깊고, 물빠짐과 물지님성이 좋은 점질땅에 비해 자람은 빠르나 껍질이 얇고 잘 벗겨지며, 마늘통이 충실하지 못하여 저장성이 약하다.

 ○ 조기 출하를 목적으로 할때는 짧은 일장에서 단기간에 구를 비대시켜야 하므로 지온의 상승이 빠른 사양토에서 재배하는 것이 유리하다.

 ○ 마늘은 물기가 적은 땅에도 비교적 강하나 지나치게 건조하면 양분․수분을 제대로 흡수하지 못해 생리장해가 일어나 통이 제대로 크지 못한다.

 ○ 지하수위가 높으면 구 성숙기 및 수확기에 물빠짐이 좋지 않아 뿌리가 제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므로 생육이 나쁘고, 수량이 낮아질 뿐아니라 수확후 썩는 마늘도 많아지므로 지하수위가 적어도 50㎝는 되어야 한다.

 ○ 토양산도(pH)는 5.5~6.0이 알맞으며 5.5이하의 산성 땅에서는 생육 및 구비대가 매우 불량하므로 파종전에 토양산도를 중성에 가깝도록 조성해 주어야 한다.

2. 작형 및 품종

 ○ 우리나라의 마늘재배는 지역에 따라 알맞은 품종이 선발되어 왔으나, 이듬해 봄까지 저장이 가능하여 작형의 분화는 다양하게 이루어지지 않았다.

 ○ 그러나 최근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4~5월의 단경기에 출하할 수 있는 조숙재배와 잎마늘 재배가 제주도 및 남부해안지방에서 확대되고 있다.

3. 씨마늘 갈무리와 고르기

 ○ 바이러스 감염이 적은 씨마늘 선발(조직배양, 주아재배 등)

 ○ 씨마늘은 직사광선을 피할 수 있고, 온․습도는 가능한 낮추어 주고 환기가 잘되는 조건에서 갈무리한다.

   - 저온저장고에 입고되었던 마늘은 벌마늘이 심하게 발생

 ○ 통이 크고 쪽이 큰 것(마늘쪽 5~7.5g 정도가 적당)

 ○ 상처 있거나 병해충 피해 받은 것, 발근부 불량한 것 골라내기

4. 씨마늘 소독

 ○ 베노람 500배액+디메토․스타렉스 1,000배액에 1시간 침지 후 음건

 ○ 흑색썩음균핵병 발생지역에서는 스타렉스 1000배액에 1시간 이상 담갔다가 음건 중 베노람 수화제를 종자 1㎏ 당 20g 습분의 처리(종구량의 1~2%)

5. 파  종

 가. 밭 만들기

  ○ 마늘 뿌리는 곧게 자라므로 깊게 갈아주어야 한다.

  ○ 파종 1~2주일 전에 퇴비와 석회를 뿌린 다음 깊이갈이(15㎝)

  ○ 파종 1~2일 전에 화학비료와 토양살충제를 뿌리고 땅 고르기

  ○ 큰 흙덩이가 없도록 하고, 배수가 나쁜 땅은 배수로 설치

 나. 심는 시기

  ○ 9중~10상 파종

    ※ 남도마늘, 대서마늘을 제주 및 남해안에서 비닐을 덮어 재배할 때는 가급적 10월 상순에 파종한다.

 다. 심는 거리

  ○ 보통 ․ 조기재배:20×10㎝(37,500~41,700주/10a)

  ○ 심을 때는 뿌리가 나올 부분을 똑바로 깊게 심는다.


6. 거름주기

 가. 거름주는 양(㎏/10a)


 

총 량

밑 거 름

웃 거 름

제 주

기타 지역

제 주

기타 지역

퇴    비

2,000

2,000

2,000

-

-

석    회

100~150

100~150

100~150

-

-

요    소

54

20

20

34

34

용인․용과린․과석

45

45

45

-

-

황산가리

(염화가리)

27

(21)

14

(11)

10

(7)

13

(10)

17

(14)


  ○ 난지형마늘을 비닐 덮어 재배할 때는 전량 밑거름으로 준다.

  ○ 밑거름을 복합비료(9-18-7)로 줄 때는 부족량은 단비로 보충

  ○ 황산가리와 염화가리 중에서 택일하여 주되 황산가리에는 유황성분이 들어 있어 매운 맛을 증가시킨다.

   ※ 비닐을 덮지 않을 때 제주 웃거름 주는 시기의 ( )내는 잎마늘 재배 시기임

  ○ 웃거름 주는 시기는 난지형은 3월하순, 한지형은 4월하순까지 끝내야 한다.

   ※ 적기보다 늦게 주고 질소질을 많이 주면 벌마늘(2차생장) 다발생

  ○ 인산질은 토양중 인산함량에 따라서 시비량을 증감함(토양 중 적정 인산함량 384ppm)

  ○ 난지형 마늘을 비닐을 덮어 재배할 때 전량 밑거름으로 주었을 경우 3월 하순경 질소 부족현상이 나타날 때는 요소 0.2%액을 5~7일 간격으로 2~3회 잎에 뿌려주거나 비오기 직전에 비닐 위에 10a 당 요소 4~5㎏정도 뿌려준다.

 나. 농촌진흥청 추천 시비량

  ○ 농촌진흥청에서 추천하는 시비량은 10a당 N 25, P 7.7, K 12.8㎏

  ○ 농촌진흥청에서 토양검정 결과 전국 평균치를 기준으로한 시비 추천량을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비료 종류로 계산해 놓은 량은 다음 표와 같다.

7. 물주기 및 물빼기

  ○ 마늘 파종기인 가을에는 상습적으로 비가 적어 토양수분이 부족하므로 가뭄 포장은 반드시 물을 주어 발아율 향상

  ○ 파종후 사전에 물뺄도랑을 설치하여 습해를 방지한다.

  ○ 통이 자랄 때인 4~5월에 가뭄시는 반드시 물을 준다.

【구비대기 관수효과】

구  분

4월만물준곳

4,5월만 물준곳

4~6월 물준곳

물안준곳

수량지수

134

202

222

100


 ○ 남부에서 겨울철 가뭄시는 물을 주어 서릿발 피해를 방지한다.


8. 마늘쫑(주아) 뽑기

 ○ 마늘쫑은 나오는 즉시 뽑아주되 1회에 전부 제거하려고 하면 늦어지게 되므로 2~3회에 걸쳐 뽑아준다.

 ○ 마늘쫑(주아) 뽑는 시기가 늦어 잎줄기가 넘어질 우려가 있을 때에는 주아만 잘라준다.

9. 잡초방제

  제초제 사용할 때 반드시 유의사항을 준수해야 하며, 제초제 사용후 비닐을 덮을 때는 반드시 3~4일 지난 후에 비닐을 덮어야 한다.

10. 병해충의 발생생태와 방제

 ○ 우리나라 마늘에 발생하는 병해로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주로 큰 피해를 주는 것은 잎마름병, 흑색썩음균핵병, 바이러스병 등이다.

 ○ 잎마름병이나 바이러스병은 전국적으로 발생하여 큰 피해를 주고 있으며 특히 생육 후기에 발생하는 잎마름병(엽고병)은 전포장을 까맣게 고사시킬 수 있는 무서운 병으로 알려져 있다.

 가. 잎마름병(葉枯病)

  ○ 4~5월부터 나타나기 시작하며 일반적으로 습한 조건에서 많이 발생하므로 배수에 유의하고, 살균제를 살포하여 병이 번지는 것을 막아야 한다.

  ○ 잎마름병이 심하면 광합성의 저하는 물론 수확말기까지 계속 번지게 되어 저장중의 마늘쪽에서 감염되어 썩게 되므로 포장에서의 방제가 매우 중요한 병이다.

  ○ 강우가 많고 온도가 높은 해에 발생이 많으며, 질소질 비료의 과용으로 식물체가 도장하거나 질소비료가 부족하여 식물체가 연약하면 병 발생이 많아진다.

  ○ 연작하는 포장에서 병 발생이 증가한다. 토양산도는 5.5~6.0정도가 적당하며, 배수가 양호하고 부식 퇴비가 충분한 포장에서 병의 피해가 적다.

  ○ 균형시비를 하여 식물체가 강건하게 자라도록 한다.

    - 밀식을 피하고 통풍이 잘되도록 한다.

    - 물빠짐을 좋게 하고 부식퇴비를 충분히 시용한다.

    - 건전종구를 사용한다.

    - 약제를 사용할 때는 약액이 충분히 묻도록 살포하며, 등록약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나. 흑색썩음균핵병(黑腐菌核病)

 1) 발생원인 및 병징

  ○ 마늘 ․ 양파 ․ 파 ․ 부추와 같은 백합과 채소의 뿌리․비닐줄기․잎에 발생

  ○ 병원균의 생육적온은 5~20℃인 저온성 균인데, 병든 잎은 아래 쪽부터 누렇게 되면서 심하면 포기 전체가 갈색으로 변해 말라 죽는다.


균  핵

전염(균핵발아)

병 진전

(2~3월)

병 정지

(5월)

여름나기

 

병든포기․포장

 

저온기

 

온도상승


 2) 방제법

  ○ 백합과 이외의 작물로 돌려짓기를 하고, 깊이갈이를 하며, 병이 발생된 포장에서 사용한 농기계는 깨끗이 닦은 후 다른 포장에서 사용한다.

  ○ 병든 포기는 일찍 뽑아서 불에 태워 다음 해의 전염원을 줄이며, 뿌리응애를 철저히 방제하고, 발생이 심할 경우는 논재배를 한다.

  ○ 씨마늘 소독:씨마늘 1㎏당 20㎖의 물로 촉촉이 적신 후 베노람(벤레이트티) 수화제 20g을 골고루 묻혀 그늘에서 말린후 파종

  ○ 파종 4주전에 디조메(밧사미드) 입제 3㎏/10a로 토양소독

  ○ 마늘 파종 후 흙덮기 전, 후에 호리큐어 500배액(100ℓ/10a)을 마늘 파종구에 분무처리 한다.(병원균 침입후 생육기 약제처리는 효과가 낮음)

다. 잎집썩음병(춘부병)

 1) 발생현황

  ○ 3~4월 10℃전후의 다습환경에서 발생하기 시작하여 수확기까지 계속 발병하나 봄에 많이 발생하므로 외국에서는 춘부병 이라는 이름으로 불리기도 한다.

  ○ 생육 중기에 마늘의 잎집이 담갈색으로 변해 썩어 들어가고 진전되면 줄기 전부와 구까지도 부패한다. 지상부는 하엽부터 황화 되기 시작하고 심한주는 주전체가 부패고사 한다. 초기에는 잎에 엽맥을 따라 담갈색 줄무늬 모양으로 길게 변색되기도 한다.

 ○ 수확 후 이병주는 제거 소각하고 생육기중 발병주는 발견즉시 제거한다.

 ○ 배수가 잘되도록 하고 시설재배는 과습이 되지 않도록 주의한다.

 ○ 등록된 농약이 없으므로 항생제를 관주 또는 살포할 때는 약해에 주의해야 한다.

라. 바이러스병

 ○ 수천년동안 영양번식에 의하여 내려온 마늘은 모든 식물체가 바이러스병에 걸려있을 정도로 매우 심각하다.

 ○ 황록색 모자이크 증상이 잎 전면에 나타나며, 증상이 심하지 않을 경우에는 외관상 구분이 매우 어렵다.

 ○ 바이러스병이 심한 경우는 생육이 불량하여 위축되고 기형으로 변한다.

 ○ 방제법

   ⑴ 매개충을 철저히 구제한다.

   ⑵ 파종시 가급적 인편이 큰 우량종구를 사용한다.

   ⑶ 조직배양묘를 사용하면 효과적이다.

   ⑷ 주아재배를 한다.

마. 고자리 파리

 1) 가해작물:마늘, 양파, 쪽파, 대파, 부추 등 백합과 작물

 2) 피  해

  ○ 지하부의 비늘줄기를 가해하며 심할때는 줄기 속까지 가해한다. 피해는 밑잎부터 노랗게 변색되고 포기를 뽑아보면 뿌리 및 구의 밑둥이 썩어 쉽게 뽑아진다.

  ○ 피해부위에는 벌레(구더기)가 많이 관찰되고, 피해가 심하면 구전체가 말라죽는다.

 3) 발생상태

  ○ 연 3회 발생하며, 남부지방(진주)의 발생 최성기는 4월중순, 6월상순, 9월하순~10월상순 인데, 중부지방에서는 이보다 1주일정도 늦다.

 4) 방제법

  ⑴ 파종전 발생최성기 이전일 경우 토양살충제를 뿌린 후 흙과 잘 섞어준다.

  ⑵ 이른봄 어른벌레가 발생하기 전 침투성 입제를 살포한다.

  ⑶ 방제약제:다수진, 그로포, 카보, 다이포, 프리미, 복심, 그로빈 등 분제나 입제는 10a당 4~6㎏, 유제는 1000배로 물에 타서 10a당 100~200ℓ를 뿌린다.

바. 뿌리응애

 1) 가해작물:마늘, 쪽파, 백합, 글라디올러스 등 14과 28종의 작물

 2) 피  해

  ○ 마늘 종구나 연작지 토양에 생존해 있다가 종구의 상해나 병해충의 피해부위에 모여들어 급격히 증식, 인경을 썩게 만든다.

  ○ 미숙퇴비를 많이 사용한 토양이나, 사질토양에서 피해가 크며, 피해 증상은 고자리 파리의 피해증상과 유사하다.

  ○ 뿌리응애는 각종 병원균을 옮기는 매개충 역할도 하며, 병과 복합 감염 되었을 때 더욱 피해가 크다.

 3) 방제법

  ⑴ 건전한 종구를 선택한다.

  ⑵ 미숙퇴구비를 사용하지 않는다.

  ⑶ 수확후 건조를 잘 시키고 상처를 입지 않도록 한다.

  ⑷ 종구소독을 한다.(디메토유제 1000배액 30분 침지)

   ⑸ 토양 소독―디설폰입제 살포후 종구파종

   ⑹ 생육기 방제―디메토유제 1000배액을 10a당 1000ℓ기준으로 마늘 땅가부분관주, 카보입제는 전면처리한 후 표면을 긁어 주거나 관주 처리하여 약액이 침투 할 수 있도록 하여준다.

 사. 선 충

  ○ 뿌리, 줄기, 잎과 저장중인 마늘쪽에도 기생하고 있다.

  ○ 마늘에 선충이 감염되면 뿌리부분을 가해가게 되어 양분의 흡수가 불량해지고 잎이 누렇게 변하며 심하면 말라죽게 된다.

  ○ 파종전에 토양 살충제를 뿌리고 씨마늘 소독을 철저히 한다.


11. 생리장해 및 방지대책

 가. 2차 생장(벌마늘)

  <발생원인>

   ① 파종기가 너무 빠를 때,

   ② 질소질 비료를 너무 많이 주거나 웃거름을 늦게까지 줄 때

   ③ 겨울이 너무 따뜻하여 웃자랄 때,

   ④ 4~5월에 가물다가 비가 와서 갑자기 자랄 때,

   ⑤ 너무 큰 마늘쪽을 파종했을 경우,

   ⑥ 씨마늘에 지나친 저온처리를 했을 때,

  <대책>

   ① 재배 작형별, 품종별 적기에 파종하고

   ② 모래땅에는 가급적 재배를 하지 않으며

   ③ 질소질 거름을 알맞게 주고 웃거름을 제때에 준다

   ④ 씨마늘은 한쪽의 무게가 5.1~7.5g 사이를 사용하고

   ⑤ 포장이 과습하거나 건조하지 않게 물대기와 물빼기에 주의하며

   ⑥ 잎 1/2~2/3정도 누렇게 변했을 때 적기에 수확한다.

 나. 잎끝마름증상

  ○ 잎끝이 마르는 것은 땅이 지나치게 건조하거나 과습하여 칼리, 칼슘, 마그네슘 등이 뿌리로부터 흡수장해를 받아 생기는 현상

  ○ 토양습도 유지와 석회, 칼리비료, 완전히 썩은 퇴비를 충분히 준다.

 다. 잎유합현상(원통형)

  ○ 마늘을 심은 후 처음 4~6잎은 정상적으로 생육하나 위의 잎은 양파 잎 모양으로 둥글게 되며 속잎이 밖으로 나오지 못한다.

  ○ 이 마늘은 정상적인 수확이 가능하므로 겉잎을 찢어주어 속 잎이 밖으로 나올 수 있도록 해주면 마늘통이 크는데 유리하다.

 라. 염류장해

  ○ 잎과 줄기가 꼬부라진 채 얇은 피막으로 싸여져 속잎이 잘 벌어지지 못하고 줄기의 내부가 쭈글쭈글한 증상으로 나타난다.

  ○ 염류장해가 발생하는 포장에서는 비료를 한번에 많이 주지말고 가급적 2~3회에 걸쳐 나누어주는 것이 좋으며, 심한 곳에서는 물을 대어 염농도를 낮추어 주어야 한다.


12. 저장방법 개선

  ○ 마늘 수확후 마늘 통 위에서 줄기를 1~2㎝ 정도 자르고, 부리부분도 짧게 잘라 40℃가 넘지 않는 온도에서 예건하여 마늘 줄기 부분의 수분함량이 21% 정도 되게 건조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