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재배기술

  가. 품종선택

  수출용 오이는 국내 흑침계 오이 품종과는 달리 백침계 오이로서 오이과면에 백분이 없는데 이는 특수대목(bloomless 불룸리스)을 이용하여 생산하고 있다.

  수출오이 품종은 아직 국내에서 육성 보급되고 있지 않아 주로 수출업자에 의해 일본으로부터 전량 도입되고 있는 실정이다. 수출 부가가치를 높이기 위해서는 국내 수출오이전용 품종개발이 관건이겠으나 이는 장기적인 과제이므로 우선 일본 소비자 기호에 맞는 인기품종이나 신품종을 선택하는게 중요하다. 최근 수출용 오이 품종은 샤프1호, 스이세이후시나리2호, 히지리2호 등이 주로 재배되고 있다.


표 6-1. 주요 수출용 백침계오이 품종특성

일련

번호

품 종 명

회 사 명

재  배  작  형

암꽃절 비율(%)

과  장

(㎝)

과색

내   병   성

9~11월

11~3월

측 지

노균

흰가

루병

세 균 성

점무늬병

1

샤프1호

기옥원종 육성회

하우스억제,촉성,

반촉성

(8~3월까지파종)

40~70

80~60

연속착과 

21

농록 

2

샤프5호

40

70   

20~21

3

샤프7호

40

70

21

4

샤프301호

40

60

21

5

나오요시

하우스억제

(6~9월 파종)

8~9월

50

 

60~70

21

 

6

귀부인

뉴타잎

하우스,노지재배

 

 

 

22

 

 

 

 

7

앵콜-8호

도끼와 연구장

하우스억제,촉성 ,반촉성

7~8월

20~40

70~80

연속착과

21~22

 

 

 

 

8

앵콜-10호

반촉성,비가림,

하우스억제

30~40

 

 

 

 

 

 

 

9

남극2호 

하우스억제,반촉성

터널 비가림

20

60~70

연속착과

22

 

 

 

 

10

스이세이후시나리2호

구류미

원  종

하우스억제,월동,

촉성,반촉성

 

80

90

21~22

농록

 

 

 

11

히지리절성

하우스억제,월동,

반촉성, 비가림

30~40

60~70

70~90

21~22

극강

12

히지리2호

하우스억제,촉성,

반촉성

30~40

60~70

 

21~22

농록

13

알  파

하우스억제,비가림

월동,반촉성

6~8월 20~30

8~9월 30

60~70

21~22

농록

(갈반병)

14

알파-2호

하우스억제,월동,

반촉성

30~40

40~50

60~70

21~22

농록

(갈반병)

15

 알파 -

  동춘형

하우스억제,월동,

촉성,반촉성

30

40~50

60~70

20~21

농록

(갈반병)

16

취 성

(스이세이)

구류미

원  종

하우스억제,월동,

촉성,반촉성

30~40

40~50

60~70

21~22

농록

17

성  광

(세이고우)

하우스억제,월동,

촉성, 반촉성

30~40

40~50

60~70

22~23

농록

18

소피아

하우스억제,월동,

촉성,반촉성

30~40

60~70

70~80

21~22

농록

19

쯔바사

다끼이

종  묘

하우스억제,

노지억제

 

35~40

 

21~22

농록

 

20

비  마

(히우마)

하우스억제

 

 

 

 

 

 

 

 

21

본  명

(혼묘우)

팔강농예

하우스억제

30

50

 

21~22

농록

22

사찌나리

사가다

교  배

하우스억제,촉성

 

40~50

 

 

농록

(갈반병)

23

요시나리

하우스억제,촉성,

반촉성

 

70

 

21

농록

(갈반병)

24

렌세이

하우스억제,촉성,

반촉성

 

99

 

21

농록

(갈반병)


  그러나 일본 품종에 대한 생산성 검정이 미흡하고 품종 이름을 모르고 재배하는 경우가 있어 구례오이시험장에서 표 6-2과 같이 ’96년부터 일본 품종에 대한 생산성 검정 시험을 수행하고 있다.


표 6-2. 일본백침계 오이의 수량성

 (구례오이시험장, 1996)

품 종 명

주 당 과 수(개)

주당수량 (g)

수량(㎏/10a)

상품

수량

지수

상품과

곡과

상품과율

(%)

총수량 

상품과

샤프 1호

29.6

27.6

2.0

93

3,180

9,859

9,198

112

샤프 5호

23.8

22.7

1.1

95

2,695

8,355

7,920

 96

샤프 7호

25.8

23.8

2.0

92

2,629

8,151

7,458

 91

샤프 301호

26.0

25.5

0.5

98

2,853

8,846

8,642

105

나오요시

25.5

24.1

1.3

95

2,734

8,476

8,035

 98

앵콜 8호

27.6

25.8

1.8

93

2,997

9,291

8,668

106

남극 2호

18.1

16.2

1.9

90

2,056

6,376

5,700

 69

북극 2호

20.4

18.5

1.9

91

2,170

6,727

6,101

 74

히지리 2호

28.4

25.8

2.6

91

3,049

9,453

8,592

105

스이세이

25.0

23.8

1.2

95

2,701

8,374

7,930

 97

본    명

13.8

12.3

1.5

89

1,563

4,847

4,328

 53

구 루 미

27.0

25.2

1.8

93

2,841

8,808

8,209

100

 ※ 수확기간:’96. 10. 16 ~ ’97. 1. 15(원줄기재배)


  나. 정    식

    1) 정식준비

  10a당 요소 26㎏, 용성인비 82㎏, 염화칼리 20㎏, 소석회 120㎏,퇴비 10톤 이상과 토양의 보수력, 통기성 등을 높이기 위해 볏짚을 다량 절단 사용후 30㎝ 정도 심경한 후 이랑을 180~ 200㎝(두둑 120~130㎝, 통로 60~70㎝) 간격으로 만든다.

  정식 3~4일전에 두둑 전체가 습하도록 정식골(골 깊이10㎝)를 파고 다량 관수한다.


그림 6-1. 두둑만들기 및 정식전 수분관리


    2) 정    식

  본엽 3매의 건묘를 원줄기 주지재배용 품종은 평당 10~12주, 측지재배용 품종은 평당 5~6주씩 180~200㎝ 이랑(두둑 120~130㎝)에 1~2열로 재식한다.

  정식 직후 호스로 포기마다 물을 골고루 주어 활착을 촉진하되 두둑 전체에는 절대 관수하지 않아야 한다.

  수출오이의 억제재배 작형은 기온과 지온이 고온 상태 하에서 이루어져 도장될 염려가 많으므로 밤낮으로 환기를 적극적으로 실시하되 가능한 외부기온에 가깝게 하고 관수는 시들지 않을 정도로 그리고 온도와 일조량을 적게 하기 위하여 광도를 줄이는 노력을 해야 한다.

  정식후 10일 내외 경과후 덩굴손이 무성하게 늘어지면 완전히 활착되었다고 보고 그 이후에는 주․야간의 실내온도를 2~3℃ 낮춰 도장을 방지하는 관리를 하고 잡초발생 및 생육을 억제시키기 위하여 녹색비닐로 두둑을 멀칭한다.


그림 6-2. 정식후 활착기 까지의 관리


  다. 수분관리

  오이를 잘 가꾸는데는 충분한 물과 비료분이 항상 중단되지 않도록 하는 관리가 중요하다. 오이의 뿌리군은 토마토나 가지보다도 훨씬 얕아서 지표에서 20㎝ 정도의 깊이에 대부분의 뿌리가 있고(약 80% 정도 분포)옆으로는 상당히 넓게 퍼져 그 지름이 2~3m에 이르기도 한다.

  이와 같이 넓고 얕은 근군인 까닭에 건조에는 매우 약하면서도 공기가 충분히 있는 토양 중에서도 뿌리가 활발하게 발달한다.

  따라서 정식후부터 활착기까지는 많은 양의 물을 가끔씩(다량소회)두둑 깊숙하게 충분히 스며들도록 하여 지하부는 다습하고 지표부는 건조하게 하므로써 뿌리를 깊게 뻗도록 유도한다.

  1번과가 착과하여 비대를 시작할 때까지도 계속 포기마다 다량 소회 관수하다가 그 이후부터는 오전 8~9시경에 두둑 양쪽에 설치된 관수호스로 소량씩 10분 정도 2~3일마다 자주 관수(소량 다회)해 주는 것이 좋다.


그림 6-3. 활착 이후부터 착과기 까지 관리


  토양수분 관리는 기상조건, 토양상태, 시비량, 하우스구조, 작형 및 생육단계 등에 따라 다르므로 세심한 배려를 해야 한다.

  최근 토양 중의 수분을 텐시오메타를 이용하여 토양수분장력(pF)에 의한 숫자로 표시하기도 한다.

  관수개시기의 합리적인 방법은 토양수분장력을 정확하게 측정하여 건조에 의한 생육장해가 나타나기 전에 하는 것인데 오이의 관수 개시점은 일반적으로 생육 초기에는 pF 2.0~2.5로 약간 건조하게 관리하고 생육 후기에는 pF 1.7~2.0으로 약간 습하게 관리한다.


그림 6-4. 과비대기 이후 수확기 까지 관리


  라. 시비관리

  억제재배 작형에서 오이 과일 1톤을 생산하는데 흡수되는 각 요소량은 질소 3.0㎏, 인산 1.0㎏, 칼리 4.5㎏이다. 그러나 실제 시비량은 목표 수량을 정해 놓고 흡수량과 이용률을 고려하여 산출하는데 포장의 비옥도나 토성과 구조, 기타 환경조건 등에 따라 달라진다. 일본에서 작형별 시비기준은 표 6-3과 같다.


표 6-3. 수출오이 작형별 시비기준 (일본의 예)

항 목

 

작 형

목표수량

 

(톤/10a)

수량1t당 흡수량

(㎏)

10a당 흡수량

(㎏)

시  비  배  율

10a당 시비량

(㎏)

N

P2O5

K2O

N

P2O5

K2O

N

P2O5

K2O

N

P2O5

K2O

억제재배

 5

3.0

1.0

4.5

15

 5

23

1.5

3.0

1.0

23

15

23

촉성재배

15

2.2

0.7

3.0

33

11

45

1.5

3.0

1.0

50

33

45

반촉성재배

12

2.5

0.8

3.5

30

10

42

1.5

3.0

1.0

45

30

42

조숙재배

 7

2.5

0.8

4.0

18

 6

28

1.8

4.0

1.0

32

24

28

여름재배

 7

2.5

0.8

4.0

18

 6

28

1.8

3.0

1.0

32

18

28


  시비법은 밑거름으로 질소와 칼리는 10a 당 시비량의 40~50%를. 인산은 100%를 시용한다.

  일반적으로 오이의 첫 웃거름을 주는 시기는 첫 암꽃의 과일이 비대하기 시작하는 때로써 대략 정식 1개월 전후이다. 이 때 초세가 너무 강하면 웃거름 주는 시기를 첫 수확 무렵으로 다소 늦춘다.

  너무 일찍 웃거름을 주면 오이의 생육이 영양생장으로 기울어져 줄기와 잎이 웃자라거나 낙과 등의 장해가 생기게 되며 웃거름 시기가 너무 늦으면 곡과가 많이 생기고 줄기신장이 늦어진다.

  따라서 웃거름 주는 시기와 시용량은 생육시기, 초세, 수량 등을 고려하여 결정한다. 일반적으로 웃거름 시용량은 질소와 칼리성분으로 각각 2㎏씩 5~7일 간격으로 액비로 관주해 준다.


  마. 줄기 고르기 및 유인

  정식직후 부터 지주에 직립으로 유인하여 초세가 강해지도록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출오이는 품종에 따라 원줄기재배와 측지재배로 구분할 수 있다. 원줄기재배 가능 품종(히지리, 구루미아지)은 마디성이 강하여 순지르기를 하지 않고 어미덩굴을 계속 길러서 수확할 수 있다. 아들덩굴이 나오면 6절까지는 완전히 제거하고 그 이후부터는 초세에 따라 1~2절에서 순지르기를 하되 착과는 시키지 않는다.

 측지재배용 품종(샤프1호, 스이세이후시나리2호 등)은 마디성이 40~60% 내외로 어미덩굴에서 열매 맺음이 적기 때문에 23마디 내외에서 순을 질러 아들덩굴의 발생을 촉진시켜 어미덩굴과 아들덩굴에서 수확을 한다. 일반적으로 초세가 강할 때는 잎 1매, 약할 때는 잎 2매를 남기고 순을 지르고 1~2개의 과일을 착과 시킨다. 어미덩굴 5마디 이하에 발생한 측지는 제거하는 것이 초세와 착과에 유리하다. 초세가 약할 경우 어미덩굴의 암꽃을 제거하면 측지발생이 촉진된다.

  덩굴 유인은 원줄기마다 비닐 끈을 수직으로 늘어뜨려 유인하거나 네트를 쳐서 유인한다.


그림 6-5. 아들줄기(정지) 방법


그림 6-6. 수확기의 측지관리


  바. 잎 따 기

  주지의 적심이 끝날 무렵부터 중간 이하의 엽에 채광이 나쁘게 되면 하엽의 황화와 과일 생산의 효율 및 품질의 저하, 또 과번무에 의한 생리낙과 등이 생긴다.

  오이의 젊음의 상징은 하엽의 푸르름에 있다고 말할 수 있으며 하엽은 뿌리를 자라게 하고 줄기의 젊음을 유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적심재배에서는 원줄기의 과일 수확 종료경부터 원줄기의 엽을 따내고 측지엽으로 갱신한다.

  적엽은 원칙으로 1주일에 2~3매를 한도로 해서 이병엽과 황화하고 오래된 엽은 제거하지만 과번무 상태에서 생육하고 있는 경우는 채광, 통풍을 하여 광합성을 촉진하기 위해서 하엽쪽에도 광선이 충분히 들게끔 엽을 솎아내듯 적엽한다. 또 측지의 발생이 늦은 절위의 본엽은 남겨서 측지 발생후부터 적엽하여 갱신한다.


  사. 재배 환경 관리

  하우스의 환경 관리는 국내 오이재배 방법과 크게 다르지는 않으나 측지 발생을 좋게 하기 위해서 새벽 최저기온을 13~14℃, 지온은 18℃ 이상 되게 관리해 주는 것이 바람직하고, 오전 8시경 해뜨기 직전에 온풍기를 작동시켜 20℃ 이상이 되도록 조기 가온을 실시해 주는 것이 좋다.

  생육시기별 온도관리는 표 6-4와 같은데 비가 오거나 흐려서 낮에 햇볕이 없을 때는 주간온도를 3~4℃ 정도 낮게 관리 해주어야 하며 초저녁 고온(20℃ 이상), 새벽 저온(14℃ 이하)은 병해발생, 수량감소, 품질저하의 주된 요인이므로 주의를 요한다.

  겨울에 맑은 날의 오전 중에는 고온 다습하게 해주는 것이 바람직한데 하우스내 습도 관리는 ① 정식에서 활착까지, ② 어미줄기의 과일 비대가 빠를 때, ③ 신장엽이 적을 때, ④ 수확량이 많은 날, ⑤ 통로가 건조하기 쉬운 때, ⑥ 야간 난방기가 장기간 가동될 때, ⑦ 갑자기 날씨가 맑아지고 지온이 낮을 때는 높게 해주고 초세가 강한 경우와 눈비가 계속되고 병이 심할 경우는 온풍 난방기를 가끔씩 가동시켜 습도를 낮게 해주는 것이 좋다.


표 6-4. 생육시기별 온도 관리

생육시기별

시간대별

정식~활착

활착~착과

수확기간

계    속

비       고

 오  전(08~13시)

28~30℃

25~28℃

25~30℃

 광합성 촉진

 오  후(13~17시)

23~24℃

21~24℃

21~24℃

 광합성 촉진 및 호흡억제

 초저녁(17~24시)

17~18℃

15~16℃

16~17℃

 전류촉진

 새  벽(24~08시)

15~16℃

13~14℃

14~15℃

 호흡억제(휴면)


표 6-5. 오이의 생육상태 진단 요령

부  위

정  상  생  육

비정상 생육

비정상의 원인

떡  잎

․편평(거의수평)하게 전개

․아침시간에 전개

․정식 때까지 정상유지

․굴곡

․수분부족,저온

․밤에 전개

․수분과다.고온

․조기 황화

․광부족,비료부족

생장점

․큰 생장점에 2매의 전개 잎이 둘러쌈

․결각, 뾰족, 태양을 바라봄

․어린잎이 보이지 않음

․알칼리토양,

  질소과다

․생장점에 꽃이 보임

․야간저온, 저지온,

  비료부족

줄  기

․마디사이 7~8㎝

․이상

․고온, 다습, 질소과다

․이하

․붕소결핍, 건조,

  저기온

덩굴손

․약간 위쪽을 향함

․완전히 전개치 않고    굳음

․저온,비료부족

․한마디에 여러개 발생

․붕소결핍

꽃,열매

․40~50㎝ 위치에 개화

․열매(자방)는 4㎝ 이상

․수평, 하향, 꽃색은 황색

․낮은 위치에 개화

․고온, 다습, 질소과다

․높은 위치에 개화

․붕소결핍, 건조, 저온

․4㎝이하로 하향,퇴색

․뿌리 활동불량,

  양분부족


그림 6-7. 열매의 형태로 본 생육 진단요령


하우스재배의 요점(구루미원종육성회)


2. 수출오이 규격포장방법 및 유통

  가. 수출오이 규격

  1993. 8. 16일 공포된 일본의 표준 출하규격은 아래표와 같이 A. B 2등급과 대, 소 기준은 L.M 2가지로 분류하고 있으나 수출 대행업체들이 계약한 수출오이 출하규격은 일본의 표준 출하규격 보다 세분화 되어 있음은 볼 수 있는데, 이는 일본 측 바이어의 요구에 의한 것이라고 한다.


표 6-6. 일본의 오이 대소 등급 기준

등  급

계  급

1개의 과장

1개의 중량

1용기중의 개수

A

L

22 ~ 25㎝

100 ~ 140g

42 ~ 47

M

19 ~ 22㎝

80 ~ 110g

50 ~ 54

B

L

22 ~ 25㎝

100 ~ 140g

M

19 ~ 22㎝

80 ~ 110g

※ 일본 시설 원예협회 「야채, 과실, 花きの고품질화ハンドブック」 1995. 양현당


  등급 기준은 품위기준을 갖춘 오이를 A,B 2등급으로 세분하고 있는데 A급을 굽은 정도가 2㎝ 이내이고, 양끝 부분이 너무 굵거나 가늘지 않으며 상해가 없는 오이를 A급 오이라 한다. B급은 굽은 정도가 A급보다 심한 4㎝ 이내인 것, 양끝 부분이 굵거나 가늘기 정도가 경미한 것, 그리고  상해 정도가 경미한 것을 B급으로 규정하였다.

  대소 기준은 1개의 길이 또한 중량에 의해 구분하되 1개의 중량에 대해서는 상, 하 각각 5% 정도의 차이는 허용하고 있으며 최저 기준을 충족시키는 것으로 등급 구분 또는 대소 기준에 적합하지 않은 것은 “竝(보통)”이라 칭한다.


표 6-7. 일본내 오이의 시장 출하 규격

등 급

계  급

과 장(㎝)

1과중(g)

5㎏ 용 기

중의 갯수

비    고

A

L

M

S

SS

23㎝ 이상

21~23

19~21

17~19

120~140

100~120

 80~100

70~80

36~44

45~53

54~60

61~70

굴곡 1.5㎝이내

B

BM

BS

21~23

17~21

100~120

 70~100

45~53

54~65

굴곡 3.0㎝이내

C

C

17~24

 70~150

 

굴곡 5.0㎝이내


  나. 포장방법 및 유통

    1) 포장방법

  일본의 오이포장 기준으로는 1포장 단위의 무게는 시장 판매시 5㎏을 표준으로 하고 포장 용기는 골판지 상자로 A식과 콘테이너식이 있다.


표 6-8. 일본의 오이 포장 방법

용기의

크  기

A 식

콘  테  이  너  식

길이 (용기 안쪽) 420㎜

  폭 (용기 안쪽) 250㎜

높이 (용기 안쪽) 95㎜

길이 (용기 안쪽) 465㎜

  폭 (용기 안쪽) 370㎜

높이 (용기 안쪽)  70㎜

재  질

 JIS Z1506외장용 양편 골판지상자 제2종, 최대내압강도 5㎏,

 용기 350㎏

포  장

방  법

 봉합 - 폭 2㎜이상의 Staple로 상하부 각 2개소 이상. JIS 1511포장용지 GUM 테잎 제1종 이상 또는 동등이상 효력가진 자재사용도 무방

표  시

사  항

 품목명, 품위구분, 대소구분, 중량, 출하자명 또는 상표, 산지

※ 컨테이너식:덮개가 없는 상자 몇단을 쌓아올려 제일 위상자에 덮개를 씌움


  그러나 국내에서 재배되어 일본으로 수출되는 오이는 10㎏ 단위로 포장하여 박스에는 생산지가 표기되는 지역과 표기 되지 않는 지역이 있는데 구례 지역은 “전라남도산 오이 (주)남양농산”이라 표기되어 있으며 광양은 “광양오이 (주)전남무역 한국광양농협”이라고 표기되어 수출되고 있어 일본내에서 일본산 오이와 한국산 오이가 차별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2) 유통

  수출오이의 수송체계는 지역에 따라서 약간씩 차이는 있으나 농가에서는 수확한 오이를 공동선별장까지 수송해주면 농가의 임무는 끝나게 되며 선별장에 도착된 오이는 재배단지에서 고용한 전문인력에 의해 선별 포장되어 간이저장고나 집하장, 저온저장고 등에 일시저장 되었다가 일정한 물량이 차면 콘테이너 차량이나 화물트럭을 이용하여 부산항까지 보내지면 재배단지의 일은 완전히 끝난다. 부산항에 도착된 오이는 수출대행업체가 인수하여 수출을 위한 검역과 통관절차를 밟아 부관페리호에 선적하게 되면 수출대행업자의 수송임무는 끝이 난다(그림 참조). 일본에 도착한 한국산 오이는 일본측 바이어에 의해 각지역 소비처에 배분되는 체계를 유지하고 있다.


◈ 구례․광양:농가수확 → 공동선별장 → 선별․포장 → 일시저장 → 콘테이너 수송 → 부산항 선적 → 일본

◈ 고     흥:농가수확 ․ 선별 → 공동집하장 집하 → 등급판정 ․ 포장 →일시저장 → 콘테이너 수송 → 부산항선적 → 일본

그림 6-8. 지역별 수출오이 수송체계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