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장해 : 칼슘을 주면 고두병 이외의 다른 반점성 장해도 방지
- 칼슘 부족으로 전분이 당으로 가수분해되는 과정이 저해되어 일어나는 현상으로 고두병의 원인
□ 질소, 칼리, 마그네슘 등의 성분 : 칼슘 흡수에 길항작용을 하여 장해발생 촉진
1. 발생에 관여하는 요인
(가) 생육전반기인 5∼6월의 건조와 생육후기의 다습
(나) 재배관리
○ 강전정이 약전정보다 발생이 많다.
○ 세력이 강한 유목이나 생육이 좋은 결과지에 달린 과실, 그늘속 과실, 너무 빨리 딴 미숙 과실 등에 생김.
(다) 무기영양
1) 질소 : 고두병 발생의 중요 요인
○ 잎의 질소함량 : 높으면 과실의 칼슘 함량이 낮아진다.
○ 과다 : 칼슘이 과실로 가는 것을 방해 하는 요인
- 배수 불량지 과다시용 : 생육전반기의 과다흡수는 고두병 발생을 증가시키는 요인
○ 질소시용시기(표1) : 7월하순에 주면 전혀 고두병이 생기지 않음.
<표 1 > 질소의 시용시기와 고두병 발생(산기, 1964)

2) 칼리와 질소 : 늘이면 과실에 고두병 발생, 질소를 줄이고 칼리를 증가시켜도 많이 발생
○ 칼슘과 길항작용이 있는 칼리가 고두병을 증가시키는 중요한 요인.
3)사과 과실의 칼슘성분 흡수의 경시적 변화
○ 생육 초기에 흡수 현저, 후기에 과실중 흡수량은 다른 무기성분에 비하여 현저하게 낮다.
○ 생육초기 과육에 다량 흡수된 후 과실 비대에 따라 7월 부터 흡수가 급감하여 성숙기부터 수확기까지
저농도를 나타낸다.
4) 과일의 위치와 증상
○ 과심부는 과육부 보다, 후지/M.9가 후 지/M.26 보다 칼슘 함량이 높다.
○ 칼슘함량은 체와부가 경와부 보다 낮으며 칼슘 농도가 낮은 체와부에서 고두병 발생이 현저히
높다(표2).
<표 2 > 수경액의 칼슘농도와 골덴데리셔스/M.9의 고두병 발생

2. 방지대책
○ 석회를 토양에 충분히 주는 것이 근본 대책
○ 질소와 칼리의 시비량을 줄이거나 심하면 2∼3년간 주지 않는다.
○ 수세를 안정시키고 너무 큰 과실이 되지 않도록 착과량 조절
○ 칼슘 효과 당년에 보기: 염화칼슘 0.3∼0.4%액을 수확전 40일경부터 5∼7일 간격으로 3∼5회 엽면살포
○ 쓰가루의 심한 고두병 유사증상(50%이상):수확 30일전 염화칼슘(CaCl₂) 0.3%액을 5일간격 3회 살포
- 고두병 같은 생리장해 감소(관행 62.7%, 엽면살포 6.7%).
○ 수확 과실을 염화칼슘 2∼4%액에 5∼10분간 담근 뒤 꺼내어 그늘에서 말려 저장고에 넣는다.
※출처 : 표준영농교본-농촌진흥청
□ 장해 : 칼슘을 주면 고두병 이외의 다른 반점성 장해도 방지
- 칼슘 부족으로 전분이 당으로 가수분해되는 과정이 저해되어 일어나는 현상으로 고두병의 원인
□ 질소, 칼리, 마그네슘 등의 성분 : 칼슘 흡수에 길항작용을 하여 장해발생 촉진
1. 발생에 관여하는 요인
(가) 생육전반기인 5∼6월의 건조와 생육후기의 다습
(나) 재배관리
○ 강전정이 약전정보다 발생이 많다.
○ 세력이 강한 유목이나 생육이 좋은 결과지에 달린 과실, 그늘속 과실, 너무 빨리 딴 미숙 과실 등에 생김.
(다) 무기영양
1) 질소 : 고두병 발생의 중요 요인
○ 잎의 질소함량 : 높으면 과실의 칼슘 함량이 낮아진다.
○ 과다 : 칼슘이 과실로 가는 것을 방해 하는 요인
- 배수 불량지 과다시용 : 생육전반기의 과다흡수는 고두병 발생을 증가시키는 요인
○ 질소시용시기(표1) : 7월하순에 주면 전혀 고두병이 생기지 않음.
<표 1 > 질소의 시용시기와 고두병 발생(산기, 1964)

2) 칼리와 질소 : 늘이면 과실에 고두병 발생, 질소를 줄이고 칼리를 증가시켜도 많이 발생
○ 칼슘과 길항작용이 있는 칼리가 고두병을 증가시키는 중요한 요인.
3)사과 과실의 칼슘성분 흡수의 경시적 변화
○ 생육 초기에 흡수 현저, 후기에 과실중 흡수량은 다른 무기성분에 비하여 현저하게 낮다.
○ 생육초기 과육에 다량 흡수된 후 과실 비대에 따라 7월 부터 흡수가 급감하여 성숙기부터 수확기까지
저농도를 나타낸다.
4) 과일의 위치와 증상
○ 과심부는 과육부 보다, 후지/M.9가 후 지/M.26 보다 칼슘 함량이 높다.
○ 칼슘함량은 체와부가 경와부 보다 낮으며 칼슘 농도가 낮은 체와부에서 고두병 발생이 현저히
높다(표2).
<표 2 > 수경액의 칼슘농도와 골덴데리셔스/M.9의 고두병 발생

2. 방지대책
○ 석회를 토양에 충분히 주는 것이 근본 대책
○ 질소와 칼리의 시비량을 줄이거나 심하면 2∼3년간 주지 않는다.
○ 수세를 안정시키고 너무 큰 과실이 되지 않도록 착과량 조절
○ 칼슘 효과 당년에 보기: 염화칼슘 0.3∼0.4%액을 수확전 40일경부터 5∼7일 간격으로 3∼5회 엽면살포
○ 쓰가루의 심한 고두병 유사증상(50%이상):수확 30일전 염화칼슘(CaCl₂) 0.3%액을 5일간격 3회 살포
- 고두병 같은 생리장해 감소(관행 62.7%, 엽면살포 6.7%).
○ 수확 과실을 염화칼슘 2∼4%액에 5∼10분간 담근 뒤 꺼내어 그늘에서 말려 저장고에 넣는다.
※출처 : 표준영농교본-농촌진흥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