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촌애(김영수)
2008. 8. 21. 21:22
2008. 8. 21. 21:22
1. 일반사항 ○ 반점성 장해중 가장 많이 발생 ○ 품종 : 육오, 쓰가루, 조나골드 등에 많이 생기며 후지와 데리셔스계에서도 생김. ○ 발생시기 : 수확전부터 나타나며 저장중 많이 생김. 수확전에 생기면 트리 핏트(Tree pit), 저장중 생기면 스토리지 피트(Storage pit)로 구별. 본질적인 차이는 없다.
2. 증상 : 체와부(과실 적도면 아래 부위) 과피에 주로 생기면 과피 바로 아래 과육에는 저장중 생김. ○ 초기증상 : 과피에 붉은색을 띠나 오목한 반점으로 진전 - 적색품종은 암적색, 황색품 종은 녹색∼회록색으로 2~5mm 크기의 반점이 된다. - 반점부위 아래 세포는 거의 붕괴, 과육은 암갈색 스폰지 상태로 된다. - 반점이 나타난 부위는 쓴맛이 있고 마마처럼 들어가므로 고두병(苦痘病)이라고 함
3. 피해상태 ○ 과실 외관을 손상 ○ 저장중에 피해 부위로 부패균이 침입하여 과실 부패
4. 발생조건 ○ 유목, 강전정 및 과다시비한 나무에서 생산된 대과에서 많이 발생 ○ 5∼6월에 비가 적게 내리고 건조한 해 및 생육후기에 비가 많은 해에 많이 발생
5. 방지대책 : 반점성 장해발생원인과 대책 참조.
※출처 : 표준영농교본-농촌진흥청
1. 일반사항 ○ 반점성 장해중 가장 많이 발생 ○ 품종 : 육오, 쓰가루, 조나골드 등에 많이 생기며 후지와 데리셔스계에서도 생김. ○ 발생시기 : 수확전부터 나타나며 저장중 많이 생김. 수확전에 생기면 트리 핏트(Tree pit), 저장중 생기면 스토리지 피트(Storage pit)로 구별. 본질적인 차이는 없다.
2. 증상 : 체와부(과실 적도면 아래 부위) 과피에 주로 생기면 과피 바로 아래 과육에는 저장중 생김. ○ 초기증상 : 과피에 붉은색을 띠나 오목한 반점으로 진전 - 적색품종은 암적색, 황색품 종은 녹색∼회록색으로 2~5mm 크기의 반점이 된다. - 반점부위 아래 세포는 거의 붕괴, 과육은 암갈색 스폰지 상태로 된다. - 반점이 나타난 부위는 쓴맛이 있고 마마처럼 들어가므로 고두병(苦痘病)이라고 함
3. 피해상태 ○ 과실 외관을 손상 ○ 저장중에 피해 부위로 부패균이 침입하여 과실 부패
4. 발생조건 ○ 유목, 강전정 및 과다시비한 나무에서 생산된 대과에서 많이 발생 ○ 5∼6월에 비가 적게 내리고 건조한 해 및 생육후기에 비가 많은 해에 많이 발생
5. 방지대책 : 반점성 장해발생원인과 대책 참조.
※출처 : 표준영농교본-농촌진흥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