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증상 : 과피가 매끈하지 않고 쇠에 녹이 낀 것처럼 거칠어지는 증상 ○ 품종 : 골덴데리셔스에 많음, 홍옥 및 쓰가루도 많이 생길 수 있음. - 그 밖의 여러 품종 : 과면이 거칠어져서 상품성 저하되는 수가 흔히 있다. ○ 거칠게 보이는 물질 : 코르크 조직으로서 이들이 표피세포 바깥의 큐티큘라층 밖으로 튀어나와 생김.
2. 발생조건 ○ 낙화 후 10∼40일에는 과피를 보호하는 큐티큘라층의 발달이 덜 되어 내·외부의 자극에 의하여 녹이 생기기 쉽다. ○ 심한 품종은 큐티큘라층을 구성하는 왁스물질이 적고, 그 생성이 아주 나빠 과실이 비대하면서 그 층에 틈이 생겨 표피가 들어나기 쉬운데, 여기에 코르크 형성층이 발달되어 코르크 세포가 만들어진다. - 다습조건 : 큐티큘라의 발달을 저해 - 수세가 강한 나무 : 과실 비대의 일변화(日變化)가 심하여 큐티큘라의 균열이 생기기 쉽다. - 측과 : 과경부 부근이 급격히 비대하므로 중심과에 비하여 동녹이 많다. ○ 직사광선, 약해, 병해, 저온, 기계적인 상처 등 : 동녹 발생 조장
3. 방지대책 ○ 낙화 후 10일 이내에 작은 봉지를 씌워 주면 가장 안전하다. ○ 작은 봉지 대신에 피막제(사비녹크, 시오녹크, 생석회, 탄산칼슘 등)를 낙화직후 부터 1주일 간격으로 3회 정도 살포 ○ 지베렐 린 A4+7 100∼200ppm을 이 시기에 살포해도 동녹의 발생을 감소 ○ 질소 시용량을 알맞게 하여 수세 안정 ○ 유과기에 동녹의 발생을 조장하는 유제, 보르도액, 구리수화제 등의 살포를 삼가함.
※ 출처 : 1) 원예작물재배기술-농촌진흥청 원예연구소 2) 표준영농교본-농촌진흥청
1. 증상 : 과피가 매끈하지 않고 쇠에 녹이 낀 것처럼 거칠어지는 증상 ○ 품종 : 골덴데리셔스에 많음, 홍옥 및 쓰가루도 많이 생길 수 있음. - 그 밖의 여러 품종 : 과면이 거칠어져서 상품성 저하되는 수가 흔히 있다. ○ 거칠게 보이는 물질 : 코르크 조직으로서 이들이 표피세포 바깥의 큐티큘라층 밖으로 튀어나와 생김.
2. 발생조건 ○ 낙화 후 10∼40일에는 과피를 보호하는 큐티큘라층의 발달이 덜 되어 내·외부의 자극에 의하여 녹이 생기기 쉽다. ○ 심한 품종은 큐티큘라층을 구성하는 왁스물질이 적고, 그 생성이 아주 나빠 과실이 비대하면서 그 층에 틈이 생겨 표피가 들어나기 쉬운데, 여기에 코르크 형성층이 발달되어 코르크 세포가 만들어진다. - 다습조건 : 큐티큘라의 발달을 저해 - 수세가 강한 나무 : 과실 비대의 일변화(日變化)가 심하여 큐티큘라의 균열이 생기기 쉽다. - 측과 : 과경부 부근이 급격히 비대하므로 중심과에 비하여 동녹이 많다. ○ 직사광선, 약해, 병해, 저온, 기계적인 상처 등 : 동녹 발생 조장
3. 방지대책 ○ 낙화 후 10일 이내에 작은 봉지를 씌워 주면 가장 안전하다. ○ 작은 봉지 대신에 피막제(사비녹크, 시오녹크, 생석회, 탄산칼슘 등)를 낙화직후 부터 1주일 간격으로 3회 정도 살포 ○ 지베렐 린 A4+7 100∼200ppm을 이 시기에 살포해도 동녹의 발생을 감소 ○ 질소 시용량을 알맞게 하여 수세 안정 ○ 유과기에 동녹의 발생을 조장하는 유제, 보르도액, 구리수화제 등의 살포를 삼가함.
※ 출처 : 1) 원예작물재배기술-농촌진흥청 원예연구소 2) 표준영농교본-농촌진흥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