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농사정보
[ 제 41 호, 2010.10.03 ~ 2010.10.09 ]
농촌진흥청
031-299-2702 / jungdo@korea.kr

 

Ⅰ 기상전망(10.1~10.31)


1 기온
  ○ 평년(8~19℃)보다 높겠음
  ○ 일교차가 큰 날이 많겠으며 고온 현상이 나타날 때가 있겠음
2 강수량
  ○ 평년(38~111㎜)보다 많겠음
  ○ 10월 상순과 중순에는 평년보다 많겠으며, 하순에는 평년과 비슷하겠음
3 전망
  ○ 10월 상순에는 아침과 저녁에는 선선하겠고, 낮 동안에는 일사의 영향으로 기온이 상승하여 일교차가 큰 날이 많겠음
 ○ 10월 중순과 하순에는 맑은 날이 많고 고온 현상이 나타날 때가 있겠음
4 순별예보

순별

평 균 기 온

강 수 량

10월 상순

평년(10~21℃)보다 높겠음

평년(11~42㎜)보다 많겠음

10월 중순

평년(8~19℃)보다 높겠음

평년(11~40㎜)보다 많겠음

10월 하순

평년(6~17℃)보다 높겠음

평년(12~33㎜)과 비슷하겠음


Ⅱ 벼농사


1 벼 수확
  ○ 벼를 너무 일찍 수확하면 청미, 사미가 많아지고, 수확이 늦어지면 색택이 불량해지고 동활미가 증가하여 쌀 품질이 떨어지게 됨으로 아래 표를 참고하여 벼

      베기를 하도록 한다.
                                                                                               < 알맞은 벼 베기 시기 >

이삭 팰 때

품 종

알맞은 벼베기 시기

7월 하순~8월 초

극조생종

이삭 팬 후 40일

8월 상순

조생종

이삭 팬 후 40~45일

8월 중순

중생종

이삭 팬 후 45~50일

8월 하순

중만생종(늦심은 논)

이삭 팬 후 50~55일

 

  * 종자용은 알맞은 벼 베기 때보다 약간 빠르게 수확
  ○ 콤바인으로 벼를 수확할 때는 콤바인 조작이 수확량과 품질을 좌우하므로 이슬이 마른 후에 작업을 하도록 하고, 반드시 수확 기종별로 표준 작업 속도를

      지키도록 한다.
    - 콤바인 작업 속도와 손실률 : 표준(0.85m/sec) : 0.96%, 주행(1.68m/sec) : 1.8%
  ○ 쓰러진 벼를 수확할 때는 콤바인에 디바이더를 부착하고 수확작업을 하여 능률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 탈곡기의 회전수는 표준속도를 유지하고 검불 나가는 양과 바람의 세기를 작업 상태에 따라 알맞게 조절하도록 한다.
  ○ 볏짚을 논에 되돌려 줄 경우에는 콤바인의 볏짚 절단기를 이용하여 볏짚을 3~4등분으로 잘라 논에 깔아 준다.


2 벼 말리기
  ○ 쓰러진 벼를 수확하여 물기가 많은 벼는 건조기를 활용하여 빨리 말려서 벼 알에서 싹이 나는 것을 예방하도록 한다.
  ○ 건조기로 벼를 말릴 때는 45~50℃의 온도에서 서서히 말려 품질이 좋은 쌀을 생산하도록 한다. 종자로 사용할 벼는 이보다 낮은 40℃ 정도로 말려 발아율이

     떨어지지 않도록 한다.
  ○ 건조기가 없는 농가는 볏짚을 바닥에 깐 다음 그 위에 망사를 펴고 벼를 말리도록 한다.
  ○ 농로나 도로변에서 벼를 말릴 때에는 도난 사고가 발생하는 사례가 있으므로 관리를 잘하도록 한다.
 < 순환식 건조기에 의한 건조 >
   - 순환식 곡물건조기는 건조속도가 빠르며 곡물의 품질 손상도 적고, 균일한 건조가 이루어지며 에너지 소비가 적은 편이다.
   - 벼를 건조 할 때는 시간당 0.7~1.0% 정도로 건조하는 것이 좋다.
 < 연속식 건조기에 의한 건조 >
   - 연속식 건조기에서의 건조는 곡물이 건조기를 1회 통과할 때 수분이 2~4%정도 건조가 이루어진다.
   - 곡물이 건조실을 통과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15~30분, 수분조절 시간은 3~8시간 정도로 알려져 있다.
 < 감압건조 >
   - 감압건조의 원리는 기존 건조시스템과는 달리 열풍을 건조실 중앙 내부에서 흡인함으로써 투입구와 기계실 틈새 등에서 유입 손실되던 풍량을 건조에

     활용하고, 고압의 대풍량 송풍기를 건조실 내부에 정착하여 감압효과와 소음을 감소시키는 건조시스템이다.
   - 감압식 건조시스템은 기존의 건조방식에 비해 5℃낮은 열풍온도에서도 동일한 건조속도를 유지할 수 있어 고품질 건조가 가능한 특징이 있다.
 < 원적외선 건조 >
   - 원적외선 곡물건조기는 기존의 순환식 곡물건조기의 건조실에 원적외선 방사체를 추가 설치하여 열풍과 원적외선을 동시에 이용하는 건조시스템이다.
   - 원적외선은 복사에 의해 열이 전달되므로, 기존 열풍건조 방식의 중간매체에 의한 건조가 아니고, 복사 에너지에 의한 건조이므로 열 손실이 적어 연료비가

     약 10% 정도 감소된다.
   - 또한 곡물에 조사된 원적외선이 열풍과 함께 곡물을 동시에 가열하여 수분을 증발시키므로 건조속도가 빠르며 식미가 우수한 고품질 건조가 가능하다고

     알려져 있다.


Ⅲ 밭작물


1 밭작물 수확 
  ○ 콩, 고구마 등 수확기에 있는 밭작물은 적기에 수확을 하여 품질을 높이고 뒷그루 작물의 파종이 늦어지지 않도록 한다.
  ○ 고랭지에서 재배되는 감자는 적기에 수확한 후 햇볕이 들지 않고 바람이 잘 통하는 그늘에서 10~14일 정도 예비저장을 한 후에 씨감자용으로 저장하도록 한다.
  ○ 고구마는 수확 후 온도 30~33℃, 습도 90~95% 정도가 되는 곳에서 4일 정도 두었다가 직사광선이 들지 않고 통기가 잘되는 창고에서 10~15일간 예비저장을 한 후에 12~15℃에서 본 저장을 한다.
 

2 보리 파종 
  ○ 보리는 월동 전에 본 잎 5~6매가 확보 되어야 안전월동이 가능하므로 지역별로 알맞은 시기에 파종하도록 한다.
〈지역별 파종적기〉

지 역 구 분

1일 최저기온

평균

평 야 지

(표고100m이하)

중 간 지

(표고100200m)

북부

수원,대전,영주,강릉선

-8.0 -9.0℃

10. 110.10일

9.2510.5

이북

-7.0 -8.0

10. 510.15

10. 110.10

중부

익산,순창,합천,청도

-6.1 -7.0

10.1010.20

10. 510.15

삼척선 이북

-5.1 -6.0

10.1210.25

10. 710.17

남부

익산,순창,합천,청도

-3.1 -5.0

10.1510.30

10.1010.20

삼척선 이남

-3.0℃선 이남

10.2011. 5

10.1510.25


  ○ 중ㆍ북부지방에서는 보리파종 시기에 파종 하되 반드시 종자 소독을 하고 씨를 뿌리기 전에 10a에 퇴비 1,200㎏과 전용복합비료를 40㎏ 기준으로 주도록 한다.
  ○ 보리를 기계로 파종할 때 휴립 줄뿌림 포장은 배수로의 깊이를 30㎝ 이상 깊게 해주고, 평면 줄뿌림 포장은 5~10m 간격으로 배수구를 설치하여 습해를 받지

     않도록 한다.
  ○ 보리 파종 후 3~4일 이내에 적용 토양처리 잡초약을 뿌려 잡초를 방제토록 한다.


3 병해충 발생정보
□ 보리, 밀 깜부기병, 줄무늬병 : 예보
  ○ 보리와 밀의 깜부기병과 줄무늬병은 종자로 전염됨
   ☞ 보리, 밀을 파종하기 전에 적용약제를 이용하여 종자에 약이 골고루 묻도록 소독하여 파종

 

Ⅳ 채소


1 가을 무․배추 
  ○ 웃거름을 한꺼번에 많이 주면 뿌리에 농도장해를 일으켜 잔뿌리가 많이 나거나 가랑이무가 발생하기 쉬우므로 주의한다.
  ○ 생육이 부진한 포장은 요소 0.2%액(물 20ℓ에 40g)이나, 제4종 복합비료를 2~3회 엽면 살포하되 너무 많이 주지 않도록 한다.
  ○ 무름병, 무사마귀병, 노균병, 균핵병, 진딧물, 배추좀나방, 배추순나방, 파밤나방, 벼룩잎벌레 등 병해충 예찰 및 방제를 철저히 한다.
2 마늘․양파 
  ○ 난지형 마늘 파종 시기는 9월 하순~10월 상순경이므로 적기에 파종될 수 있도록 마늘 종구, 소독약, 유기물퇴비, 비료 등 농기자재 준비를 한다.
  ○ 씨마늘 소독방법은 파종 1일전에 종구를 그물망에 넣어 베노밀․티람 수화제액에 1시간정도 침지 소독 후 그늘에 말린다.
  ○ 양파 육묘상은 물주기, 병해충 방제등을 철저히 하여 우량 묘를 생산하도록 한다. 

3 시설채소
  ○ 시설원예 난방에너지 절감을 위하여 하우스 피복자재 개선, 온풍난방기의 점검, 지중 가온시설이나 수막하우스 설치, 일사감응 자동변온장치, 온풍난방기

      배기열 회수 장치, 중앙권취식 보온터널 자동개폐 장치 등을 설치하여 작물별로 알맞은 온도 관리를 해줄 수 있도록 한다.

4 병해충 발생정보


□ 무․배추 노균병, 벼룩잎벌레, 파밤나방, 담배거세미나방 등 : 예보
  ○ 무․배추의 노균병은 기온이 낮아지면서 비가 자주 내릴 때 발생이 많은 병으로 물 빠짐이 나쁘거나 너무 배게 심어 통풍이 나쁜 포장, 생육후기에 비료기가

      떨어지는 포장을 중심으로 발생이 우려
   ☞ 물 빠짐이 잘 되도록 배수로 정비를 잘하고 병든 포기는 일찍 뽑아낸 후 적용농약으로 방제하되 농약안전사용기준을 반드시 지켜 살포

<파밤나방> 


  ○ 벼룩잎벌레, 파밤나방, 담배거세미나방 등이 발생되고 있는 김장채소와 밭작물 포장은 발생초기에 방제
   ☞ 나방류의 애벌레는 자라면 약제 저항성이 커져서 방제효과가 많이 떨어지므로 초기에 방제

□ 시설작물 역병, 잿빛곰팡이병, 총채벌레, 아메리카잎굴파리, 담배가루이, 응애, 진딧물 등 : 예보
  ○ 시설작물의 역병과 잿빛곰팡이병 등은 야간 온도가 낮고 과습할 때 발생이 많은 병으로 관리가 부실한 시설재배에서 발생이 우려
   ☞ 야간 보온관리와 한낮의 환기관리를 잘하여 예방하고, 병이 발생되면 빠르게 전염되므로 발생 시에는 초기에 적용약제를 살포
  ○ 시설작물에 오이총채벌레, 꽃노랑총채벌레, 아메리카잎굴파리 등과 딸기의 점박이응애나 진딧물 등 해충의 발생이 우려
   ☞ 총채벌레는 토마토반점위조바이러스를 전염시키는 해충으로 최근 발생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므로 시설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유의

<꽃노랑총채벌레> 


   ☞ 이들 해충은 일단 발생되면 방제가 어려우므로 시설의 내부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방충망을 설치하는 등 시설 안으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막고, 크기가 작아

   발생을 알아보기가 어려우므로 끈끈이 트랩을 매달아 주의깊게 살펴봄
   ☞ 해충에 따라 생육 초기부터 천적을 투입하거나 발생초기에 적용농약으로 방제하고, 약제 살포 시에는 안전사용기준을 지키고 계통이 다른 약제로 바꾸어

   가면서 살포

□ 토마토황화잎말림병(TYLCV, 담배가루이) : 주의보
  ○ 토마토황화잎말림병은 담배가루이가 전염시키는 바이러스 병으로 남부지방에서 발생된 이후 전국으로 확산되었음

<토마토황화잎말림병> 


   ☞ 병을 전염시키는 담배가루이의 세대 기간이 짧아 연간 발생횟수가 많으므로 방충망을 이용하여 유입 방지 및 발생초기 적용약제로 방제하고, 육묘 시 철저한

   관리로 병이 확산되는 것을 예방
   ☞ 발생된 시설재배 농가 주변지역은 담배가루이의 먹이식물이 되는 잡초를 제거하고 병이 걸린 식물의 이동을 차단함
    ※ 기주식물 : 큰개불알풀, 광대나물, 별꽃, 큰망초, 쑥, 머위


Ⅴ 과수


1 과수 관리 
  ○ 과실의 착색을 높이기 위한 따주기는 노동력 등 농가의 여건을 고려하여 과실에 대한 햇빛 환경을 개선한다는 측면에서 실시하도록 한다.
  ○ 사과 잎을 따 주는 시기는 9월 하순부터 10월 중순에 걸쳐서 3회 정도 나누어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과실 크기와 내년도의 착과에 나쁜 영향을 주지

      않도록 전체 잎 수의 1/3 이하로 따 주어야 한다.
  ○ 과실을 돌려주는 시기는 햇빛을 받는 면이 충분히 착색된 이후에 실시토록 하되 과실이 떨어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 수확기가 된 과실은 나무의 바깥쪽은 빨리 익고 안쪽은 늦게 익는 등 익는 시기가 다르므로 노력이 더 들더라도 익는 순서에 따라 두세 번에 걸쳐 나누어

      수확하여 균일한 품질의 과실을 생산하도록 한다.
  ○ 배는 과실이 크고 수분이 많아 상처를 받기 쉬우므로 수확작업을 할 때에는 장갑을 끼도록 하고 바구니에 스펀지 등을 넣어 눌림이나 상처가 발생하지 않도록

      취급에 주의한다.
  ○ 수확한 과실은 봉지를 벗기고 바람이 잘 통하는 그늘진 곳에서 과실의 온도를 내리면서 병해충 피해를 받은 것과 상처가 난 것 등을 골라낸 후 정상적인

      과실만 저장하도록 한다.
  ○ 과실을 수확하여 저장할 경우 장·단기 등 저장하고자 하는 목적에 맞추어 수확하여야 하며, 완숙기보다 1주일 정도 앞당겨 따는 것이 좋은데 지나치게 늦게

      수확하면 저장력이 떨어지게 되므로 주의하도록 한다.
  ○ 병해충이 발생한 과원에서는 약제방제보다는 낙엽제거 등 재배적 방제 위주로 실시하고 발생이 심한 과수원에서는 과실수확 후 적용약제를 살포하여

      방제하도록 한다.


2 병해충 발생정보 
□ 배 검은별무늬병 : 예보
  ○ 최근 잦은 강우로 말미암아 가을철에 배 검은별무늬병원균의 감염이 확산되어 내년도 병 발생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므로 금년 봄철 병발생량이 많았던

      곳은 주의 깊은 관리가 필요
  ○ 9월부터 인편부위에 병원균의 감염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 시기 감염이 많을수록 내년도 봄에 검은별무늬병이 많이 발생할 수 있음
   ☞ 금년도 피해가 많았던 과수원은 배 수확 후 10월말까지 기상여건을 고려해 적용약제로 1~2회 방제를 고려
□ 단감․배․포도 등 미국선녀벌레 : 예보
  ○ 기주의 나뭇가지 밑에 산란하고 3월경 부화하여 약 60∼70일 후 성충이 되고 알로 월동하며 1년 1세대임
  ○ 기주식물을 흡즙하여 피해를 주고 바이러스를 매개함(알은 수피에 산란, 90개/마리)
  ○ 단감과 배 등의 과수에서 즙액을 빨아먹고 왁스물질과 감로를 배출하여 상품성 저해 등의 피해발생
  ☞ 작물별 등록된 약제 중 노린재, 깍지벌레, 꽃매미 등 방제약제로 과원주변 지역까지 공동방제 실시(적용약제 직권등록시험 추진 중)
<미국선녀벌레 약충>  


       <성충 우화 직후>  

 

        <미국선녀벌레 성충> 

 

 

Ⅵ 화훼

  
  ○ 낮과 밤의 온도 변화가 심한 시기에는 장미 노균병, 흰가루병, 국화 흰녹병(白銹病) 등이 많이 발생하게 되므로 환기관리를 잘하고 예방위주로 적용 약제를

     살포하여 방제한다.
  ○ 겨울철 개화를 위한 국화는 전등 조명으로 일장을 조절하며 전등위치는 식물체 위 90cm 정도로 하고 100w전구를 10~13㎡당 1개씩 설치한다,
     10월 하순까지 전조는 계속 해주며 심야에 3~4시간 조명한다
  ○ 글라디올러스 억제재배 작형은 수확시기로서 4~5번화까지 물들고 1번화가 피기전에 수확한다.
  ○ 심비디움은 기온이 떨어지고 환기가 안 될 때 흑반병이 생길 수 있으므로 예방을 철저히하고 차광을 제거한다.
  ○ 온시디움은 가을처럼 주야간의 온도교차가 심할 경우 새 벌브에서 전개되는 잎이 융단처럼 포개져 주름이 생길 수 있으므로 온도관리에 유의한다.
  ○ 카네이션 고랭지재배 농가는 절화수확기로서 스탠다드계는 30%정도 개화했을때, 스프레이계는 1,2번화 개화시 수확 하도록 하며 절화위치는

      꽃봉오리에서부터 8마디째에서 한다
  ○ 단풍나무, 왕벚나무, 명자나무 등 화목류는 옮겨심기를 하고, 모란은 접목을 실시하도록 한다.
  ○ 국화 전조가 끝난 하우스 포장은 측아가 미숙한 꽃눈이 되어 정상으로 개화하지 못하는 버들눈 발생이 예상되므로 지나친 고온 또는 저온이 되지 않도록

      관리한다.


Ⅶ  특용작물


1 버섯재배와 약초 수확 
  ○ 요사이는 밤과 낮의 기온 차가 매우 크므로 느타리버섯은 품종별 특성에 맞는 환경조건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보온․가습시설을 보완하여 주도록 하고,

      환기와 빛 조절을 잘하여 품질이 좋은 버섯이 생산되도록 한다.
  ○ 겨울철에 느타리버섯을 재배하려는 농가는 종균, 배지 등을 사전에 확보하도록 하여 작업일정에 차질이 없도록 한다.
  ○ 수확기에 있는 약초는 맑은 날을 택하여 수확하도록 하고 수확하는 즉시 정선을 잘하여 비닐하우스나 건조기를 이용하여 말리도록 하며, 말릴 때는 알맞은

      온도로 조절하여 질 좋은 약재를 생산하도록 한다.


2 뽕나무 심기 
  ○ 뽕나무를 새로 심을 때는 가급적 비옥한 밭에 심도록 하고 누에를 기를 때 공해가 우려되는 지대는 피하도록 하며 겨울에 동해가 우려되는 지역은 이른 봄

      싹트기 전에 심는 것이 안전하다.
  ○ 뽕나무 밑거름으로 10a당 퇴비 2,000㎏이상과 석회 200~300㎏을 반드시 주어야 하므로 심을 장소 가까운 곳에 미리 운반해 둔다.
  ○ 초밀식 뽕밭은 척박한 밭에서 다수확이 가능하고 기계화 관리에 알맞은 방법으로 이랑사이 1.2m, 그루사이 0.4m로 10a당 2,080주를 이랑별 한 줄로 심는다.

      또한 지형에 따라 2~4열마다 넓은 작업통로를 설치하도록 한다.


Ⅷ 축산


1 가축 사양관리 
  ○ 볏짚은 매우 중요한 조사료자원 중의 하나이므로 1년 동안 안정적으로 먹일 수 있도록 충분한 양의 볏짚을 확보, 안전하게 보관하도록 한다.
  ○ 볏짚은 비를 맞으면 기호성과 영양가치가 많이 떨어지므로 습기에 노출되지 않도록 신속히 수거하여 잘 보관하도록 하는데 암모니아처리 또는

      곤포담근먹이를 만들어 보관성과 사료가치를 높이도록 한다.
  ○ 외부기온이 떨어지면서 원유 관리에 소홀해지기 쉬우므로 착유 전ㆍ후 가축위생과 원유관리에 주의를 기울여 품질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 밤에 기온이 많이 떨어지고 있으므로 어미돼지의 야간 분만에 대비하여 보온등을 켜 주도록 하며, 갓 태어난 새끼돼지는 추위에 매우 약하므로 보온을

      잘하여 34℃ 정도를 유지시켜 주되 젖 떼는 시기에 22~25℃가 유지되도록 점차 온도를 낮추어 관리한다.
  ○ 병아리를 사육하기 좋은 환경조건이 되므로 병아리 입식을 서두르도록 하고, 알을 낳는 닭의 경우에는 병아리 때 부리를 잘라 주어 사료의 손실을 방지하도록

      한다.
 

2 초지 사료작물 관리 
  ○ 목초는 기온이 5℃가 되면 생육이 멈추게 되므로 10월 중순까지 풀베기와 방목을 마치도록 하고, 풀의 길이를 10~15㎝ 정도 남기도록 하며 마지막 풀을

      수확한 후에는 ha당 60~70㎏의 칼리비료를 주도록 한다.
  ○ 일찍 파종한 호맥과 이탈리안 라이그라스는 너무 웃자란 상태로 겨울을 나지 않도록 적당한 높이로 예취를 해주거나 방목을 시키고, 아직 파종을 하지 않은

      농가는 가능한 10월 중순까지는 파종을 마치도록 하여 월동력을 높이도록 한다.
  ○ 사료용 청보리 파종시기가 경기북부는 이달 상순, 중부지역은 중순, 남부지역은 하순경이므로 적기 내에 씨를 뿌리고 배수구를 설치해 습해를 받지 않도록 한다.


3 가축 위생관리  
  ○ 일교차가 커짐에 따라 설사병 및 호흡기질병 발생이 우려되므로 예방을 위하여 한낮에는 햇빛을 차단해 주고 밤에는 어린 가축의 체온이 급격히 떨어지는

     것을 막기 위하여 송아지 방을 설치해 주고 깨끗한 깔짚을 깔아 주는 등 보온관리에 유의한다.
  ○ 돈열 예방을 위하여 정기적으로 축사안팎을 소독하고 평상시 외부인이 축사에 들어오지 못하도록 통로를 차단하며, 가축을 관찰하여 전염병이 발견되면

      방역당국에 즉시 신고해야 한다.
  ○ 소 브루셀라병과 결핵병 및 광견병의 예방을 위하여 쥐나 새 등 야생동물이 드나들지 못하도록 하고 정기적으로 가성소다 및 페놀 등으로 축사를 소독하며

      자주 혈청검사를 받아 감염된 소가 발견될 때에는 즉시 도태해야 한다.
  ○ 조류인플루엔자, 닭 뉴캣슬병과 가금티푸스 예방을 위해서 양계장 출입자와 차량 및 야생조수에 대해 철저한 차단방역을 실시하고 예방프로그램에 따라

      백신을 접종한다.
  ○ 가축분뇨 퇴비장에는 적량의 수분 조절재를 혼합하고 액비 저장탱크에는 발효제 첨가와 폭기를 잘하여 악취가 완전히 제거되고 부숙된 후에 액비를

      이용하도록 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