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깨는 옛부터 우리 식생활과 매우 밀접히 관련되 어온 기름작물로서 1981년 수매가 예시제 실시 이후 재배면적이 증가하여 1987년 최고 9만4천㏊까지 재배되었으나 농촌 인력의 노령화, 노동력부족 등으로 점차 감소하여 1995년에는 5만 ㏊선에서 정체되고 있다. 게다가 가공식품 등의 발 달로 인한 소비는 급증하고 있는 반면 국내생산은 감소하여 자급률은 50%선을 하회하고 있다. 참깨의 가격과 소득은 안정적이고 높아서 농민들이 재배하고자 하는 의욕은 있으나 파종부터 수확까지의 재배 전과정이 인력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어 노 동력의 수요가 많을 뿐 아니라 농업인의 노령화, 노임상승 및 농촌인력의 부족 등으로 재배를 포기하는 농가가 늘어나고 있다. 더욱이 UR타결로 2004년까지는 종가세(700%) 또는 종량세(7,400원/kg)를 수입참깨에 부과할 수 있고 국내 총수요(약 7만톤)중에서 기본 과세(40%)로 도입할 수 있는 6,700톤을 제외한 6만여 톤은 종가세 또는 종량세를 부과할 수 있으므로 현재 연간 약 3만톤에 달하는 국내생산량을 앞으로 6만톤까지 끌어 올려 자급할 수 있다면 국내수요의 충족과 동시에 농가소득 향상이 라는 두 가지 목표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1. 생산비 절감을 통한 경쟁력 확보
    우리나라 참깨 재배는 기계화가 전혀 이루어져 있 지 않은데 참깨 생산비중 노력비가 64%를 차지하고 있어 생산비를 절감하기 위해서는 노력비 감축이 핵심이다. 작물 시험장에서 생산성을 높이고 노력을 절감코자 무피복 기계화 일관체계 기술을 개발하였는데 이 기술은 트랙터 줄뿌림기 → 트랙 터 중경배토기(제초 및 배토효과, 도복방지) → 예취결속기 → 탈곡기 → 선별기 → 자동포장기를 투입하였는데 일반적으로 관 행은 10a당 123시간의 노력이 필요한 반면 무피복 기계화 일관체계 기술은 10a당 27.2시간으로 약 78%의 생력효과를 볼 수 있었다. 또한 참깨 종자의 코팅화 기술(약제 포함)이 실용화 단계에 이르고 있어 기계파종이 가능하고 솎음 노력이 들지 않는 적정 입모수 확보, 병해충 예방도 동시에 할 수 있을 것이다.
     
 
표 1. 무피복 기계화 일관체계의 생력 효과
(단위 : 시간/10a)
   

처리

비닐
피복 

제초제
살포 

파종

제초및
솎음 

예취
결속 

탈곡

선별

기타
(경운방제등) 

지수

무피복기계화
일관체계

관행

-

8.0 

0.6

0.3

20.5

0.6

21.0 

2.2

33.0 

2.3

15.1 

1.2

5.4

20.0

20.0

27.2

123.0 

22

100 

-0.8 

+0.6

-20.3

-20.4

-30.8

-12.8

-4.2

±0

-95.8

-78

   
    기계화 재배에는 내탈립성 품종이 필수적인데 아래 그림을 보면 꼬투리가 벌어져 있는데도 탈립이 되지 않는 참깨가 개발되어 있으나 숙기가 늦 은 것이 그 흠이다.
  또한 내탈립성품종 파종기와 콤바인 작업체계가 조만간에 확립될 것으로 보이며 이 시기에는 대 면적으로 생력기계화 재배를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림 1. 내탈립 품종을 콤바인으로
수확하는 모습
   
  2. 품지로서 경쟁력 확보
    최근 국민소득 및 경제적인 향상으로 소비자들은 양보다는 질을 선택함으로서 참깨는 참기름과 햄버거, 참깨죽, 참깨과자 등 가공식품개발과 외식산업의 발달로 소비는 급 증하고 있다. 더욱이, 최근 참깨에 고급 불포화지방산과 리그난계 화합물인 세사민, 세사몰린, 세사몰 등의 항산화성 물질이 노 화억제, 성인병 예방과 항암작용 효과가 있다는 최근의 연구결과에 따라 소비물량은 물론 수입량도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수 입산깨와 국산깨의 성분분석을 하여 비교해 보면 기름이나 단백질함량이 높고 수입깨에서는 특히 BHC, DDT 등 일부 발암성분이 검출되어 먹거리 안정성 측면에서도 소비자는 국산을 선호하고 있다. 국산 참깨의 고소한 맛이나 향기 등에 대한 인식이 자리잡 혀 있어 국산참깨를 고가라도 찾는 사람이 늘고 있어 수익성은 더욱 높아질 것이다.
   
 
표 2. 국산깨와 수입산깨의 성분분석 비교(식개연 )
(단위 : %)
 
구분 기름 단백질
함유율 양질지방산 단백질 필수아미노산
국산참깨
수입참깨
49~53
47~52
88.0(48.1)
83.7(44.7)
22.3
20.1
8.87
8.52
+3 +4.3(+3.4) +2.2 +0.35
  주) ( ) 필수지방산 리놀산
   
 
 
그림 2. 참깨에서 신기능성 물질인 세사몰린을 추출하여 개발한 시제품
   
  3. 품질차별화에 의한 경쟁력 확보
    내탈립, 다수성 품종인 수원 151호와 수원 152호는 보통 참깨(재배기간 3~4개월)에 비해 만생종이어서 우리나라 조건에 맞지 않은데 숙 기가 빠르고 수량이 많은 내탈립성 품종이 조만간에 육성될 전망이다. 또한 수입산과의 품질차별화를 위한 양질의 품 종을 육성함에 있어서 가공 등 특수용도의 양질 검정깨(건흑깨, 양흑깨, 경북1호)가 개발되어 보급중에 있는데 이들 품종은 양질지방 산이 많고 항산화물질의 함량이 높은 품종이다.
   
출처 : 시골로 간 꼬마
글쓴이 : 이명희 원글보기
메모 :

'밭작물재배 > 참깨.들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참깨재배-윤작의 효과  (0) 2007.03.22
들깨 재배법  (0) 2007.03.21
참깨재배  (0) 2007.03.15
[스크랩] 잎들깨 재배(펌)  (0) 2007.03.15
[스크랩] 들깨 재배방법  (0) 2007.03.1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