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작의 효과
 
기관 : 작물과학원
 
성명 : 김동휘
 

전화 : 031-290-6724

           
  1. 참깨의 연작장해
  참깨 연작시 연작연수가 증가할수록 참깨의 수량은 감소하여 1년 재배시 77㎏/10a에 비하여 3, 5년 연작시 각각 34, 49% 감소하여 수량의 감소폭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표 1. 참깨의 연작에 의한 수량 감소(경기 : 1982~1986)
 
재배년수 수량(kg/10a) 수량지수 수량감소율(%)
1년차 재배
3년 연작
5년 연작
77
51
39
100
66
51
0
34
49
     
    또한 연작지에는 참깨 병해발생이 증가하는데, 그 원인은 참깨에서 문제가 되는 병들은 토양전염성 병으로 작물의 연작시 토양내 병원균 밀도가 증가하고 연속된 재배에 의해 병이 다발할 위험이 있다. 참깨 연작토양에서 병원균의 밀도는 높았으나 참깨-땅콩이나 참깨-육도 윤작토양에서는 낮았다. 이와 같은 결과는 같은 작물을 연작하면 토양내 병원 미생물상이 증가되어 결국 기주식물에 큰 피해를 준다는 기존의 연구결과를 대변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표 2. 참깨 연·윤작에 의한 병해 발생
 
작 부 체 계
시들음병*
(%)
Fusarium oxysporum 밀도(토양 1g당)**
5월30일
6월30일
7월30일
8월30일
참깨-참깨-참깨-참깨-참깨
참깨-육도-참깨-육도-참깨
참깨-참깨-육도-육도-참깨
참깨-육도-육도-육도-참깨
참깨-땅콩-참깨-땅콩-참깨
참깨-참깨-땅콩-땅콩-참깨
참깨-땅콩-땅콩-땅콩-참깨
49.9
25.6
22.6
17.6
21.6
21.5
20.5
10³×6.1
  2.0
  4.1
  3.8
  1.0
  1.7
  1.0
10³×10.1
  5.8
  7.3
  4.9
  6.8
  7.5
  3.9
10³×6.6
  4.4
  6.4
  4.4
  4.8
  4.8
  3.8
10³×7.3
  4.5
  7.3
  5.0
  4.8
  4.9
  4.1
  주 : 1) *이병주율, 2)**참깨 시들음병을 일으키는 병원균
   
  2. 윤작의 효과
    땅콩과 육도를 도입한 참깨 윤작재배시 참깨 연작에 비하여 이병주율이 낮고 주당 삭수가 많아져 참깨 종실수량이 20~57% 증수하였다.
   
  표 3. 윤작에 따른 참깨의 수량 및 병해(경기 : 1982~1986)
 
작부체계 꼬투리수
(개/주)
등숙률
(%)
이병주율
(%)
수량(kg/10a)
종실중 지수
참깨-참깨-참깨-참깨-참깨
참깨-육도-참깨-육도-참깨
참깨-참깨-육도-육도-참깨
참깨-육도-육도-육도-참깨
참깨-땅콩-참깨-땅콩-참깨
참깨-참깨-땅콩-땅콩-참깨
참깨-땅콩-땅콩-땅콩-참깨
62
73
76
77
76
76
78
52
57
58
61
61
63
65
50
26
22
18
21
22
21
39.9
46.8
50.5
59.8
49.1
53.8
61.1
100
120
130
154
126
138
157
     
    토양의 화학적 성질과 더불어 작물생산의 기반으로서 중요한 토양의 물리성은 토양입자의 크기, 표면적, 함유된 유기물의 양과 성질 등에 따라서 달라지게 된다. 참깨의 윤작에 따른 토양물리성 중 가밀도는 자연상태인 토양의 비중으로 토양구조를 반영하고 공기유통이나 물의 저장능력 등을 나타내는데 참깨 연작구의 가밀도가 콩·옥수수·보리·호밀을 도입한 윤작구보다 높게 나타났다. 참깨 연작구의 가밀도가 높다는 것은 결국 토양 중 공극량이 적어 공기 유통이나 물의 저장능력이 악화되어 지하부 환경이 불량해짐으로서 뿌리의 신장이 억제되어 작물생육에 불리한 결과를 가져왔음을 의미한다.
     
  표 4. 참깨 연·윤작에 따른 토양의 물리성(작시 : 1995~1997)
 
작부체계 가밀도(g/㎤)
공극률(%)
             참깨연작
             옥수수-참깨 윤작
             콩-참깨 윤작
             보리+참깨 윤작
             호밀+참깨 윤작
1.49
1.41
1.37
1.30
1.32
43.9
47.5
49.7
51.2
51.6
     
 
 
그림 1. 참깨 연·윤작에 따른 토양의 미생물체량
(작시 : 1995~1997)
주) CS : 참깨연작, MS : 옥수수-참깨, SbS : 콩-참깨, BS : 보리+참깨, RS : 호밀+참깨윤작
   
    참깨 윤작이 토양내 미생물체량(Soil microbial biomass)에 미치는 영향을 보면 참깨 연작구의 미생물체량이 윤작구에 비해서 현저히 낮게 나타났다. 토양의 미생물은 토양내 생화학 반응을 촉매하여 물질순환에 주된 역할을 하고 있으며, 그 자체로서도 양분의 저장고인 동시에 공급원의 기능을 하는 등 토양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참깨 연작구에서 그 양이 적었던 것은 같은 작물을 오랜 기간 같은 장소에서 재배함으로서 작물이 분비되는 물질이 단순화되어, 그와 관계가 깊은 미생물이 단순화되고 점진적으로 수의 감소를 가져왔기 때문으로 추측된다. 이와 같이 윤작은 작물의 생산환경의 근간이 되는 토양환경을 개선시켜 줌으로서 작물의 지속적인 생산환경을 유지하는 점에서 의의가 깊다고 하겠다.
     
  참 고 문 헌
 
 

경기도시험연구보고서. 1982~1986. 참깨 윤작체계 시험.
농촌진흥청. 1990. 최신 참깨·땅콩 재배기술.
작물과학원시험연구보고서. 1995~1997. 작부체계에 따른 참깨 기지현상 경감 효과.

'밭작물재배 > 참깨.들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이러스병  (0) 2007.03.22
종자 소독방법  (0) 2007.03.22
들깨 재배법  (0) 2007.03.21
[스크랩] 참깨의 수익성  (0) 2007.03.18
참깨재배  (0) 2007.03.1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