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콩(작두콩)의 특성과 일본·대만의 재배법
 
기관 : 작물과학원
 
성명 : 유용환
 
전화 : 031-290-6685
           
  1. 원산지 및 내력
    가. 원산지
      칼공(Canavalia gladiata (Jacq.) DC)은 열대아시아가 원산지로 열대 및 아열대지역(아프리카, 아메리카, 아시아, 오스트랄리아)에 널리 분포하며 특히 인도에서 많이 재배되고 회교도가 많이 이용한다. 야생종은 인도에서는 발견되지 않으나 서아프리카~필리핀에 걸쳐 분포하고 있는 야생의 덩굴성 식물 Canavalia virosa Wightel Arn 으로부터 분화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나. 내력 및 재배역사
      동아시아에서는 비교적 오래 전부터 재배되어 오다가 17세기 유럽인에 의하여 서부인도 및 일본에 동시에 소개되었다. 중국에서는 식물본초(食物本草, 12~13세기)에 칼콩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다. 일본에서는 강호(江戶)시대 초기에 도입된 것으로 추정되며 다식편(多識編, 1630)에 기록이 있다.
  칼콩은 인도에서 많이 재배되며 중국에서는 화남지방에 재배된다. 일본에서는 소규모로 재배되고 있다.
   
    다. 용도 및 이용
      칼콩은 피복작물, 사료작물, 채소로 이용된다. 어린 푸른 꼬투리는 인도, 미얀마, 스리랑카와 동아시아에서 채소로서 널리 이용된다. 백색 종피 계통은 잠두의 대체품으로 충분히 자란 종자를 꼬투리에 든 채로 요리하고 식용한다. 칼콩 종자는 소금물로 두 번 교체하면서 철저하게 삶는다. 시험적으로 소량을 먹어 보며, 만약 설사 또는 두통과 같은 해작용이 없으면 다량을 대체 식품으로 먹을 수 있다. 아시아에서는 하룻밤 침지하고 중탄산나트리움이 든 물로 연해질 때까지 끓이고 씻어내며 새물로 끓여서 카레나 으깬 감자와 같이 사용하기 위하여 두드린다. 볶은 종자는 커피대용품으로 이용한다.
  일본에서는 어린 꼬투리를 주로 복신지(福神漬)하거나 박지(粕漬), 미쟁지(味·漬)의 재료로 이용된다. 또한 근년에는 개화직전의 신선한 꽃을 초지(醋漬, 식초에 침지)하여 적색 또는 녹색으로 염색한 것을 마른안주로 이용한다. 완숙한 종자는 사포닌을 함유하고 유독하므로 소금물이나 물로 여러 번 교체하여 삶는 것이 안전하다. 삶은 콩이나 금단(金·으깬 콩이나 고구마 등에 밤 등을 넣은 식품)을 만들거나 또한 고기와 삶으면 맛이 좋다.
  분홍색 종자는 전통 한약으로 사용된다. 효능과 주치대상을 보면 온중하기(溫中下氣), 익신박원(益腎撲元), 허한구역(虛寒嘔逆), 구토복장(嘔吐腹腸), 신허요통(腎虛腰痛), 담천(痰喘)을 치료하고 항종양작용이 있다.
  선칼콩은 인도네시아에서 담배전작의 녹비작물로 재배되고 말레이시아, 미국 동남부, 하와이 및 열대 아메리카의 트리니다드와 푸에르 토리코에서는 피복작물로 많이 재배된다. 선칼콩은 녹색으로 칼콩에 비하여 꼬투리가 연약하고 향미가 강하다. 꼬투리는 성장시 신선한 콩을 채소용으로 건조 종자는 식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종자중에 있는 canavalin의 독소 HCN이 있어 설사, 구토를 야기하므로 반드시 삶아 익힌 후 물 속에 2~3시간 담근 후 외피를 제거하고 식용으로 가능하다. 선칼콩 응집소는 각종 암치료제에 기인한 변형세포, 인체 임파선 세포의 변형에 대하여 응집이 가능하나, 상응한 세포의 독성은 생산하지 않으며 또는 기타 PHA에 기인한 세포독성에 대한 억제가 가능하고 항암작용이 있다.
   
  2. 성상
    가. 형태적 특성
      (1) 잎과 줄기
        일반으로 덩굴성이나 그렇지 않은 품종도 일부 볼 수 있다. 본래는 다년생이나 온대지역에서는 1년생 작물로 취급한다. 덩굴성인 것은 초세가 강하여 경장이 4~5m에 달한다. 분지는 비교적 적고 개체당 2~3개가 있다. 엽신은 3소엽이 복엽을 이루고 엽병은 엽신부분보다 짧은 특징이 있다. 소엽은 길이가 10~18㎝, 폭이 6~14㎝ 정도이고, 모용이 약간 있으며(glabrescent : 微毛), 엽선은 끝으로 갈수록 점차 뽀족하여지는 점첨두(漸尖頭, acuminate)로 꼭대기에서는 끝이 짧다.
     
      (2) 화기
        꽃은 크고 길이가 3.5㎝ 전후로 희거나 분홍색으로 아름답다. 주로 자가수정을 하나 충매에 의한 것도 20%정도이며, 때로는 그 이상의 타식율을 보인다. 꼬투리는 약간 만곡하며 모서리가 도출한다. 길이는 15~25㎝, 폭 3~5㎝이며 성숙하면 굳어지게 되고 내부는 면상(綿狀)백막조직에 종자가 들어 있다.
     
     
     
그림 1. 칼콩(작두콩)재배광경
   
      (3) 종자
        꼬투리에는 종자가 8~16개 들어 있고, 홍색이나 때로는 백색을 띠며 길이는 2.5~3.5㎝, 배꼽은 암갈색으로 길이가 2.0~2.5㎝로 아주 길고, 백립중은 180~240g이며, 입형은 장타원형이다. 발아양상은 콩과 같이 지상발아형(epigeal germination type)이다.
     
    나. 영양적 특성
      어린 꼬투리의 성분은 수분이 89.0%, 단백질 2.4%, 지방 0.14%, 탄수화물 5.3%, 섬유 및 무기질 3.2%로 동부, 강낭콩과 큰 차이가 없다. 종자 100g당 단백질 함량은 27.4%, 지방 2.9%, 탄수화물 66.1%, 섬유 8.3%, 회분 3.6%이다.
     
    표 1. 칼콩 종실의 주요 영양 성분 (100g당 성분, J.A. Duke : 1981)
   
열량
(kJ)
수분
(%)
단백질
(g)
지방(g) 탄수화물(g) 섬유
(g)
회분(g) 칼슘
(mg)

(mg)

(mg)
비타민B₁(mg)
비타민B₂(mg) 비타민
PP(mg)
1628 1.12 27.4 2.9 66.1 8.3 3.6 177 334 7.8 0.87 0.17 2.02
     
    표 2. 칼콩의 8종 필수 아미노산함량 (J. A. Duke : 1981)
   
단백질
(%)
라이신
(g/16g N)
메치오닌
(g/16g N)
쓰레오닌
(g/16g N)
로이신
(g/16g N)
이소로이신
(g/16g N)
페닐알라닌
(g/16g N)
발린
(g/16g N)
30.0 5.1 1.0 3.9 6.4 3.5 4.0 4.0
       
  3. 재배법 (일본, 대만의 예)
    가. 재배 개요
      (1) 작형의 분화
        재배면적이 매우 적어서 작형의 분화도 없다. 고온을 좋아하는 작물이므로 촉성, 반촉성 작형은 성립되지 않는다. 만상을 두려워 할 때는 직파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는 약간 빨리 파종하여 육묘, 이식재배한다.
       
      (2) 산지상황과 적지조건
        현재 작부가 거의 되지 않으나, 복신지(福神漬)의 재료 또는 박지(粕漬)의 재료로 계약 재배되고 있다. 생육이 왕성하며, 관동 이서에서는 재배가 가능하므로 판매 경로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나. 품종 특성
      (1) 일본
        백화(白花)계와 적화(赤花)계(자홍색)가 있으며, 백화계는 주로 종실을 채소로 이용하고 적화계는 꼬투리용이다. 품종의 분화는 거의 없다.
       
      (2) 대만
        적도두, 백도두, 하와이종이 있다. 적도두는 종실이 크고 홍색이며, 꽃은 자홍색이고, 꼬투리는 크고 녹색이며, 품질은 다소 양호하고, 절임용이다. 백도두는 종실이 크고 백색이며, 꽃은 백색이고, 꼬투리는 녹색이고 품질은 양호하며 절임용이다. 하와이종은 종실이 작고 백색이며, 꽃도 백색이고, 꼬투리는 작고 품질은 양호하며, 절임용 또는 삶아서 식용으로 이용한다.
       
    다. 생육경과와 재배 요점
      (1) 재배환경
        칼콩은 비교적 내한발성이고, 다른 두과작물에 비하여 내염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열대원산이어서 고온을 좋아하고 25℃ 전후의 기온이 적합하다. 광범위한 토양에서 생육할 수 있어 양토에서 사질토까지도 적합하다. 중점토에서는 종자가 굵어 발아시 호흡량이 많아 발아가 나쁘게 된다. 약간 산성을 좋아하여 pH 5.0~7.1에서 재배가 가능하다.
       
      (2) 파종 및 육묘
        일본에서는 노지에 직접 파종할 경우 파종기는 만상의 우려가 없는 4월 중순에서 5월 상순이며, 하우스에서 육묘하는 경우에는 3월 상순~4월 중순이다. 자엽과 초생엽이 특히 크므로 육묘할 때 파종밀도에 주의한다. 대만에서는 일반적으로 4~5월에 파종하며, 직파 또는 묘상에 파종한다. 파종 후 얇게 복토하거나 부숙퇴비를 덮는다. 약 7~15일경에 출아한다. 종자의 발아연한은 3년이다.
       
      (3) 시비
        시비량은 까치콩에 준한다. 10a당 질소 1㎏, 인산과 칼리 1.5㎏내외를 준다. 전작에서 다비를 했거나 비옥한 토양에서는 질소를 주지 않는다.
       
      (4) 정식및 관리
        정식적기는 제 2본엽 전개기이며 파종 후 25일 전후에 해당한다. 이 보다 지연되면 이식에 따른 손상이 심해 주의하여야 한다. 재식밀도는 일본에서 휴폭을 120㎝내외로, 주간 80㎝내외로 한다. 덩굴이 신장하므로 지주를 240㎝ 높이로 세우고 적당한 높이에서 적심한다. 대만에서는 휴폭 75㎝, 주간거리 36㎝로 하여 본엽 2~3매시 정식한다. 시비량은 까치콩에 준한다. 10a당 질소 1㎏, 인산과 칼리 1.5㎏내외를 준다. 전작에서 다비를 했거나 비옥한 토양에서는 질소를 주지 않는다.
       
     
     
그림 2. 칼콩(작두콩)의 수확후 건조 광경
       
      (5) 수확
        8월 상순부터 수확이 가능하다. 꼬투리는 10~15㎝이면서 부풀고 거칠어지기 전에 수확한다. 적기가 되면 고투리가 급격히 경화되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종자는 꼬투리가 성숙되면 수확한다. 과숙하면 꼬투리가 떨어지게 된다. 미숙종자는 파종후 3~4개월만에 수확 가능하고 성숙된 종자는 8~10월에 수확된다. 수량은 사료용은 녹체로 40~50MT/㏊이며, 종실수량은 700~900㎏/㏊이다.
       
  참 고 문 헌
   
  成河智明. 1988. 農業技術大系 野菜編 10 : ナタマメ. 社團法人 農山漁村文化協會. 日本. 基11-13.
黃涵. 1992. 豆類蔬菜. 刀豆. 豊年社. 臺灣. 41-43.
胡家蓬. 1994. 中國作物遺傳子源. 食用豆類. 中國農業出版社. 中國. 256-276.
Duke. J. A. 1983. Handbook of legumes of world economic importance. Plenum Publishing Corporation. New York. USA. 41-43.
Purseglove, J. W. 1968. Tropical crops. Dicotyledons 1. : Lguminosaeo John Wiley and Sons, Inc. New York. 245-24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