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콩(작두콩)의 파종기 및 재식거리
 
기관 : 충청북도농업기술원
 
성명 : 이재웅
 
전화 : 043-229-2670
           
  1. 파종기
    가. 파종기에 따른 개화요소일수
      파종기가 3월 25일에서 5월 5일로 늦어짐에 따라 개화일수는 4~28일 단축되었는데 밤의 기온 상승 때문으로 생각된다. 광에 노출된 콩의 종자는 낮의 기온에 관계없이 밤의 높은 기온이 개화 및 협의 형성을 촉진하는데 이와 같은 결과, 칼콩의 개화는 일장보다 온도에 더욱 민감하게 반응함을 알 수 있었다.
   
   
   

그림 1. 파종기에 따른 개화소요일수

   
    나. 파종기에 따른 지상부 생육상황
      경장은 파종기가 늦어짐에 따라 43~89㎝ 감소하였는데 이는 생식생장기에 접어듦에 따라 영양생장이 억제된 결과로 생각된다. 주경절수는 4월 25일 파종기에서 가장 많았으며 개체당 분지수는 4월 15일 까지는 증가하였으나 그 이후로는 파종기가 늦어짐에 따라 감소하였다. 경태는 대체적으로 4월 5일 파종구까지는 증가하다 그 이후의 파종기에서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표 1. 파종기에 따른 작두콩의 지상부 생육상황
   
파종기(월.일)
경장(cm) 주경절수 분지수 경태(cm)
3.25
4. 5
4.15
4.25
5. 5
337
294
291
286
248
24
24
24
27
25
3.2
3.7
3.7
2.9
2.4
9.1
9.2
8.8
8.0
7.5
       
    다. 파종기에 따른 수량구성요소 및 수량
      개체당 협수 및 입수도 4월 5일 파종까지는 증가하였으나 그 이후 파종이 늦어짐에 따라 감소하였는데 탈협이 야간의 저온조건에서 심하게 유발되며 개화가 늦어짐에 따라서도 유발된다는 보고와 일치하였다. 개체당 입수는 파종기가 가장 늦은 5월 5일 파종구에서 가장 적었는데, 이는 입비대시의 탈립에 기인된 것으로 생각된다. 개체당 입수의 증가는 개체당 협수의 증가 및 협당 입수의 증가로 인하여 이루어졌다. 100립중은 파종기가 늦어짐에 따라 4~19g감소하였는데 이와 같은 결과는 100립중이 생육기간과 높은 상관관계가 있다는 보고와 일치되는 경향이였다. 10a당 수량은 4월 5일 파종구에서 307㎏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개체당 입수의 증가가 직접적인 수량증가를 가져왔기 때문이었다. 이와 같은 결과, 비닐하우스에서 칼콩 재배시 적정파종기는 4월 상순으로 판단되었다.
       
    표 2. 파종기에 따른 수량구성요소 및 수량
   
파종기
(월.일)
협수
(개/개체)
입수
(개/개체)
100립중
(g)
수량
(㎏/10a)
지수
3.25
4. 5
4.15
4.25
5. 5
7.2
6.9
6.6
5.9
5.4
44.6
49.7
46.6
42.9
41.3
247
243
238
234
228
299
307
283
263
244
106
108
100
  93
  86
       
  2. 적정 재식거리
    가. 재식거리가 지상부 생육에 미치는 영향
      재식거리가 넓어짐에 따라 경장은 길어지는 경향이었다. 주경절수는 재식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개체당 분지수도 0.1~0.5개 증가하였다. 유한신육형 콩의 경우에도 같은 경향이며 ㎡당 63개체에서 33개체로 감소함에 따라 분지수가 2.8~1.6개 증가한다는 보고와도 일치하였다. 경태는 재식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0.3~0.6㎜굵어졌다.
       
    표 3. 재식거리에 따른 지상부 생육상황
   
재식거리
(휴폭×주간㎝)
경장
(㎝)
주경절수
(개)
분지수
(개/개체)
경태
(mm)
60×30
60×40
60×50
90×30
90×40
90×50
292
297
301
305
307
310
23
24
26
25
26
27
3.4
3.5
3.7
3.6
3.7
3.9
8.6
8.9
8.9
8.9
9.1
9.2
     
    나. 재식거리에 따른 수량구성요소와 수량
      개체당 협수는 재식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0.5~3.5개 증가하였고 개체당 입수도 7.8~28.4개 증가하였으며 100
립중도 무거운 경향을 보였다. 재식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경장, 분지수, 경태 및 수량구성요소에서 증가를 보였으나, 10a당 종실수량에서는 휴폭 60㎝, 주간 30㎝에서, 가장 많은 개체수의 확보로 인하여 283㎏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무한신육형이 유한신육형에 비하여 절수, 입수, 100립중의 주경 의존도가 크며, 따라서 밀식조건에서 많은 수량이 가능하다는 보고와 일치하였으며 비닐하우스에서 칼콩 재배시 적정재식거리는 60×30㎝가 적당하다고 판단되었다.
     
    표 4. 재식거리에 따른 수량구성요소 및 수량
   
재식거리
(휴폭×주간㎝)
협수
(개/개체)
입수
(개/개체)
100립중
(g)
수량
(㎏/10a)
지수
60×30
60×40
60×50
90×30
90×40
90×50
6.2
6.7
6.7
7.4
9.1
9.7
40.8
47.0
54.8
48.6
62.7
69.2
234
238
239
234
240
244
283
276
252
260
244
229
103  
100  
91
94
88
83
     
  참 고 문 헌
   
  김홍식 외. 한작지. 35(1).
______ 외. 한작지. 38(2).
박금용 외. 한작지. 32(4).
박승의. 1970. 강원농시보고서.
이장우 외. 1977. 경기농시보고서.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