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재배과정 > 톱밥재배
  표고톱밥재배는 표고원목재배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재배방법으로써 주목되고 있다. 세계적으로 표고의 주요 생산국인 중국, 대만, 일본 등도 많은 양의 표고를 톱밥재배방법으로 생산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톱밥재배의 비중이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
⊙ 자원 절약
... 원목재배는 참나무 원목만 사용할 수 있으나 톱밥재배는 참나무 가지 및 다른 활엽수, 폐골목도 사용이 가능하다.

⊙ 노동력 절약
  - 배지무게가 가벼워 고령자 및 부녀자도 취급이 가능하다.
  - 원목은 10∼15Kg/본, 톱밥배지는 1.5∼3Kg/개
  - 원목재배는 발생작업 등에 많은 노동력이 필요하나 톱밥재배는 노동력이 적게 소요된다

⊙ 공간 절약
  원목재배는 평면재배 방식이므로 넓은 면적이 필요하나 톱밥재배는 다단식 재배방식이 가능하여 재배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 단기 재배
  원목재배는 자본회수에 장기간(3년)이 소요되나 톱밥재배는 단기간(6개월)에 자본회수가 가능하다.

⊙ 계획 출하
  원목재배는 기후에 따라 작황의 차이가 많으므로 계획적인 출하조절이 어려우나 톱밥재배는 가온·가습이 가능한 생산시설을 이용하면 연중 계획적인 생산이 가능하다.

 
⊙ 버섯 품질
... - 원목재배의 중품에 해당하는 품질의 버섯발생이 많다.
- 시장에서의 톱밥재배 버섯에 대한 인지도가 부족하다.
- 상품의 버섯을 생산하는데 원목재배보다 많은 전문재배기술이 요구된다.

⊙ 시설투자비
  - 배지의 제조 및 배양과정에서 필요한 시설 및 기계를 구비하기 위해 초기 투자비가 많이 소요된다.
- 기존 표고원목재배 하우스에서도 톱밥재배가 가능하지만 연중 생산을 위해서는 공조설비가 필요
   하므로 투자비가 많이 소요된다.

⊙ 해균오염
  - 원목재배는 표고균이 두꺼운 원목수피에 의해 보호되며 통풍이 원활한 장소에서 재배되지만, 톱밥
   재배는 밀폐된 장소에서 재배되므로 해균오염율이 높다.
- 톱밥재배는 표고균이 스스로 만든 피막만으로 보호되므로 해균에 오염되기 쉬워 청결한 시설과
   관리가 필요하다.

⊙ 배지배양센타의 부재
  - 일반농가에서 배지제조부터 배양까지 전과정을 수행하는 것은 비용면에서 매우 곤란하다.
- 배양이 완료된 배지를 구입하여 발생시키는 것이 가장 쉬운 방법이나 국내에는 배지분양센타가
   없기 때문에 중국에서 수입하여 재배하는 농가가 늘어나고 있다.
- 중국 수입배지는 배지의 품질을 보장하기 어렵기 때문에 국내분양센타가 시급하다.

⊙ 여름재배의 곤란
  - 톱밥재배는 공조시설을 하지 않는 한 연중재배가 곤란하다.
- 겨울재배의 경우 난방과 하우스피복 등으로 가능하나 여름재배는 냉방기를 가동하여야 한다.
- 고온성 품종으로 여름재배가 시도되고 있으나 성공사례는 부족한 실정이다.



 

'버섯재배 > 버섯'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지버섯재배법  (0) 2007.04.05
표고버섯재배(4)  (0) 2007.04.05
표고버섯재배(2)  (0) 2007.04.05
표고버섯재배(1)  (0) 2007.04.05
[스크랩] 동충하초  (0) 2007.03.3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