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촌애(김영수)
2007. 4. 5. 19:47
2007. 4. 5. 19:47
![](http://www.fmrc.or.kr/fmrc/template/document/jonggun/image/01_01.jpg) |
.... |
표고 원목재배에 있어 품종의 종류로는 크게 고온성 계통, 중온성 계통, 저온성 계통으로 나뉜다. 이들 3개의 계통중 저온성 계통은 건표고용으로 많이 이용되고 일부는 겨울 생표고로 출하되기도 한다. 또한, 중온성의 일부 품종도 건표고용으로 이용되기도 하다. 고온성 및 중온성 계통은 일반적으로 생표고 상태로 이용되어지고 출하시기별로 많은 가격차이를 보이고 있다. 일반적으로 국내에서는 기후여건에 따라 남부지방과 일조량이 풍부한 충남지방은 저온성 위주로 재배를 많이 하고 있고 온도 편차가 많고 분지형태인 중부지방은 중온성 및 고온성 품종을 많이 재배하고 있다. 생표고를 연중 생산하고자 할때는 일반적으로 고온성과 중온성 품종을 선택한다.
표고 톱밥재배의 경우 국내에서 등록된 품종으로는 고온성 계통 3개 품종만이 등록되어 있는데, 품종특성은 대동소이하며 수확량은 산림5호가 가장 높은 것으로 되어 있지만 재배환경 등 여러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다고 본다. 현재로써는 원목재배용 품종보다 품종수가 매우 적기 때문에 앞으로 특성이 다른 품종을 다양하게 개발하고자 본 연구소에서 중고온성 계통의 1개 품종을 1차 선발하여 시험을 진행중이다. |
![](http://www.fmrc.or.kr/fmrc/template/document/jonggun/image/01_02.jpg) |
|
표고 종균의 형태는 톱밥종균, 종목종균, 캡슐종균 및 성형종균 등이 있는데 현재 국내에서는 톱밥종균과 성형종균의 형태로 대부분 유통되고 있다. 종균은 일반작물 종자와는 달리 배지에서 배양되어진 균사의 집합체이므로 환경의 변화에 약하기 때문에 구입시 매우 유념하여야 한다. 표고 종균은 산림조합중앙회나 일반 종균배양소 등에서 생산하지만 1년 내내 판매하는 것이 아니라 12월에서 4월까지 표고 종균 접종시기에만 사용적기에 판매를 하고 있다. 산림조합중앙회나 일반 종균배양소에서 취급하는 품종의 종류가 다르기 때문에 희망하는 품종의 종균을 빨리 결정하여 미리 예약 주문해 두는 것이 안전하다. 종균을 구입하면 즉시 접종하여야 잡균오염을 방지하고 균사의 초기 활력을 높일 수 있다. 부득이 보관을 할 경우 저온저장고를 3℃정도로 온도를 설정한 후 종균 박스를 피라미드 형태로 적재하여 냉기가 효율적으로 전달될 수 있게 하여 보관을 하여야 한다. 만약 저온저장고에 보관할 수 없다면 직사광선과 온도가 높은 곳을 피하여 10℃이하의 낮은 온도에서 통풍이 양호하도록 하고 습도 60∼70%정도의 장소에 농약이나 비료 등과 분리하여 보관하여야 한다. |
![](http://www.fmrc.or.kr/fmrc/template/document/jonggun/image/01_03.jpg) |
|
산림조합중앙회 및 일반 종균배양소에서는 종균을 제조한 후 표고재배자에게 판매하기 전에 자체검사를 하고 출하하고 있다. 하지만 표고재배자도 종균을 인수받은 직후 박스 개봉후 종균을 검사하여 불량종균에 대한 피해를 사전에 막아야 한다. 종균 인수 후 검사는 육안검사로 잡균에 의한 변색을 관찰하는 것이 가장 쉬우면서도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잡균을 표고균이 자라 덮어 버리는 경우, 종균의 수분이 과하거나 부족한 경우, 균사가 배양과정에서 고온을 받아 세력이 약화된 경우 등은 외관상의 관찰만으로는 식별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병 종균의 경우에는 인수 후 무작위로 선발한 후 종균을 절단하여 내부 균사 배양상태를 확인하여 보는 것을 권장하고 성형종균의 경우에는 포트에 종균의 충진이 원만히 되었는지, 잡균의 피해는 없는지를 확인하고 수분상태도 확인하여 수분이 조금 부족한 경우라면 접종작업후 1∼2일 이내에 접종목에 살수를 수행하여 수분을 보충하여야 한다.
일반적인 불량종균 판별법은 아래와 같다. - 종균병의 상부에서 하부까지 흰색의 균사가 균일하고 조밀하게 만연되어 있지 않은 것. 단, 종균병 입구부위의 표면이 약간 갈색으로 변한 것도 있는데 이는 정상종균으로 볼 수 있음. - 종균병의 입구 부근이나 종균표면에 종균과는 색이 다른 잡균의 포자나 균사가 보이는 것. - 종균병 속의 산소부족으로 균사가 변질되어 갈색 물이 고인 것. - 종균병 속의 톱밥의 갈색이 그대로 있으면 미숙된 종균이며 정상적으로 표고균이 충분히 만연되면 톱밥이 옅은 노란색을 띄므로 미숙종균은 상온에서 후숙 시킬 필요가 있음. - 저장기간이 너무 길어 종균표면 대부분이 갈색으로 변하고 마른 것. - 종균병의 뚜껑을 열었을 때 종균특유의 싱싱한 냄새가 나지 않는 것. 특히, 쉰 냄새를 발산하면 잡균에 오염된 종균임. - 종균병 입구나 표면에 강냉이 모양의 융기가 보이는 것은 종균의 고유특성이므로 종균 접종시 융기를 제거하고 사용하면 됨. |
|
![](http://www.fmrc.or.kr/fmrc/template/document/jonggun/image/s101_02.jpg) |
![](http://www.fmrc.or.kr/fmrc/template/document/jonggun/image/02_01.jpg) |
10 ~ 24℃ | |
![](http://www.fmrc.or.kr/fmrc/template/document/jonggun/image/02_02.jpg) |
.....1. |
버섯나무 만드는 기간이 매우 짧아 첫버섯 발생이 빠름 |
2. |
버섯나무는 자극에 극히 민감하여 발생작업(쓰러뜨리기) 효과가 큼 |
3. |
발생 개체수가 많은 품종으로 과도한 발생작업은 피해야 함. |
4. |
환기가 불량하면 갓이 검어지거나 고온기에 갓이 빨리 피는 경향과 주위의 습을 쉽게 빨아들이는 성질이 있음. |
5. |
접종 1년차 가을부터 버섯이 발생되나 자연 발생 버섯만 수확하고 첫버섯 발생작업은 2년차 봄부터 실시하여야 함 |
6. |
생표고 용도에 적합, 자금 투자 회수에 빠름 |
7. |
초보자에 적합함 |
| |
|
![](http://www.fmrc.or.kr/fmrc/template/document/jonggun/image/s108_02.jpg) |
![](http://www.fmrc.or.kr/fmrc/template/document/jonggun/image/02_01.jpg) |
12 ~ 27℃ | |
![](http://www.fmrc.or.kr/fmrc/template/document/jonggun/image/02_02.jpg) |
...1. |
버섯나무 만드는 기간이 매우 짧아 첫버섯 발생이 빠름. |
2. |
접종1년차 가을에 자연버섯이 일부 발생 |
3. |
정상적인 첫버섯 발생작업은 4월 중순경부터 실시하여야 함. |
4. |
버섯나무의 수분이 적은 경우엔 품질이 나빠지는 경향이 있음. |
5. |
갓 주변에 비늘 껍질 형성이 많아 습에 강하여 고온다습한 시기에도 버섯의 품질이 비교적 우수 |
6. |
다른 고온성 품종보다 휴양기간을 많이 필요로 함(40일정도) |
7. |
고온성 품종중 버섯 발생온도 범위가 넓어 연중 재배가 가능 |
| |
![](http://www.fmrc.or.kr/fmrc/template/document/jonggun/image/s04_01.jpg) |
![](http://www.fmrc.or.kr/fmrc/template/document/jonggun/image/s04_02.jpg) |
![](http://www.fmrc.or.kr/fmrc/template/document/jonggun/image/02_01.jpg) |
10 ~ 25℃ | |
![](http://www.fmrc.or.kr/fmrc/template/document/jonggun/image/02_02.jpg) |
...1. |
버섯 발생작업은 접종2년차 7월 중순경부터 실시하여야 함. |
2. |
가을 집중 발생형임 |
3. |
버섯 발생작업을 접종 2년차 봄부터 실시할 경우 기형버섯 발생율이 매우 높음. |
4. |
버섯 발생개체수가 많아 발생작업시 작업량 조절이 필요함. |
5. |
버섯 발생작업후 버섯나무의 휴면기가 짧음. |
6. |
습에 강하며 고온다습한 시기에도 품질이 우수 |
7. |
생표고 용도에 적합 | |
![](http://www.fmrc.or.kr/fmrc/template/document/jonggun/image/03_01.jpg) |
...... |
|
![](http://www.fmrc.or.kr/fmrc/template/document/jonggun/image/03_02.jpg) |
|
- |
원목 1㎥당 종균 7~10kg(14~20병) 정도 소요 된다. |
- |
종균 1병, 성형종균 한판으로 5~7본 접종이 가능하다. |
|
(단, 원목크기가 길이 1~1.2m, 직경 9~12cm의 원목에 60구멍 접종시) |
※ |
표고재배는 재배지역 환경 및 경영 목적등에 따라 종균의 품종을 적절히 선택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