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양관리

 

표토 관리

  표토관리에는 청경재배, 초생재배, 멀칭재배법이 있으며 ,관리방법마다 장단점이 있어 수령, 경사도, 토성 등에 따라 한가지 혹은 몇 가지 방법을 절충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

1. 청경재배

  과수원에 발생하는 잡초를 제초제 살포나 김매기 등으로 모두제거하여 풀이 없이 관리하는 방법이다. 김매기는 연간 4-5회 필요하고 , 제초제를 이용하면 2-3회 살포 해야한다.

구분

분류

제초제의 종류

살초작용

접촉형
이행형

그라목손
근사미

처리방법

토양 처리형.
식물체 처리형

씨마진,가도프린,고올.스톰프.데브리놀
그라목손.근사미.바스타.아민염 2-4D

선택성

선택성
비선택성

아민염 2-4D
그라목손. 근사미. 바스타


2. 초생재배

  초생재배의 단점은 초생이 나무와 양.수분 경합을 일으키는 것인데, 특히 유목기와 가뭄이 심할 때는 더욱 심하다. 토양관리 방법별 1일 평균수분 소비량은 초생 방임구에서 가장 많고, 풀을 예취하여 덮은 것은 토양수분의 증발이 적다. 또한 양분도 풀에 의해서 많이 흡수되므로 초생재배시는 비료량을 늘려야 한다. 뿌리의 발달이 적은 유목기에는 초생과 양수분의 경합이 심하므로 수관하부를 청경 또는 멀칭을 하여주고, 그 이외의 부분은 초생재배한다. 풀베기는 연 5-6회 실시하여야 하는데 방법은 인력제초나 예초기를 이용하는 방법과 제초제를 시용하는 방법이 있다.

3. 멀칭재배

  멀칭재배법으로 관리할 경우 수관하부의 멀칭재료는 예초시에 나온 풀이나 짚,왕겨 등이 많이 이용되는데 , 잡초방제 효과를 보기 위해서는 멀칭의 두께를 10cm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그러나 장기간 두껍게 토양을 피복하고 있을 경우에는 뿌리가 지표부근으로 발달할 우려가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잡초발생 억제만을 목적으로 할 경우는 광을 차단할 수 있는 자재, 흑색비닐,투명비닐,반사필름 등을 피복하면 잡초발생이 억제된다. 보온덮개를 이용할 경우는 과수원의 잡초가 5월부터 자라기 시작하므로 잡초가 조금 자랐을 때 피복한다. 피복시기가 너무 늦으면 보온덮개가 잘 덮히지 않아 제초효과가 떨어진다. 피복시기가 늦은 경우는 강우직전에 피복하면 된다. 일반적인 피복시기는 지온이 상승된 5월 중순경이 알맞으며, 첫번째 이동시기는 장마가 오기전인 6월 중.하순경이고, 7월 하순 경에 다시 옮겨 주면 수관하부의 토양수분 조절 효과가 있다. 보온덮개를 설치한 후 방치하면 쥐가 서식하여 밑부분을 갉아먹어 피해를 주는 일이 있고, 나무 뿌리가 지표가까이 발달하는 수가 있다.

     표토관리 방법의 장단점 비교

관리방법

장점

단점

청경법

초생과 양수분 경합이 없다.
병해충의 잠복장소가 없어진다.

토양이 유실되고 영양분이 씻겨 내려가기 쉽다. 토양유기물이 소모된다.
토양의 물리성이 나빠짐
주야간의 지온교차가 심함
수분증발이 심함
제초제를 사용하여 재배할 때 약해의 우려 있음

초생법

유기물의 적당한 환원으로 지력이 유지된다.
침식이 억제되어 양분이 씻겨가는 것이 억제
지온 조절효과 있음

나무와 풀과의 양수분 경합있음
유목기에 양분부족이 되기 쉬움
병해충의 잠복장소가 됨
저온기의 지온상승이 어려움

부초법

토양침식방지
부초한 재료에서 양분공급
토양수분의 증발억제
지온의 조절이됨
토양유기물이 증가하고 물리성 개선됨
잡초발생 억제됨

이른봄 지온상승이 늦어진다.
건조기에 화재의 우려 있음
겨울에 쥐 피해 입기 쉬움
뿌리가 지표면으로 발달함

비닐멀칭법

토양침식 방지
토양수분의 증발억제
봄에 지온이 빨리 올라가서 생육이 좋아짐
잡초발생 억제됨

멀칭 밑에 비가와도 물이 들어가지 못하여 생육이 억제될 수 있으므로 나무부근만 멀칭하든지 관수시설을 한다. 


  과수원의 표토관리는 관리방법별로 장단점이 있으므로 경사도, 수령, 재식 방법, 시기별 조건에 맞게 선택하는 것이 좋다. 평지에 위치한 성목원에서는 열간은 초생재배하고 나무밑은 청경재배하는 부분 초생재배가 적합하다. 경사지에 위치한 성목원은 토양유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나무밑은 초생예초나 부초가 좋으며, 열간은 초생예초를 하는 것이 유리하다. 평지 유목원에서는 부초를 하다가 어느정도 자라면 평지 성목원에 준하여 관리한다.  

토양보존

  우리나라 과수원의60%정도가 경사지에 위치하고 있어 표토의 유실이 많다. 심한 경우는 뿌리가 드러나고 나무가 도복되기도 한다. 과수원 토양의 침식은 토층 전체가 파괴되는 토지의 황폐와 강우시 과수원의 표면으로 흐르는 유거수에 의하여 표토와 식물영양이 빠져서 지력이 쇠퇴하는 비옥도 침식으로 나눌 수 있다. 토양의 유실은 경사각도가 클수록, 경사면이 길수록 많아지며, 지표면을 흐르는 유거수의 양이 많을 수록 증가한다.

토양침식 방지방법

1. 초생재배 및 부초재배

  초생재배와 부초는 풀이나 부초재료가 토양표면을 덮고 있어서 빗방울이 토양에 직접적인 타격을 주지 않기 때문에 토양입자의 분산이 적어 유거수가 발생되더라도 맑은 물이 흐르기 때문에 비료분의 유실은 있어도 토양의 유실은 적다. 청경재배시는 초생재배에 비하여 비료의 유실량이 많아진다. 따라서 경사지 토양에는 초생재배를 하는 것이 유리하다.

2. 심경과 유기물 시용

  심경을 하고 유기물을 시용하면 토양에 공극량이 많아지고, 토양의 입단형성이 촉진되어 물의 침투속도가 빨라 지표면으로 흐르는 물의 양이 적어진다. 이러한 방법은 침식대책의 보조적인 수단으로 이용된다.

3. 집수구와 배수구 정비

  경사가 심하고 경사면의 길이가 긴 곳에는 지표면으로 흐르는 물의 량이 많기 때문에 등고선에 따라 집수구를 만들고 상하로 배수로를 만든다. 집수구를 설치하면 경사면의 길이를 짧게 하여 물의 흐름을 중간에서 차다, 배수로로 보내어 유실량을 감소시킨다. 배수로는 많은 물이 흘러 내릴 수 있도록 설치할 필요가 있다.

+ Recent posts